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암모늄

Ammonium carbonate
탄산암모늄
Ammonium carbonate.svg
Ball-and-stick model of two ammonium cations and one carbonate anion
Uhličitan amonný.JPG
이름
IUPAC 이름
탄산암모늄
기타 이름
  • 제빵용 암모니아
  • 염분 휘발성
  • 하트쇼른의 소금
  • E503
식별자
  • 506-87-6 checkY
  • 16799-91-0 (수화물) checkY
3D 모델(JSmol)
켐스파이더
ECHA InfoCard 100.007.326 Edit this at Wikidata
EC 번호
  • 233-786-0
E 넘버 E503(i) (acidity regulator, ...)
펍켐 CID
유니
UN 번호 3077
  • InChi=1S/CH2O3.2H3N/c2-1(3)4;/h(H2,2,3,4);2*1H3 checkY
    키: PRKQVKDSMLBJBJ-UHFFFAOYSA-N checkY
  • InCHI=1/CH2O3.2H3N/c2-1(3)4;/h(H2,2,3,4);2*1H3
    키: PRKQVKDSMLBJBJ-UHFFFAOYAQ
  • O=C(O)O.N.n
  • [NH4+][NH4+][O-]C(=O)[O-]
특성.
(NH4)2CO3
어금질량 96.09 g/190
외관 화이트 파우더
밀도 1.50 g/cm3
녹는점 58°C(136°F, 331K) (손상)
100g/100ml(15°C)[1]
25 g/100 ml(20°C)
자기 감수성(magnetic susibility)
-42.50·10cm−63/192
위험
산업안전보건(OHS/OSH):
주요 위험
자극성
GHS 라벨 표시:
GHS07: Exclamation mark
경고
H302, H319
안전 데이터 시트(SDS) 외부 MSDS
관련 화합물
기타 음이온
중탄산암모늄
카르밤산 암모늄
기타 양이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check 이버라이시checkY☒N(?)
Infobox 참조 자료

탄산암모늄은 화학식(NH4)2CO를3 함유한 소금이다. 가열하면 기체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쉽게 분해되기 때문에 발효제로도 쓰이고 소금 냄새로도 쓰인다. 그것은 제빵사의 암모니아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보다 현대적인 발효제인 베이킹 소다베이킹 파우더의 전신이었다. 이것은 이전에 소금으로 알려진 하트손의 휘발성 물질과 소금으로 구성되며,[2] 구우면 톡 쏘는 냄새가 난다.

생산

탄산 암모늄은 이산화탄소와 수성 암모니아를 혼합하여 생산된다. 1997년 현재 연간 약 8만 톤이 생산되었다.[2]

정형합성 단수화물은 알려져 있다.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대기 중에 노출된 암모니아 용액에서 결정화된다.[3]

분해

탄산암모늄은 두 경로를 통해 표준 온도와 압력에서 서서히 분해된다. 따라서 탄산암모늄의 초기 순수 샘플은 곧 다양한 부산물을 포함한 혼합물이 될 것이다.

탄산암모늄은 자발적으로 중탄산암모늄암모니아분해될 수 있다.

(NH4)2CO3 → NCHCO43 + NH3

이산화탄소, 물, 암모니아 분자로 분해되는 물질:

엔에이치코43 → HO2 + CO2 + NH3

사용하다

발효제

탄산암모늄은 특히 북유럽과 스칸디나비아의 것(예: Speculo, Tunnbröd 또는 Lebkuchen)을 전통적인 조리법에서 발효제로 사용할 수 있다. 그것은 오늘날 더 흔히 쓰이는 베이킹 파우더의 전조였다.

원래는 사슴 뿔을 갈아 만든 것으로 하트쇼른이라고 불렸으며, 오늘날에는 제빵사의 암모니아라고 불린다. 황산암모늄과 탄산칼슘이 혼합된 승화에 의해 준비되며 백색 분말이나 단단하고 희거나 반투명한 질량으로 발생한다.[4] 열활성 발효제 역할을 하며 이산화탄소(유출), 암모니아(소멸이 필요한 물질), 물로 분해된다. 이것은 때때로 이중탄산나트륨과 결합되어 이중 작용 베이킹 파우더로 흉내내고, 구워지지 않은 암모니아 냄새를 가리는 것을 돕는다.

산도 조절기 역할도 하며 E번호는 E503이다. 베이킹 파우더로 대체할 수 있지만 이는 완제품의 맛과 식감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빵사의 암모니아는 크래커나 쿠키와 같은 얇고 건조한 구운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이것은 강한 암모니아 냄새를 구울 수 있게 해준다. 암모니아는 수분이 많고 강한 쓴 맛을 남기기 때문에 케이크처럼 촉촉하게 구운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해서는 안 된다.

레저용 물질로 사용된 것은 관련 논란과 함께 수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3종류의 빵에서는 일부 암모니아 소금의 반죽(보통 아탄소산염)을 첨가하여 그 위에 베시픽 외관이 주어지는데, 빵 굽는 과정에서 완전히 기체성 물질로 전환되어 반죽이 작은 공기 용기로 부풀어오르게 되어 마침내 터지고 가스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하고 떠난다. 다공성이 강한 빵 어큐브씨는 그의 요리 독에 관한 논문에서 이 과정을 "사기꾼"이라고 오명을 씌웠지만, 우리 의견으로는 가장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제빵업자들은 그것을 절대 채택하지 않을 것이다. 좋은 효모를 조달할 수 없을 때, 그것은 훌륭하고 완벽하게 무해한 대용품을 형성한다; 제빵업자에게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면, 그의 이윤을 감소시키는 반면, 소비자들은 고체의 물질을 유지하는 빵에 의해 이익을 얻는 반면, 발효 과정에 의해 알코올자동차의 형태로 소멸된다.본산 [5]가스

기타 용도

탄산암모늄은 비록 생산의 상업적 규모는 작지만 냄새나는 소금들의 주요 성분이다. 오늘날 캐나다에서 온 버클리의 기침 시럽은 기관지염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활성 성분으로 탄산암모늄을 사용한다. 에미틱으로 쓰이기도 한다. 스쿠알 등 무연담배 제품에서도 발견되며, 이스트만 코닥의 '코닥렌즈 클리너' 등 사진 렌즈 세정제로 수용액에 사용된다.

또한 워싱턴 에서 사과 구더기유인하는 데 사용되며, 감염의 확산을 감시하고 애플 구더기 검역 구역의 경계를 조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6]

참고 항목

참조

  1. ^ John Rumble (June 18, 2018).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9th ed.). CRC Press. pp. 4–40. ISBN 1138561630.
  2. ^ a b Karl-Heinz Zapp (2012). "Ammonium Compounds".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02_243. ISBN 978-3527306732.
  3. ^ Fortes, A.D.; Wood, I.G.; Alfè, D.; E.R. ndez; Gutmann, M.J.; Sparkes, H.A. (2014-12-01). "Structure, hydrogen bonding and thermal expansion of ammonium carbonate monohydrate".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B. 70 (6): 948–962. doi:10.1107/S205252061402126X. ISSN 2052-5206. PMC 4468514. Retrieved 2021-08-20.
  4. ^ "CFR -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www.accessdata.fda.gov. Retrieved 2018-02-07.
  5. ^ "Bread". The Engineer's and Mechanic's Encyclopedia. 1. Luke Hebert. 1849. p. 239.
  6. ^ Yee, Wee L.; Nash, Meralee J.; Goughnour, Robert B.; Cha, Dong H.; Linn, Charles E.; Feder, Jeffrey L. (2014). "Ammonium Carbonate is More Attractive Than Apple and Hawthorn Fruit Volatile Lures to Rhagoletis pomonella(Diptera: Tephritidae) in Washington State". Environmental Entomology. 43 (4): 957–968. doi:10.1603/en14038. PMID 24915519. S2CID 31174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