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브로즈 바를로

Ambrose Barlow
세인트 앰브로즈 에드워드 바를로
Saint-ambrose-edward-barlow.jpg
세인트 앰브로즈 바를로, O.S.B.
베네딕트 수도사순교자
태어난1585
영국 맨체스터 랑카셔 주, 초를튼쿰-하디 바로우
죽은(1641-09-10)10년 9월 10일
영국 랭커셔랭커스터
다음에서 존경됨가톨릭교회
비트화됨1929년 12월 15일 교황 비오 11세 바티칸베드로 대성당
표준화된교황 바오로 6세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1970년 10월 25일
잔치10월 25일 9월 10일

O.S.B. (1585년 – 1641년 9월 10일)[1] 암브로즈 에드워드 바를(Ambrose Edward Barlow, O.S.B., 1585년 – 1641년 9월 10일)는 영국 베네딕트 수도사로서 가톨릭 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그는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40대 순교자로 알려진 교황 바오로 6세시성한 성도들 중 한 명이다.

조기생활과 교육

바를로 홀, 1910년

암브로즈는 1585년(맨체스터의 교구) 맨체스터 인근 초를턴쿰하디(Chorlton-cum-Hardy)의 바를로 홀에서 태어났다.[2] 그는 귀족 알렉산더 바를로 경과 그의 아내 메리의 넷째 아들로, 핸드포스 홀우리안 브레튼 경의 딸이었다.[3] 바로우 가문은 영국과 웨일스의 가톨릭 교회의 탄압 이후 영국 교회로의 개종을 꺼려왔다. 암브로즈의 할아버지는 1584년 신념을 이유로 투옥되던 중 사망했고 알렉산더 바를로 경은 새로운 기성 종교의 규칙에 따르기를 거부한 결과 그의 재산의 3분의 2를 몰수당했다.[4] 1585년 11월 30일, Ambrose는 Didsbury Chapel에서 세례를 받았고 그의 세례에는 "Alex's Barlowe gent's 30의 법적 아들 Edwarde"라고 쓰여 있다. 암브로즈는 1607년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할 때까지 성공회 신앙을 고수했다.

암브로즈 바를로의 세례 기록

1597년 암브로즈는 한 페이지로 도제 생활을 하는 동안 그를 돌봐줄 친척인 우리안 레그 경의 책임자로 끌려갔다. 그러나, 이 예배를 마친 후, 바를로는 자신의 진정한 천직은 성직자를 위한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고, 그래서 그는 스페인 바야돌리드 왕립 알바니아 대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프랑스두아이로 가서 그곳의 영어 대학에서 공부했다. 1615년 두아이로 돌아와 성 베네딕트 훈장의 일원이 되어 성 그레고리 대왕(지금의 하층 사원)의 공동체에 가입하였고, 1617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4]

미션

워들리 홀

암브로즈는 사제 서품을 받은 후 바를로 홀로 돌아온 후, 애슬리 몰리 홀토마스 틴델리 경의 집에 거처를 정했다.[5] 토마스 경의 할머니는 사제가 교구 내의 가난한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사제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금을 마련해주었다. 거기서부터 그는 비밀리에 가톨릭 '파리시온가'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었고, 매일 미사를 드리고, 그 후 24년 동안 그의 집무실과 로사리를 읊었다. 그는 개신교 당국의 교리를 피하기 위해 4주 동안 교구 곳곳을 돌아다니다가 5주 동안 홀 안에 머무르는 4주간의 일과를 고안했다. 그는 종종 그의 사촌인 다우네스를 워들리 홀의 그들의 거주지에 방문하여 모인 신도들을 위해 미사를 집전하곤 했다.[4]

체포 및 집행

암브로즈는 여행 중 네 차례 체포되어 무혐의로 석방되었다.[6] 찰스 1세는 1641년 3월 7일 모든 사제들이 달력 1개월 이내에 국외로 떠나거나 체포되어 반역자로 취급되어 투옥되거나 사망에 이를 것을 결의한 포고문에 서명했다. Ambrose의 교구민들은 그에게 도망치거나 최소한 숨어있으라고 간청했지만 그는 거절했다. 그들의 두려움은 56세의 신부가 부분적으로 마비되는 결과를 초래한 최근의 뇌졸중으로 인해 악화되었다. 그는 그들에게 "그들이 헤어지길 원치 않는 잃을 것을 두려워하게 하라"고 말했다.[4]

랭커스터 성

1641년 4월 25일 부활절, 앰브로즈와 그의 신도 150여명이 레이의 비카르와 그의 무장 신도 400여명에 의해 아틀리의 몰리 홀에서 포위되었다. 앰브로즈 신부는 항복했고, 그의 교구민들은 그들의 이름이 기록된 후에 석방되었다. 사제는 제지당한 다음, 그의 낙하를 막기 위해 사람을 뒤에 태우고 말에 올라타고, 60명의 인파에 의해 윈윅치안판사로 호송되었다가 랭카스터 성으로 이송되었다.[4][5]

앰브로즈 신부는 9월 7일 재판장인 로버트 히스 경 앞에 나타나 천주교 신앙을 고수한다고 공언하고 자신의 행동을 변호했다. 9월 8일, 메리 탄생일의 잔치였던 로버트 히스 경은 암브로즈에게 유죄를 선고하고 사형을 선고했다. 이틀 후 랭커스터 성에서 끌려와 처형장소로 향하는 장애물에 끌려가 목을 매고 토막내고 4중창으로 석유를 넣고 끓였다. 그의 머리는 그 후 파이크에 노출되었다.[4][5]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그의 사촌 프란시스 다우네스 워들리 홀 경주는 그의 두개골을 구출하여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워들리에 보존했다. 그것은 같은 가문의 로저 다우네스의 두개골, 로체스터 백작의 자유인이자 친구인 로체스터 백작의 두개골이 아니다.

그의 죽음과 순교 소식이 두아이 사원에 있는 베네딕트 형제들에게 전해지자 추수감사절 미사와 테둠은 노래를 부르라는 명령을 받았다.[4]

시성화

1929년 12월 15일, 교황 비오 11세에서 열린 구타 의식에서 암브로즈 신부를 축복받은 신부로 선포했다. 바티칸 시티피터스 바실리카. 대부분엘리자베스 1세 통치 기간 동안 처형된 영국 가톨릭 순교자들이 많은 것을 인정하여, 교황 바오로 6세는 1970년 10월 25일 암브로즈가 한 명인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40대 순교자로 알려진 많은 사람들을 시성하고 있다고 선언했다.[7][8]

하기학 및 유물

밀라노 성 암브로즈 교회
맨체스터 대성당 밖에 있는 푸른색 명판

챌로너(아래 참조)는 성 그레고리오 수도원 소속의 두 권의 원고에서 바를로의 전기를 편찬했는데, 그 중 한 권은 영국 베네딕타인 회교회의 회장인 그의 형 돔 루데신드 바로우가 썼다. "암브로즈 바를로의 변절자 생활"이라는 제목의 세 번째 원고는 그의 제자 중 한 명이 돔 루데신드를 위해 썼으며, 맨체스터의 존 라이랜드 도서관에 있다. 그것은 체텀 협회에서 인쇄되었다.[9]

바로우의 초상화 두 장과 그의 아버지 알렉산더 경의 초상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암브로스의 여러 유물도 보존되어 있다; 그의 턱뼈는 맨체스터의 바로우 무어 밀라노의 세인트 암브로즈 교회에 있다; 그의 한 손은 노스요크셔의 와스스에 있는 스탠브룩 사원[6] 보존되어 있고, 다른 한 손은 세인트 엔젤 사원에 있다. 오리건베네딕트; 그리고 그의 두개골은 다우네스 가문의 한때 고향이었던 워슬리워들리 홀의 계단 위에 보존되어 있으며, 지금은 살포드의 가톨릭 주교의 고향이다.

레거시

애슬리의 성 암브로즈 바를로 교회

바로우 무어의 밀라노 성 암브로즈 교회는 그의 출생지의 교구에 있다. 1932년에 설립되었으며, 밀라노의 세인트 앰브로즈에게 헌정되었으나 그의 시성 때 세인트 앰브로즈 바로우로 바뀌었다.[10] 아슬리의 성 암브로즈 바를로 로마 가톨릭 교회와 초등학교도 암브로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성인의 이름을 딴 다른 학교로는 디즈버리바로우 로마 가톨릭 고등학교, 맨체스터 인근 스윈튼세인트 앰브로즈 바를로 로마 가톨릭 고등학교, 머세이데 네더튼세인트 앰브로즈 바를로 가톨릭 고등학교 등이 있다. 다운타운 스쿨의 하숙집 중 한 곳은 그의 명예를 걸고 Barlow라고 이름 붙여졌다.

옴스키르크에 있는 세인트 앤의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만나는 두아이 사원의 주(세속적인 베네딕트인 협회)는 세인트 암브로즈 바를로를 후원자로 두고 있다.

참조

  1. ^ Young, Francis (2016). English Catholics and the Supernatural, 1553–1829. Routledge. p. 207. ISBN 978-1-317-14317-8.
  2. ^ 성 암브로즈 바를로 그의 생애, 시대, 유물 데이비드 W. 애서튼과 마이클 P. 페이튼, 2014년
  3. ^ 캠, 베드(1907) "벤 에드워드 앰브로즈 바를로" 카톨릭 백과사전. 제2권 뉴욕: 로버트 애플턴. 2013년 9월 10일 검색됨
  4. ^ a b c d e f g "Blessed Ambrose Barlow, O.S.B." St Ambrose Barlow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August 2003. Retrieved 10 September 2013.
  5. ^ a b c Tyldesley, PJ. "Sir Thomas Tyldesley 1612–1651". Tyldesley Family History. Retrieved 13 December 2008.
  6. ^ a b 슈러즈베리 교구 성 암브로즈 바를로
  7. ^ 24년 동안 비밀리에 영국에 있는 성 암브로즈 바를로우 미니어처
  8. ^ "Forty Martyrs of England and Wales".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Retrieved 10 September 2013.
  9. ^ a b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이 현재 공개 영역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10. ^ 로이드, 존 M. (1972) 콜튼쿰-하디의 타운쉽. 맨체스터: E. J. 모튼 페이지 46. ISBN 0-901598-26-7

추가 읽기

  • 앨런슨, 전기 MSS ( 앰플포스 사원에 보존): 아이씨
  • 버틀러, 알바니아(2000) 성도들의 삶, 제9권 (개정안)
  • 캄, 베드 (1931) 순교자 아홉
  • 챌린저, 리처드; 존 헝거포드 꽃가루 (ed.) (1924) 선교사제단 회고록
  • 도드, 찰스(1739) 영국 교회 역사. 브뤼셀
  • 길로우, 요셉 (1885) 영국 가톨릭 성경 사전 런던
  • 모스, 플레처(1891) 디즈베리 맨체스터
  • 모스, 플레처(1894) 체셔 치들레 연대기 디즈베리
  • 모스, 플레처(1903) 올드 홈스 순례지 디즈베리
  • 신카톨릭 백과사전 (1967년)
  • 로즈, W. E. (ed.) (1909) 앰브로즈 바를로의 사도적 맨체스터: 체텀 소사이어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