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의 미국

America in Vietnam

America in Vietnam은 Guenter Lewy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역할에 대해 쓴 책이다.이 책은 출판된 지 수십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르위는 베트남에서의 미국의 행동은 불법도 부도덕도 아니며, 전쟁 범죄 혐의의 "증거 가능한 산업"이라고 이해하면서 미국의 만행에 대한 이야기가 크게 과장되었다고 주장한다.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조지 W. 부시의 재선을 지지하는 여러 단체에서 존 케리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베트남에서의 복무에서 돌아온 후 반전 활동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조국을 배신했다고 주장하면서 이 문구가 다시 각광을 받았다.

개요

1978년에 출판된 베트남에서의 미국은 전쟁에 대한 전통적인 혹은 "정통적인" 해석에 대해 불필요하고, 부당하거나, 이길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한다.그 책은 대단히 논란이 많은 것으로 판명되었다."정통학"의 역사학자들은 혹독한 비판으로 그것을 꼽았고, 베트남 역사학의 "수정학파"는 전쟁에 [1]관한 문헌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베트남전 비평가들 사이에서 악명 높은 텍스트인 이 텍스트는 Norman [2]Podhoretz, Mark Moyar, Michael Lind와 같은 수정주의 소수 학자들 사이에서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다.베트남에 있는 미국은 종종 베트남 전쟁의 "[3][4][5]리비전주의자" 역사로 특징지어진다.르위는 이렇게 주장한다.

이 연구의 합리적인 결론은 많은 미국인들의 마음 속에 베트남 전쟁이 만들어낸 죄의식은 정당화되지 않으며 공식적으로 묵인된 불법적이고 극도로 부도덕한 행위에 대한 혐의는 실체가 없다는 것이다.실제로 전장 관행을 자세히 살펴보면 베트남에서의 민간인 생활 손실은 제2차 세계대전이나 한국보다 적었고 전쟁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우려가 강했음을 알 수 있다.서로 다른 전쟁으로 인한 참상과 인명 손실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은 외교 정책의 수단으로 모든 군사력을 거부하는 사람들에게는 불쾌할 것이고 냉담함으로 해석될 수 있다.그러나 전쟁이 일어나는 한 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줄이는 것은 여전히 도덕적 의무이며, 이 의무의 이행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나는 이 책이 전쟁에 반대하는 양심가들의 전유물이 아니며, 특정한 상황에서 무력충돌의 필요성과 윤리적 정당성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인간의 [6]고통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글은 당시 재향군인문제 하원 위원회의 베트남 참전용사였던 상원의원과 이코노미스트를 포함한 몇몇 정기간행물들에 의해 "많은 면에서 아직 나타나지 않은 전쟁 최고의 역사"[7]라고 칭송받았다.

Lewy는 베트남 전쟁이 합법적이었고 [4]부도덕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1971년 전쟁에 비판적이었던 일부 미국 참전용사들의 의회 증언을 상기시키면서, 르위는 "어떤 목격자들은 마치 그들이 북베트남의 [8]선전을 외운 것처럼 들렸다"고 제안한다.이 책은 미국의 베트남전 참전에 대한 국내 반대자들을 폭넓게 비판하고 있다."평화 운동가" 또는 "평화 시위"라는 문구를 사용하면서, 르위씨는 종종 "평화"라는 단어에 따옴표를 붙여 활동주의에 대한 다른 동기를 암시한다.저자는 해군의 사보타주 사건과 반전 운동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1965년에서 1970년 사이에 해군은 함정에서 사보타주와 방화가 증가하는 것을 경험했지만, 반전 운동가들이 해군 함정에 대한 사보타주 시도에 직접 참여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비록 조직적인 전복의 확실한 증거는 [9]발견되지 않았지만, 전투의 분열과 회피는 때때로 반전 무장세력에 의해 선동되었을 수 있다.

노암 촘스키

루이스는 책에서 노암 촘스키가 전범 [10]혐의의 "검증 가능한 산업"의 일부로 묘사하고 있는 우려되는 아시아[clarification needed] 학자 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미국의 전범 혐의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비판했다.촘스키는 이 비판에 대해 '남베트남 농민들의 미국에 대한 침략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루이는 단지 군사사가 아니라 도덕적인 부분을 쓰고 있다"고 주장했다.그는 말했다.

루이는 수감자 처우에 대해 논의하면서 "미국의 학대와 고문의 여러 사례"를 인정함으로써 그의 합리성을 보여준다.이것들은 방부제로 간결하게 다루어지며, 르위는 그것들을 "흔히 볼 수 없는 적과 싸워서 생기는 좌절감, 사상자 때문에 생기는 분노" 등의 맥락에 넣기 위해 애쓴다.그러나 공산주의의 비인간성을 다루는데 있어서, 그는 미국-사이곤 고문을 마지못해 시인한 것에 대한 도덕적인 분노가 전혀 없는, 세세한 부분까지 세세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적에 의한 그러한 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요소들은 빈정거림으로 취급되고 있다.그는 심지어 사이공의 고문까지 사실적으로 설명한다. "경찰은 전문적이지 않았고, 교도관들은 낮은 임금을 받았고, 남베트남 사람들은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지 않는다."

'리비전주의"

베트남에 있는 미국은 종종 "리비전주의자"라는 비난을 받아왔다.이 책은 "전쟁에 대한 고전적인 수정주의 해석",[11] "베트남 [12]전쟁에 대한 수정주의 설명 중 최초이자 가장 인상적", "가장 초기의 수정주의 작품 [1]중 하나"로 언급되어 왔다.

르위는 본문 자체에서 "베트남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고 무엇이 잘못되었는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방해하는 신화의 거미줄을 제거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단언했다."[13]

지지자

이 책의 지지자들 사이에서 마크 모야르2006년 Triumph Forgasen에서 "루이의 훌륭한 책은 처음 출판되었을 때 베트남 전쟁 최고의 역사였고... 최고의 [14]책 중 하나로 남아 있다"고 썼다.모야르 자신은 베트남 전쟁의 정통 역사가 그것이 부당하고,[15] 불필요하며, 이길 수 없다고 잘못 주장했다고 주장했습니다.정치 단체인 스위프트 보트 베테리언스 포 트루스는 2004년 출판물[16]'사령부에 적합하지 않다'에서 르위의 작품 중 일부를 이용했고, 노먼 포드호레츠는 종종 베트남에서의 미국을 인용하며 그 방어를 위해 광범위하게 글을 썼다.

한 문헌에서, 포도레츠는 전쟁의 맥락에서 부도덕에 대한 르위의 개념을 불법으로 공격하던 사람들을 겨냥했다.마이클 월저는 "루이가 스스로 설정한 임무는 놀라울 정도로 간단한 것으로 판명됐다"며 "전쟁의 법칙이 너무 모호하고 급진적으로 불완전해 방어에 대한 브리핑이 쉽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베트남에서 미국의 테오도르 드레이퍼는 "이번 전쟁의 수치심이 우발적인 것이어야 한다는 것은 지속적인 수치"라고 덧붙였다.편협하고 의심스러운 [17]법률주의로 도피함으로써 수치심을 감추기 위해 고안된 책에서 언급되었습니다."베트남 전쟁이 "이성과 도덕성의 극적인 붕괴"를 의미하거나 "부도덕한 행위"로 특징지어진다는 널리 알려진 믿음은 르위가 대답했고 포드호레츠가 옹호했다.

그 시대의 논쟁에서 불리게 된 "미국의 전쟁 방식"은 "사람이 아닌 조개껍데기를 확장하라"는 모토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반전운동은 그렇게 생각했고, 르위 비판론자들은 [17]여전히 그렇게 생각한다.

포도레츠는 공산주의에 대한 투쟁은 나치즘에 대한 투쟁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각각이 전체주의를 상징하기 때문이다.포드호레츠의 눈에는 도미노 이론이 미국의 베트남 철수에 의해 정당화 된 것이지 [18]신용을 떨어뜨린 것은 아니었다.포드호레츠의 '우리가 베트남에 있었던 이유'에 대해 한 평론가는 "중요한 논쟁의 각주가 [19]독자를 베트남에 있는 겐터 르위의 미국으로 향하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유죄는 정당합니까?"

Guenter Lewy가 그의 비평가들에게 대답한 방법 중 하나는 "American Combinity Justified?"라는 제목의 에세이에서였다.이 글에서 그는 많은 미국인들이 베트남 전쟁을 감행한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지만,[20] "미국인들의 죄책감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전쟁에 대한 사실들에 의해 보장되지 않는다"고 제안한다.

저를 비판하는 몇몇 사람들은 저를 일종의 도덕적 문둥병자로 묘사했습니다. 유대인 대학살이 일어났다는 것과 6백만 명의 유대인이 대학살 동안 살해되었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들과 비교하면서 말이죠.다른 사람들은 제 작품이 아마도 논쟁을 자극하는 데 유용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너무 극단적이어서 신뢰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물론 저는 그 [20]평가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르위는 전쟁 상황에서 합법성과 도덕성에 대한 그의 개념을 설명하면서 합법적인 것도 반드시 도덕성이어야 한다고 시사했다. "나는 미국의 군사 전술이 합법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베트남에서의 미국의 행동이 비도덕적이었다는 (비평가들의) 주장도 분명히 약화시킨다."그는 또한 "부도덕한 행위에는 부도덕한 의도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는데, 그는 "베트남의 "자유 사격 지역"이 [21]"2차 세계대전민간인 인구에 대한 테러 폭격"과 구별된다고 믿는다.

미국에서 베트남에 온 주장 중 일부를 다시 언급하면서, 르위는 베트남에서의 전쟁은 대량학살의 의도 부족과 "결과"를 포함한 여러 가지 이유로 대량학살을 구성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유엔에 의해 개발된 통계에 따르면, 전쟁 기간 동안 남베트남과 북베트남의 인구는 비슷한 기간 동안 미국의 약 두 배 속도로 증가했습니다.그것만으로도 대량학살의 혐의는 다소 기괴하다.[22] 즉, 의도적으로 한 민족을 파괴하는 것이다.

윈터 솔저 수사

윈터 솔저 수사 이후 7년 만에 등장한 베트남 주둔 미국2004년 미국 대선에서 논란이 됐다.대통령 후보인 존 케리는 윈터 솔저 조사에 참여했었다; 선거운동의 맥락에서, 윈터 솔저 조사가 부정직하고 정치적인 동기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르위의 제안은 종종 존 케리의 [23]명성을 부정하는 것으로 인용되었다.

케리가 참여했던 베트남 참전용사들은 미군이 베트남에서 잔혹행위를 저질렀다고 주장했다.르위 씨는 이 단체가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윈터 솔져 청문회에서 "위장 증인"을 사용했으며 이들의 혐의는 공식적으로 조사됐다고 말했습니다.

해군수사처가 실시한 조사 결과는 흥미롭고 드러난다.많은 참전용사들은 개인적으로 저지른 만행에 대해 조사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하면서도 인터뷰를 거부했다.VVAW의 활동적인 회원 중 한 명은 조사관들에게 지도부가 전체 회원들에게 군 당국과 협력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인터뷰에 동의한 흑인 해병은 청문회에서 그가 묘사한 분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못했지만, 그는 베트남 전쟁을 "하나의 거대한 잔혹행위"와 "인종차별적 음모"라고 말했다.그는 베트남에 있는 동안 잔혹행위에 대한 의문이 떠오르지 않았고 이슬람 국가원으로부터 증언 준비를 도와왔다고 시인했다.그러나 가장 피해가 큰 판결은 목격자들에 의해 입증되는 몇몇 참전용사들의 선서 진술로 이루어졌는데, 그들은 실제로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청문회에 참석하지 않았다.그들 중 한 명은 평생 디트로이트에 가본 적이 없었다.그는 누가 자신의 [8]이름을 사용했는지 몰랐다고 말했다.

오늘날 정부 관리들은 분실되거나 [24]파괴되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지만 해군 수사국에 대한 어떠한 기록도 가지고 있지 않다.르위는 나중에 자신이 실제로 이 보고서를 봤는지 아니면 단순히 [25]그 내용을 들었는지 기억할 수 없다고 말했다.

레퍼런스

  1. ^ a b 마르텔, 고든미국 외교 관계 재고, 1890-1993. 1994, 141페이지
  2. ^ Fellows, James (28 March 1982). "In Defense of an Offensive War". The New York Times.
  3. ^ Horwood, Ian. "Book review: Triumph Forsaken: The Vietnam War, 1954–1965". Reviews in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2-23. Retrieved 2009-05-06.
  4. ^ a b Morrow, Lance (23 April 1979). "Viet Nam Comes Home". Ti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October 2012.
  5. ^ Divine, Robert A.; Lewy, Guenter; Millett, Allan R. (September 1979). "Review: Revisionism in Reverse". Reviews in American History. 7 (3): 433–438. doi:10.2307/2701181. JSTOR 2701181.
  6. ^ 베트남에 있는 미국, Guenter Lewy, 페이지 VII.
  7. ^ 미국의 베트남, 페이퍼백, 1980년.
  8. ^ a b 르위, 겐터베트남에서의 미국. 페이지 317
  9. ^ 르위, 겐터베트남에서의 미국. 페이지 159
  10. ^ 르위, 겐터베트남에 있는 미국, 페이지 224
  11. ^ 디트마, 린다, 미쇼, 진하노이에서 할리우드까지.1990, 86페이지
  12. ^ 캅스, 월터 H.베트남 독자 1991년 106쪽
  13. ^ 캠벨, 닐, 킨, 알스데어.미국 문화 연구: 미국 문화 입문 페이지 255
  14. ^ 모야르, 마크Triumph Forgain. 2006, 422페이지
  15. ^ "A Winnable W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1-17.
  16. ^ 오닐, 존 E.지휘에 적합하지 않습니다.2004, 177페이지
  17. ^ a b 포드호레츠, 노먼Norman Podhoretz Reader.2004년, 174-7페이지
  18. ^ 포드호레츠, 노먼Norman Podhoretz Reader.2004년, 페이지 163
  19. ^ Fallows, James (March 28, 1982). "In Defense of an Offensive War". The New York Times.
  20. ^ a b 세비, 그레이스베트남에서의 미국 경험.1991년, 257페이지
  21. ^ 세비, 그레이스베트남에서의 미국 경험.1991년, 258-9페이지
  22. ^ 세비, 그레이스베트남에서의 미국 경험.1991년, 262페이지
  23. ^ "Swift Boat Veterans Anti-Kerry Ad: 'He Betrayed Us' With 1971 Anti-War Testimony. Group quotes Kerry's descriptions of atrocities by US forces. In fact, atrocities did happen". FactCheck.org. 23 August 2004.
  24. ^ G.W. (13 September 2004). "Stolen Honor producer Sherwood falsely claimed Winter Soldier investigation "utterly discredited"". Media Matt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September 2004.
  25. ^ 레잘리, 다리우스고문과 민주주의.2007년, 588페이지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