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르 발레

Amir Valle
아미르 발레
Amir Valle in 2012
2012년 아미르 발레
태어난아미르 발레 오제다
(1967-01-06) 1967년 1월 6일 (55세)
쿠바 관타나모
직업기자 겸 작가
언어스페인어
국적쿠바의
시민권
모교아바나 대학교
기간1989-현재
장르.
주목할 만한 작품
  • 라스 푸에르타스 데 라 노체
  • 시 크리스토 테 데스누다
  • 하바나바빌로니아
  • 라 하바나:푸에르타 데 라스 아메리카스
아이들.2
웹사이트
amirvalle.com

아미르 발레 오제다(Amir Valle Ojeda, 1967년 1월 6일 출생)는 쿠바의 언론인, 문학평론가, 작가다.피델 카스트로 정권에 대한 비판의 여파로 2006년 쿠바 복귀가 금지됐다.그 후 그는 베를린에 정착하기로 결심했고, 그곳에서 그는 전문적인 활동을 계속했다.

전기

아미르 발레는 1967년 1월 6일 관타나모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산티아고쿠바에서 보냈다.그는 처음에는 산티아고 데 쿠바에서, 다음에는 아바나에서 언론학부에 입학했다.기자로 졸업한 뒤 쿠바 당국이 젊은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부과한 '사회봉사'에 3년간 참여했다.1989년에 그는 저널리스트와 문학평론가로 일하기 시작했다.[1][2][3]

발레의 작품은 정부 당국에 의해 숨겨진 쿠바의 숨겨진 사회적 측면을 묘사하고 있다.그는 특히 아바나를 배경으로 한 그의 탐정 소설 시리즈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그의 스릴러물에서, 알랭 베크 형사는 라스 푸에르타스 데 라 노체 또는 시 크리스토데스누다에서 마약과 매춘의 세계를 발견한다.아미르 발레는 또한 쿠바의 매춘에 관한 연구인 지네테라스(후커스-하바나 바빌론)를 포함한 여러 편의 에세이를 출간했다.피델 카스트로의 정권에 대한 그의 규칙적인 비판은 발레가 스페인 여행을 마치고 2006년 쿠바로 돌아가는 것을 막는 결과를 낳았다.강제 추방된 그는 독일 베를린에 정착하기로 결심했다.그는 작가들을 돕는 NGO국제 PEN 클럽의 후원을 받았다.[4][5][6]

발레의 가족도 5살 난 아들이 부모와 함께 유럽으로 이주하는 것을 허락받지 못하자 발레는 쿠바 혁명 지도자 피델 카스트로의 친구였던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호세 사라마고에게 고개를 돌렸다.일주일 후 쿠바 당국은 출국 허가를 내렸고 발레의 아들은 2006년 7월 쿠바를 떠날 수 있었다.같은 해 여름, 카스트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불명예스러운 작가 발레를 "진테롤로고(chineterologo, 일종의 "영양학자" 같은 매춘부 전문가를 지명하기 위한 경멸적인 단어의 창조)라고 언급했다.[7]그로부터 1년 뒤 18세였던 발레의 장남도 쿠바를 떠날 수 있게 됐다.[8]

베를린 발레에서는 조사 저널리즘 활동을 계속하고 있으며, 독일 외무부와 독일 국제방송인 도이체벨레통신에서 트레이너, 컨설턴트, '어드바이저 및 정치분석가'로도 활동하고 있다.아미르 발레는 라틴 아메리카 문화 잡지 오트로루누네스 - 레비스타 히스파노아메리카나컬투라를 제작, 감독한다.[9]

수상

  • 2007년 스페인어 논픽션 부문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로돌포 월시상(스페인, 2006년)은 2008년 하바나 바빌로니아라는 제목으로 재발행됐다. 라카 오컬타라스 지네테라스.[9]
  • NORMALPOL 2006 스페인 스릴러상, 2008년 카모나 범죄 소설상 2006년에 출판된 산투아리오솜브라스상.[9]
  • 소설 바르가스 요사 2006의 상은 소설 라스 팔라브라스로스 무에르토스.[9]

참고 문헌 목록

픽션

  • Tiempo en cueros (단편 이야기, 1988년)
  • Yo soy el malo (단편 이야기, 1989년)
  • 라단자 알루치나다자살충동(단편, 1999)
  • 엘 오호 데 라 노체 앙탈로니아쿠엔토 페메니노(1999)
  • 마누스크리토스메르토르 (단편, 2000)
  • Las Puertas de la noche (노벨, 2001, 2002)
  • 무차차 아줄 바호 루비아 (노벨, 2001, 2008)
  • Si Christo te desnuda (노벨, 2001, 2002)
  • 엔트레 미도라스 솜브라 (노벨, 2004)
  • 로스 데스누도스디오스 (노벨, 2004)
  • Die Türen der Nacht (Las Puertas de la noche) (노벨, 2005)
  • 울티마스 노티시아스인피에노(Novel, 2005년)
  • 산투아리오솜브라 (노벨, 2006년)
  • Wenn Christo dich enkleidet (만약 그리스도가 당신에게 옷을 벗긴다면) (노벨, 2006)
  • 다이하우트(Die Haut und Die Nackten) (The Naked of God) (노벨, 2006)
  • 라스팔라브라스로스 무에르토스 (노벨, 2007)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국제 소설상
  • Zwischen Angst und Shatten (공포와 그림자 사이) (노벨, 2007)
  • Die Wörter und die Toten (The Words and the Dead) (노벨, 2007)
  • 타투아제스 (노벨, 2007)
  • 프리스타트 데어 섀튼(그림자 산토리) (노벨, 2007)
  • 라가스 노케스플라비아 (노벨, 2008)
  • La restoration es un tango de Gardel/Nostalgia는 Gardel의 탱고 (단편 이야기, 2008)
  • Lust (Die Haut und Die Nackten) (La piel y los desnudos) (제2판, 소설, 2009)
  • 라스레이스오디오 (미움의 뿌리) (노벨, 2012)
  • 라시아르마이 체 티 베다노 피앙게르 (Non lasciar mai che ti vedano pianggere (Never let theme see you worry) (Novel, 2012년
  • 휴고 스파다포라 바호라피엘델홈브레 (인간의 피부아래) (노벨, 2013)
  • Nunca dejes que te vean llorar (Never let them see you worry) (novel, 2015)
  • 그리움기아스, 아이러니아스 이오트라스 알루치나시온스(Nostalgia, 아이러니, 기타 환각) (단편, 2018)
  • Los nudos 불가침(보이지 않는 매듭)(노벨, 2021년)

에세이

  • 쿠웨네스 나란 엔 치엔푸에고스 (1993)
  • 이즈 유니버소 데 라 솔리다드 아메리카나 (1998년)
  • 브레비시마스 데멘시아스 La narrativa cubana de los 90(2001)
  • 팔라브라스 아모르다사다스 쿠바의 검열단 / 개그드 쿠바의 검열 (스페인어/영어 2개판, 2016년)
  • 라 에스트라테티아 델 베르두고 쿠바의 문화적 파노라마 데 라 검열(집행자의 전략)을 간략히 설명하십시오. 쿠바의 문화 검열 개요 (2020)

논픽션

  • En ombre de Dios (1990)
  • 콘 디오스 엔엘 카미노(1999)
  • 지네테라스(2006) 로돌포 왈시 국제상 스페인어 논픽션 부문 최우수 작품상.
  • 하바나 바빌로니아. La cara ochulta de las jineteras(2008)
  • 하바나 바빌로니아. 쿠바에서의 매춘.Zeugnisse (고시문헌, 2008)
  • 라 하바나. 푸에르타 라스 아메리카스 (Fictional History Essay, 2009)
  • 라 하바네 바빌론(고증 문헌, 2010)
  • 쿠바의 아바나 바빌로니아 또는 매춘부 (고증 문헌, 2017년)

기독교 문학

  • 엘베르다데로 로스트로 데 디오스 Como vivir en Christo en un paies extranjero (신의 진짜 얼굴) 외국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사는) (Essay, 2015)

참조

  1. ^ "Amir Valle". Evene.fr (in French). Retrieved 2021-09-18.
  2. ^ "Amir Valle". PEN-Zentrum Deutschland (in German). Retrieved 2021-09-18.
  3. ^ "Entretien d'Amir Valle avec Ángel Santiesteban" (PDF).{{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4. ^ "Amir Valle — internationales literaturfestival berlin". www.literaturfestival.com. Retrieved 2021-09-18.
  5. ^ "1990-2003 Los mercenarios del imperio OtroLunes 56" (in Spanish). Retrieved 2021-09-18.
  6. ^ Voyageurs, Etonnants (2021-09-18). "VALLE Amir". Etonnants Voyageurs (in French). Retrieved 2021-09-18.
  7. ^ ""A La Havane, les prostituées sont des modèles de réussite"". LExpress.fr (in French). 2010-03-01. Retrieved 2021-09-18.
  8. ^ "Cuadernos de Pensamiento Plural Winter 2013" (PDF).{{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9. ^ a b c d "Otro lunes" (PDF).{{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