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칼랑
Anakalang아나칼랑 | |
---|---|
![]() 심바 중앙의 아나칼랑에 있는 메갈리틱 왕릉. | |
위치 | 인도네시아 동 누사 텐가라 섬, 레서 순다 섬, 섬, 섬바 |
좌표 | 9°35′27″S 119°34′28″E/9.590833°S 119.574433°E좌표: 9°35′27″S 119°34′28″E / 9.590833°S 119.574433°E |
빌드됨 | 알 수 없는 |
아나칼랑은 인도네시아 동부의 셈바섬에 있는 사회와[1] 거대 유적지다.그것은 4각형의 아지트와 수많은 거대 무덤으로 유명하다.[2]이곳에는 서섬바섬 최고의 거대 무덤이 자리 잡고 있다.그것들은 크고 잘 꾸며져 있고 특이한 조각들을 포함하고 있다.아나칼랑은 중요한 왕비인 '푸릉 다카동아 라투'의 고향이다.[3][4]
지리
아나칼랑은 계곡에 위치해 있는데, 아나칼랑 지역의 여러 마을에 분포되어 있는 거대 무덤이다.이 계곡은 와이카부박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5]아나칼랑은 와이카부박에서 20km(12mi) 떨어져 있으며 와잉가푸로 가는 큰길과 가까워 버스가 일정한 간격으로 도착한다.[6][5]이 지역은 셈바에서 거대 무덤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다.파성가의 큰길에는 셈바에서 가장 큰 무덤 중 하나가 있다.[6]
역사
이 사이트의 정확한 연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이 분류를 확인하기 위해 행해진 것이 아니다.석조 석조묘는 철제 물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신석기 이후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작은 cist에서 발견된 4각형의 아지트는 신석기 시대의 특징을 나타내지 않으며 신석기 이후의 것일 수도 있다.[2]거대 무덤을 짓는 전통은 서숭바에서 오늘날까지 이어져 왔다.아나칼랑은 메갈리스를 짓기 위해 따르는 사회적 관행과 전통적 방법들이 여전히 눈에 띄는 몇 안 되는 장소 중 하나라고 한다.1880년 움부 둥우 우비니 메사가 아나칼랑의 첫 라자가 되었다.1927년, 움부 사피 파두크가 이 타이틀을 계승했다.[7]움부 레무 사마파티가 세 번째 라자였고, 그의 처남인 움부 술룽 이빌로나가 그의 뒤를 이었다.[8]
거대 무덤
캄풍 마을의 거대 무덤에는 석판을 세로로 세워 놓았다.그것의 조각된 이미지는 완성하는데 6개월이 걸리는 1926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그 장례식은 150마리의 버팔로들의 희생을 포함했고, 이것들의 뿔은 지역 가옥에 보관되어 있다.또 다른 무덤은 코보덕마을에서 약 2.5km(1.6mi) 떨어진 같은 길에 있다.이 무덤은 콘크리트와 기와로 만들어졌다.이 무덤은 삼바에서 가장 큰 무덤으로 보고되고 있다.하나의 바위로 조각난 또 다른 무덤은 만드는데 6년이 걸렸고 움바 사올라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가로 5×4m(16×13ft), 세로 1m(3피트 3인치) 두께로 무게는 70m(77t)이다.그것은 3km(1.9mi)에 걸쳐 조각된 언덕 비탈에서 아나칼랑 마을의 묘지까지 끌어올려졌다.매장지에는 동쪽에 다른 무덤들도 있다.이것들은 버팔로와 수탉을 모티브로 한 지역 왕과 왕비의 조각이 새겨진 직립 석판이다.이 무덤에서 가까운 곳에서 라자의 아들은 아내와 함께 살면서 방문객들에게 그 이야기를 들려준다.[5]
문화
언어학적으로 아나칼랑은 동숨바에 속하지만 정치학적으로나 지리학적으로 서섬바 카부파텐 안에 위치한다.[9]여자들은 주로 바구니와 돗자리를 만들고, 남자들은 끈 트위닝 등에 관여한다.장신구들은 조상들을 위해 보살피고 숨겨진다.[10]
참조
- ^ Keane, Webb (1997). Signs of Recognition: Powers and Hazards of Representation in an Indonesian Socie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xviii. ISBN 978-0-520-91763-7. Retrieved 10 February 2013.
- ^ a b Simanjuntak, Truman (2006). Archaeology: Indonesian Perspective : R.P. Soejono's Festschrift. Yayasan Obor Indonesia. p. 288. ISBN 978-979-26-2499-1. Retrieved 2 February 2013.
- ^ Indonesia. Direktorat Jenderal Pariwisata (1987). Destination Indonesia. Directorate General of Tourism. Retrieved 3 January 2013.
- ^ Müller, Kal (1997). East of Bali: From Lombok to Timor. Tuttle Publishing. pp. 177–. ISBN 978-962-593-178-4. Retrieved 3 January 2013.
- ^ a b c Ver Berkmoes, Ryan (1 January 2010). Indonesia. Lonely Planet. pp. 587–. ISBN 978-1-74104-830-8. Retrieved 3 January 2013.
- ^ a b Trade & Trade & Travel Publications (1993). Indonesia, Malaysia & Singapore Handbook. New York, NY: Prentice Hall. Retrieved 3 January 2013.
- ^ Keane, Webb (4 December 2006). Christian Moderns: Freedom and Fetish in the Mission Encou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56–. ISBN 978-0-520-93921-9. Retrieved 10 February 2013.
- ^ Barker, Joshua (1 July 2009). State of Authority: The State in Society in Indonesia. SEAP Publications. pp. 131–. ISBN 978-0-87727-780-4. Retrieved 10 February 2013.
- ^ 웹(1997), 페이지 16
- ^ 웹(1997), 페이지 247-249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아나칼랑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