카바투스 (음악)
Ambitus (music)Kavanus (Eccessiastic Latin: ['am.bi)t̪us])는 문자 그대로 clocos[ur]e를 의미하는 라틴어 용어로 중세 라틴어에서 멜로디 라인의 "범위"를 의미하며, 대부분의 경우 주어진 모드에 귀속되는 척도 도(道)의 범위를 가리키며, 특히 그레고리오 성가 그러하다. 특히 그레고리안 성가에서는 야심이 가장 높은 음과 가장 낮은 음 사이의 거리 또는 범위다. 각기 다른 구호들은 그들의 야심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알레루야스와 같은 비교적 꽃다운 구호들 조차도 좁은 야심을 가질 수 있다. 초기의 작가들은 9번째나 10번째 때는 모달의 야망을 "완벽한"이라고 불렀지만(즉, 옥타브 플러스 1, 2개의 음은 위나 아래나 양쪽 모두) 15세기 후반부터는 "완벽한 야보스"는 대개 한 옥타브를 의미했고, 야보스는 이보다 적을 때는 "불완전한"으로 불렸고, 오크 이상일 때는 "완벽한"으로 불렸다.테이브(Powers, Sherr, Wiering 2001).
모든 교회 모드는 부분적으로 그들의 야심에 의해 구별된다(Randel 2003). 플라갈 모드는 야부스 중앙에 결승이 있는 반면, 정통 모드는 일반적으로 결승에서 한 음 이하로 내려간다.
또한 Favasus는 음악 전체의 음역, 악기 또는 더 일반적으로 음역 범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Powers, Sherr 및 Wiering 2001; Randel 2003) 음역 극단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콘서트 그랜드 피아노의 야심을 A-C로08 줄 수도 있는데, 여기서 A는0 27.5Hz이다. 야비투스는 용어 레지스터나 테시투라와는 달리 음표가 한 장에 어떻게 쓰이는지 언급하지 않는다.
참조
- Powers, Harold S., Richard Sherr, and Frans Wiering. 2001. "Ambitus".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London: Macmillan Publishers.
- Randel, Don Michael. 2003. "Ambitus".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fourth edition. Cambridge: Belknap Press. ISBN 978-0-674-01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