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하 셀라시
Amha Selassie암하 셀라시 አምሃ ሥላሴ | |
---|---|
![]() 1932년 암하 셀라시 | |
에티오피아의 황제 (확인되지 않음) | |
통치. | 1974년 9월 12일 – 1975년 3월 12일 |
전임자 | 하일레 셀라시 1세 에티오피아의 황제로서 |
후계자 |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Derg 회장 Tafari |
회장님 사실상의 | 아만 안돔 타파리 벤티 |
에티오피아의 망명 황제 | |
통치. | 1989년 4월 8일 ~ 1997년 1월 17일 |
전임자 | 하일레 셀라시 1세 |
상속인 | 제라 야콥 왕세자 |
태어난 | 하라르, 에티오피아 제국 | 1916년 7월 27일
죽은 | 1997년 1월 17일([1] 맥린, 버지니아, 미국 | (80세)
매장 | |
배우자. | 볼레테 이스라엘 세욤 메드페리아쉬워크 아베베 |
쟁점. | 이지가예후 마리암 세나 공주 세힌 아제베 시프라쉬 비주 공주 제라 야콥 왕세자 |
하우스. | 솔로몬 왕가 (슈완 분가) |
아버지. | 하일레 셀라시 1세 |
어머니. | 메넨 아스파우 |
종교 |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
암하 셀라시에 GBE(Amha Selassie GBE, 1916년 7월 27일 ~ 1997년 [1]1월 17일)는 에티오피아의 망명 황제이다.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아들로서, 그는 황태자였고 세 번 황제로 선포되었다.그는 1960년 12월 그의 아버지에 대한 쿠데타 시도가 실패했을 때 처음으로 황제로 선포되었고, 그 기간 동안 그는 구금되어 그 칭호를 받아들이도록 강요당했다고 주장했다.이후 쿠데타로 그의 아버지가 폐위된 후, 그는 1974년 9월 12일 합법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1975년 3월 12일 에티오피아 왕정 폐지로 끝난 행동으로 더그에 의해 다시 황제로 선포되었다.그는 1989년 4월 8일 다시 망명황제로 선포되었다.이번에 그는 그 선언을 승인하고 [citation needed]그 합법성을 받아들였다.즉위 후, 그의 완전한 통치 이름은 황제 아하 셀라시에 1세, 신의 선택자, 유다 부족의 정복 사자, 에티오피아 왕이었다.
전기
그는 1916년 [1]7월 27일 당시 하라르의 총독이자 미래의 에티오피아 황제였던 데자즈마흐 타파리 마코넨과 그의 아내 메넨 아스파우 사이에서 하라르의 성벽 도시 아스포에서 태어났다.
암하 셀라시에는 1930년 11월 2일 그의 아버지가 황제로 즉위했을 때 에티오피아의 아스파우 보센 왕세자가 되었다.아스파우 워센 황태자는 메리다즈마흐라는 칭호와 그의 영지로 통치할 월로주(옛 왕국)를 받았다.그는 요한니스 4세 황제의 증손녀인 울레테 이스라엘 세욤 공주와 결혼하여 딸 이지가예후를 두었다.1936년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 이후 왕세자와 공주는 나머지 황족들과 함께 망명길에 올랐다.그들은 1938년경에 헤어졌고 결국 1941년에 이혼했다.
1941년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가 복위하자, 왕세자는 에티오피아로 돌아와, 에티오피아에서 마지막으로 점령한 도시 곤다르에서 이탈리아군을 몰아내기 위한 캠페인에 참가했다.그는 잠시 동안 베젬더와 티그레이 주의 주지사 대행을 맡았고, 울로를 계속 유지하였다.그는 결국 메드페리아슈워크 아베베 공주와 재혼했고, 마리아 세나, 세프라시, 세힌, 아들 제라 야콥 왕자의 세 딸을 더 낳게 된다.
1960년 12월 13일 저녁, 황제가 브라질을 방문하던 중 그의 형 제르마메 뉴와이와 함께 에티오피아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잡았다.쿠데타 지도자들은 아스파우 워센 왕세자를 황궁에 구금하고, 다음날 아침 수도 대부분을 장악하고, 왕세자에게 라디오 성명을 낭독하도록 강요했으며, 왕세자는 그의 아버지 대신 왕관을 받아들이고 개혁 정부를 발표했다고 한다.그러나 Dejazmach Asrate Medhin Kassa와 참모총장 Mared Mangesha가 이끄는 정규군은 그 다음날 공군은 물론 다른 군 편대를 장악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 그날 늦게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총대주교 Abuna Basilios는 모든 반군에 대한 반역을 발표했다.ls. 12월 15일, 도시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반군들은 아디스아바바에서 쫓겨났다; 반군들이 후퇴하기 전에, 궁전의 그린 살롱에서 인질로 잡혀있던 많은 정부와 귀족들을 학살했다.사망자 중에는 아베베 아레가이와 세이음 망가샤가 있었다.황제는 에티오피아로 돌아와 12월 [2]17일 수도로 들어갔다.비록 황태자가 강압에 의해 행동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그의 견해는 오랫동안 그의 아버지보다 상당히 자유로웠기 때문에 그는 항상 쿠데타 시도에 기꺼이 가담했다는 의심을 받았다.반면 왕세자의 부인인 메드페리아쉬워크 아베베는 쿠데타 시도에 반대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1974년 아스파우 워센 왕세자는 "분명히 혁명에 대해 미리 알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혁명을 [3][4]조직한 사람들의 일부였다"고 말했다.
1972년 말 56세의 나이로 아버지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가 자신이 공작(월로)으로 있던 지역의 기근 현실을 숨겼다고 비난하자 아스파우 보센 왕세자는 심한 뇌졸중을 일으켜 런던과 [1][6]스위스로[5] 후송돼 치료를 받았다.그는 아내와 딸들을 동반하고 있었다.뇌졸중으로 인해 그는 한쪽이 영구적으로 마비되고 걸을 수 없게 되었고, 그의 말에도 영향을 미쳤다.아스파우 워센 왕자가 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자 당시 옥스퍼드대 학생이었던 그의 아들 제라 야콥 왕자는 "황태자 대행"과 "하이어 추정"[7]으로 명명되었다.
단기간 통치
1974년 암하 셀라시의 소위 "짧은 통치"는 1974년 9월 12일 아버지의 권좌에서 물러날 때까지 1975년 [8]3월 군주제가 폐지될 때까지 명성이 높았다.Amha Selassie는 쿠데타가 일어났을 때 치료를 받기 위해 외국에 있었고,[5] 그는 생전에 돌아오지 않았다.
Haile Selassie는 절대 퇴위에 서명하거나 황제로서의 지위를 포기한 적이 없다.군정은 황태자를 황제 대신 왕으로 선포했지만 황태자는 그 칭호를 인정하지 않았고 아버지의 퇴위도 받아들이지 않았다.새 정부가 제국 정부 관료 61명을 학살했을 때 아스파우 워센 왕세자는 BBC를 통해 강력한 비난을 퍼부었다.이 성명은 "아스포 워센 왕세자"의 이름으로 발표되었는데, 이는 그가 더그 왕자가 자신을 그의 아버지 대신 군주로 선언한 것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그는 1989년 4월까지 황태자 칭호를 계속 사용하다가 마침내 암하 셀라시에 1세의 왕명으로 황제가 되었다.그의 승계는 1974년 9월 12일이 아니라 그의 아버지가 사망한 1975년 8월 27일로 거슬러 올라간다.그는 더그 정권의 모든 행위가 불법적이고 [citation needed]불법적이라는 자신의 견해를 되풀이했다.
망명 생활
1974년 9월 12일, 더그 군사 정권은 하일레 셀라시 황제를 폐위시키고 아스파우 보센 왕세자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치료를 마치고 돌아오면 "왕"으로 임명될 것이라고 선언했다.그것은 아쇼가 [9]입헌군주로서 통치하는 것을 의도했다.
하지만, 왕자는 이 선언을 인정하지 않았고 에티오피아로 돌아가지 않았다.대신 런던 주재 에티오피아 대사관에 그가 곧 그 도시로 이동할 것이라고 발표했을 때, 대사관은 더그에게 그를 왕과 국가 원수로 맞이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가 영국에 도착하는 [citation needed]즉시 왕세자로 맞이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시를 요청했다.더그는 자신을 에티오피아의 단순한 시민으로 받아 들여야 하며 왕자와 그의 가족에게 왕실의 위엄을 부여해서는 안 된다고 대답했다.혁명가들은 곧 1975년 3월에 군주제를 폐지했고, 황태자 아스파우 워센은 이미 몇몇 다른 황족들이 [citation needed]근거지를 두고 있는 런던에 영구적으로 정착했다.혁명 당시 에티오피아에 남아있던 다른 왕족들은 아스파우 워센의 아버지, 황제, 초혼의 딸, 이지가예후, 여동생 테나뉴 공작물, 조카, 친척, 시댁 등 감옥에 갇혔다.1975년 아버지 하일레 셀라시에 천황과 1977년 1월 딸 이지가예후가 구류 중 사망했다.황실은 1989년(여성용)과 1990년(남성용)까지 투옥되었다.
1989년 4월, 아스파우 보센 왕세자는 런던에 있는 그의 집에서 추방된 에티오피아 공동체 구성원들에 의해 "에티오피아의 황제"로 선포되었다.그는 암하 셀라시 1세의 왕위를 물려받았다.그의 아내 또한 "황후"라는 호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년 후, 망명 중인 황제와 황후는 워싱턴 D.C.와 그 주변의 에티오피아 이민자 인구와 가까워지기 위해 미국 버지니아 주 맥클린으로 이주했다.
1991년, 더그의 몰락과 에티오피아에서 EPRDF가 집권하면서, 암하 셀라시에는 에티오피아에서 군주제 복원을 추진하기 위해 모아 안베사 모나크리스트 운동을 창설하고, 그의 조국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그러나 하일레 셀라시에 천황의 유골이 파묻힌 후, 황실과 새 정부 사이에 작고한 천황의 장례식의 지위를 둘러싼 분쟁이 일어났다.정부는 하일레 셀라시에의 국장을 거부했고, 그 결과 장례식과 암하 셀라시의 귀환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죽음.
Amha Selassie는 오랜 질병 끝에 1997년 1월 17일 미국 [5]버지니아 주에서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그는 1992년에 [1][5]겪었던 뇌졸중에서 완전히 회복된 적이 없었다.그 당시 그의 아들 제라-야콥 셀라시는 런던의 개섬에 살고 있었다.하지만 그가 미국에서 열린 장례식을 주재하기 위해 비자를 신청했을 때, 그는 비자를 거절당했다.그가 두 번째 지원했을 때, 그는 다시는 지원하지 말라고 들었다.런던 주재 미국 대사관 대변인 데니스 울프는 제라 야콥이 영국에 [10]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밖에 거주지를 갖고 있다는 것을 당국에 납득시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그 후, 암하 셀라시에의 시신은 에티오피아로 날아가 아디스아바바의 홀리 트리니티 대성당에 있는 황실 금고에 안장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5]
훈장, 훈장 및 명예
주문 및 장식
Amha Selassie는 다음과 같은 많은 훈장을 받았습니다.
국가의
솔로몬 기사단의 대 저지선과 목걸이(1930년)
솔로몬의 옥새 기사단 대계선
삼위일체 기사단 대계선
메넬리크 2세 대군도
에티오피아 별훈장 대십자훈장
하일레 셀라시의 공로훈장
외국의
레오폴드 기사단 대군장(벨기에, 1958년)
남십자훈장 대십자(1958년 7월 4일 브라질)
코끼리 훈장 (덴마크, 1970년 1월 15일)
무함마드 알리 훈장 (이집트, 1932년)
나일 기사단 깃 (이집트)
흑성훈장 대십자장(1930년 10월 30일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대십자장 (프랑스, 1932년 1월 2일)
독일연방공화국(독일) 공로훈장 1등급
가나성훈장 명예 동행자(가나, 1970)
구세주 기사단 대십자장 (그리스, 1959년)
모리스와 라자루스 기사단 대십자(이탈리아, 1932년)
국화훈장(일본)
욱일승천장 대계선(일본)
요르단의 별 기사단 대계단 (Jordan, 1960)
그랜드 코든 삼나무 전국 훈장(레바논)
네덜란드 사자훈장 대십자장 (네덜란드, 1953년 11월 7일)
성 올라브 기사단 대십자장 (노르웨이, 1956년)
폴로니아 레스티투타 기사단 대십자(1930년 10월 30일 폴란드)
루마니아의 별 훈장 1등급(로마니아, 1967년)
가톨릭 이사벨라 대십자장(1971년 [11]4월 27일 스페인)
바사 훈장 대십자장 (스웨덴, 1935년 1월 9일)
세라핌 기사단 (스웨덴, 1954년 11월 15일)
흰코끼리 기사단 특별반(태국, 1970년)
그랜드 코든 태국왕관훈장 특별등급(태국)
성 미카엘 성 조지 기사단 명예 대십자장(영국, 1958년)
교황 비오 9세 기사단 대십자(바티칸, 1932년)
명예군 계급
암하 셀라시에는 다음과 같은 [citation needed]계급이 있었다.
국가의
조상
암하 셀라시의 조상 | ||||||||||||||||||||||||||||||||||||||||||||||||||||||||||||||||||||||||||||||||||||||||||||||||||||||||||||||||||||||||||||||||||||||||||||||||||||||||||||||||||||||||||||||||||||||||||||||||||||||||||||||||||||||||||||||||||||||||||||||||||||||||||||||||||||||||||||||||||||||||||||||||||||||||||||||||||||||||||||||||||||||||||||||||||||||||||||||||||||||||||||||||||||||||||||||||||||||||||||||||||||||||||||||||||||||||||||||||||||||||||||||||||||||||||||||||||||||||||||||||||||||||||||||||||||||||||||||||||||||||||||||||||||||||||||||||||||||||||||||||||||||||||||||||||||||||||||||||
---|---|---|---|---|---|---|---|---|---|---|---|---|---|---|---|---|---|---|---|---|---|---|---|---|---|---|---|---|---|---|---|---|---|---|---|---|---|---|---|---|---|---|---|---|---|---|---|---|---|---|---|---|---|---|---|---|---|---|---|---|---|---|---|---|---|---|---|---|---|---|---|---|---|---|---|---|---|---|---|---|---|---|---|---|---|---|---|---|---|---|---|---|---|---|---|---|---|---|---|---|---|---|---|---|---|---|---|---|---|---|---|---|---|---|---|---|---|---|---|---|---|---|---|---|---|---|---|---|---|---|---|---|---|---|---|---|---|---|---|---|---|---|---|---|---|---|---|---|---|---|---|---|---|---|---|---|---|---|---|---|---|---|---|---|---|---|---|---|---|---|---|---|---|---|---|---|---|---|---|---|---|---|---|---|---|---|---|---|---|---|---|---|---|---|---|---|---|---|---|---|---|---|---|---|---|---|---|---|---|---|---|---|---|---|---|---|---|---|---|---|---|---|---|---|---|---|---|---|---|---|---|---|---|---|---|---|---|---|---|---|---|---|---|---|---|---|---|---|---|---|---|---|---|---|---|---|---|---|---|---|---|---|---|---|---|---|---|---|---|---|---|---|---|---|---|---|---|---|---|---|---|---|---|---|---|---|---|---|---|---|---|---|---|---|---|---|---|---|---|---|---|---|---|---|---|---|---|---|---|---|---|---|---|---|---|---|---|---|---|---|---|---|---|---|---|---|---|---|---|---|---|---|---|---|---|---|---|---|---|---|---|---|---|---|---|---|---|---|---|---|---|---|---|---|---|---|---|---|---|---|---|---|---|---|---|---|---|---|---|---|---|---|---|---|---|---|---|---|---|---|---|---|---|---|---|---|---|---|---|---|---|---|---|---|---|---|---|---|---|---|---|---|---|---|---|---|---|---|---|---|---|---|---|---|---|---|---|---|---|---|---|---|---|---|---|---|---|---|---|---|---|---|---|---|---|---|---|---|---|---|---|---|---|---|---|---|---|---|---|---|---|---|---|---|---|---|---|---|---|---|---|---|---|---|---|---|---|---|---|---|---|---|---|---|---|---|---|---|---|---|---|---|---|---|---|---|---|---|---|---|---|---|---|---|---|---|---|---|---|---|---|---|---|---|---|---|---|---|---|---|---|---|---|---|---|---|---|---|---|---|---|---|---|---|---|---|---|---|---|---|---|---|---|---|---|---|---|---|---|---|---|---|---|---|---|---|---|---|---|---|---|---|---|---|---|---|---|---|---|---|---|---|---|---|---|---|---|---|---|---|---|---|---|---|---|---|---|---|---|---|---|---|---|---|---|---|---|---|---|---|---|---|
|
레퍼런스
- ^ a b c d e Copley, Gregory. "A Brief Biography of His Imperial Majesty Emperor Amha Selassie I". Ethiopia Reaches Her Hand Unto God. Retrieved 21 March 2020 – via The Crown Council.
- ^ Clapham, Christopher (December 1968). "The Ethiopian Coup d'Etat of December 1960". Journal of Modern African Studies. 6 (4): 495–507. doi:10.1017/S0022278X00017730. JSTOR 159330.
- ^ Last, Alex. "Witness History". bbc.co.uk. BBC. Retrieved 19 October 2021.
- ^ Vukotic, Petar. "BBC Witness Interview with Asfa-Wossen Asserate about the 1960 Coup Attempt". YouTube. Petar Vukotic. Retrieved 19 October 2021.
- ^ a b c d e Orr, David (2 February 1997). "Funeral brings the royals back to Ethiopia". The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October 2015. Retrieved 22 March 2020.
- ^ Lautze, Sue; Raven-Roberts, Angela; Erkine, Teshome (February 2009). "Humanitarian governance in the new millennium: an Ethiopian case study" (PDF). Humanitarian Policy Group: 12n8. Retrieved 19 October 2021.
- ^ Charles Mohr (15 April 1974). "Haile Selassie Designates a Grandson as Eventual Successor".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 February 2022.
- ^ "Ethiopia's Military Government Abolishes Monarchy and Titles". The New York Times. 22 March 1975. Retrieved 3 February 2022.
- ^ "Ethiopian Crown Prince Hears News of Succession on Radio". The New York Times. 13 September 1974. Retrieved 10 June 2022.
- ^ Carlin, John (1997). "The Emperor of E14". No. 26 January 1997. Independent on Sunday.
- ^ 헤메로테카 ABC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의 Negus Asfaw Wossen 관련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