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난딘 아마르

Anandyn Amar
아난딘 아마르
Анандын Амар
Anandyn Amar.png
몽골 제7대 총리
재직중
1928년 2월 21일 – 1930년 4월 27일
총서기세렌오치린담바도르지
울진 바드라흐
바트오치린 엘데프오치르
펠지딘 겐덴
선행자발링기인 세렌도르지
성공자첸겔티인 지지드자브
재직중
1936년 3월 22일 – 1939년 3월 7일
총서기하스오치린 루반도르지
반자르자빈 바아산야브
선행자펠지딘 겐덴
성공자콜루기인초이발산
제6대 리틀 후랄 국가 주석
재직중
1932년 7월 2일 – 1936년 3월 22일
총서기바트오치린 엘데프오치르
잼빈 mb베
도르자빈 루반스하라프
하스오치린 루반도르지
선행자로솔린 라간
성공자단스라빌레긴 도솜
개인내역
태어난1886 (1886)
불간외몽골왕조 중국 간갈
죽은1941년 7월 10일 (1941-07-10) (56~57)
모스크바 레닌스키코무나카르카 사격장, 러시아 SFSR, USSR
정당몽골 인민혁명당(1923~1939)

아난딘 아마르(몽골어: аааднннннннннн;;;;;;;;;;;;;;;;;;;;;;, 1886년 ~ 1941년 7월 10일)는 1932년부터 1936년까지 몽골 인민 공화국의 국가 원수였으며, 1928–1930년부터는 두 차례, 1936년~1939년에는 다시 총리를 지냈다. 널리 존경받는 정치인 아마르는 소련의 지배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몽골의 독립을 웅변으로 옹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1937년부터 1939년 사이에 재임에 성공한 코를루긴 쇼이발산 내무장관과 소련 NKVD가 3만 명에 가까운 몽골인들의 대량 숙청을 단행하는 것을 막는 데 무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아마르의 인기는 결국 1939년 반혁명 혐의로 그를 기소한 친소파 초이발산에 의해 그의 숙청으로 이어졌다. 아마르는 재판에 회부되어 1941년 7월 10일에 처형되었다.

어린 시절과 경력

아마르(몽골어로 "평화/평화"라는 뜻)는 1886년 몽골 중북부 불간 간갈 지구(당시 튀셰 칸 성에서는 다이친 반 호슈라고 불림)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귀족의 아들로 '코히 타이즈'나 '불멸의 왕자' 아난드, 아마르는 호슈 학교에서 몽골어, 만주어, 고전 티베트어를 공부했다. 그 후 그는 1913년부터 1919년까지 현지 관리에서 자치 몽골 외무부 직위로 승진했다.

1923년 몽골 인민당에 입당하였으며,[1] 1924년 8월 MPRP 중앙위원회(Politburo)의 총재(Presidentium)에 선출되었다. 스몰후랄 1기부터 7기까지 겸직했다. 1923년부터 1928년까지 아마르는 부총리를 역임하면서 외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경제위원회 위원장 등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정부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기도 했다.

총리 (첫 임기)

아마르는 1928년 2월 21일 발링기인 세렌도르지 사망에 이어 총리로 임명되었다. 이미 몽골에서 그가 누렸던 위신을 의심하고 있던 소련인들은 그를 즉시 원고 연구소에 배치함으로써 그의 권한을 축소시켰다. 아마르의 첫 총리 임기는 1930년 4월 27일에 끝났다.

1930년부터 1932년까지 그는 과학 위원회의 의장으로 있었고 그 기간 동안 두 권의 책을 저술했다. 10주년 기념과학 제작 (1931년)과 몽골 국가 각본의 발전에 관하여 (1933년) 1932년부터 1936년까지 스몰 후랄(제목 국가 원수)의 총재를 지냈다.

몽골의 짧은 역사

1934년에 그는 몽골의 짧은 역사를 썼다. 프롤로그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고대부터, 특히 징기스칸이 아시아와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 영광스러운 발전의 길을 달렸음에도 불구하고, 몽골 민족이 이 후기에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져서 어떤 민족은 민족적 뿌리, 관습, 토지, 그리고 그 민족들을 보호하고 보호할 수 없었어야 했다는 것은 참으로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슬픈 일이다.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련 행위를 수행할 힘이나 정책이 없는 상태에서 강력한 외국 법인을 교체하는 재산은 다른 사람의 권한에 종속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외국 법인의 정책과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역사적으로 착취 목적으로 가격을 스스로 정하면서 몽골 국가를 자신들의 무역상점으로 전환시키고 독자적인 헤게모니를 세우려 했던 만주족과 키야타드족(중국인)과 같은 제국주의 국가들은 지금 바로 이 순간 우리의 국가 정체성을 전환하기 위해 서로 싸우고 있다.내몽골은 그들의 무역상점에 들어갔다. 그래서 몽골의 동물 사육국(내부 및 외몽골)이 다른 나라의 무역상점이 되는 운명을 맞을 정도로 낮아진 것이다."

총리(재임)

아마르는 1936년 3월 22일 펠지디인 겐덴이 양관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두 번째 총리(그리고 동시에 외무장관)로 임명되었다. 겐덴은 몽골의 불교 교회를[2] 파괴하라는 소련의 압력에 저항했고 몽골 대사관 환영회에서 공개적으로 조셉 스탈린을 꾸짖었다. 아마르가 신임 총리였지만, 코를루기인 초이발산은 스탈린의 새로운 총애를 받게 되었고, 새로 창설된 내무부 수장으로서 몽골에서 사실상의 가장 유력한 인물이었다.[3] 초이발산은 1936년 5월 정무위 간부들과 먼저 상의하지 않고 구금고위급 정치인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무위원회 규정을 개정하면서 권력을 늘렸다.

1936년 수상이 된 직후, 아마르와 단스란빌레긴 도솜 스몰후랄의 상임의장은 혁명 15주년을 기념하여 렘베 사건에 연루된 죄수들을 사면하면서 초이발산과 모스크바를 똑같이 악화시켰다. 아마르의 적들, 특히 Choibalsan은 이 사건을 가상의 Lkhimmbe 스파이 링과 연결하기 위해 사용했다. 아마르는 초이발산이 "우리는 이 봉건적 말썽꾸러기 아마르를 없애야 한다!"고 외치게 만들면서 반혁명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난을 점점 더 받았다.

스탈린주의 탄압

아마르는 1937년부터 1939년까지 내무부 내에 박혀 있던 처발산과 NKVD 고문들이 자국에 쏟아 부은 대규모 숙청을 막기 위해 무력했다. 1937년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센트럴 극장에서 열린 첫 쇼 재판에서 아마르는 친한 친구들이 사형 선고를 받자 공공연히 눈물을 흘렸다.

제거됨

아마르가 몽골인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인기를 얻었기 때문에 스탈린은 아마르를 제거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었다. 그는 Choibalsan에게 당의 지도자인 Dorjavyn Lovsansharav에게 인기 있는 수상에 대한 선전 활동을 시작하라고 지시했다.[5] 1939년 3월 6일, 루반스하라프는 MPRP 중앙위원회 확대회의에서 아마르가 "반정부 음모자들을 돕고 체포에 반대하며 국경 방어를 소홀히 했다"고 비난했다. 자기 조국을 배신하고 혁명의 배신자였소."[6] 일단 Choibalsan이 비난에 반대하자, 중앙 위원회 내의 의견들은 아마르에 대해 빠르게 반향을 일으켰다.

아마르가 자기 방어로 발언권을 장악하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종교를 믿지만 내가 더욱 믿는 한 가지는 몽골이 독립국가가 되기 위해 굳건히 서야 한다는 것이다. 난 조국을 사랑한다. 나는 이것을 내 작품과 함께 보여 주었다. 조국의 발전이라는 대의에 몸을 바친 일등공신인데 드디어 배신자로 불리고 거세당하는 내 모습을 목격하게 되어 가슴이 찢어지는군."

아마르는 하루 동안의 재판 끝에 유죄 판결을 받았다. 총리직에서 해임되고 MPRP에서 제명된 후 내무부에 의해 체포되었다. 1939년 7월 아마르의 사건은 NKVD로 넘어갔고, 아마르는 시베리아 마을 치타에 보내졌다가 다시 모스크바에 보내졌다. 아마르의 제거로 초이발산은 총리로 임명되어 몽골의 논란의 여지가 없는 지도자가 되었으며, 동시에 총리, 내무장관, 전쟁장관, 몽골군 총사령관직을 겸임하였다.

시행 및 실행

러시아 모스크바 코무나르카 처형장 기념 오벨리스크, 아마르 등 몽골 희생자들을 기리는 모습

모스크바에서 아마르는 고문을 받아 자신에 대한 모든 비난에 대해 완전한 자백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모스크바에서 재판을 기다리는 동안, 아마르는 루반샤라프와 함께 수감되었다. 루반샤라프는 그를 체포한 바로 그 사람이고, 그 직후 초이발산의 숙청의 희생자가 되었다.

1941년 7월 10일 아마르는 소비에트 트로이카의 재판을 받아 사형을 선고받았다. 재판 내내 아마르는 몽골 인민공화국이 정말 독립국가였다면 몽골 법원의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마지막 녹음된 말은 "대국이 작은 나라를 식민지로 만들면 그 지도자들이 체포되고 박해를 받는 것이 전형적이다. 내 개인적인 경험은 구소련의 몽골에 대한 이런 태도를 보여준다."[8]

그는 모스크바 근처의 코무나르카 사격장에서 즉시 처형되었고, 그의 시신은 그곳에 묻혔다.

재활

1956년 12월 15일, 스탈린의 숙청을 검토한 후, 군 대학들은 아마르의 유죄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1962년 1월 25일 복직되었고, 1989년 9월 26일 MPRP 회원 자격을 회복하였다.

참조

  1. ^ William A. Brown; Urgunge Onon; B. Shirėndėv (1976). History of the Mongolian People's Republic. Harvard University: East Asian Research Center. pp. 809. ISBN 0-674-39862-9.
  2. ^ Baabar, B, 몽골의 역사, 1999, ISBN 978-9929-0-038-3. OCLC 515691746. 페이지 345
  3. ^ 샌더스, 앨런 J. K. 몽골 역사사전, 1996년 ISBN 0-8108-3077-9
  4. ^ 바바르, 354페이지
  5. ^ 1999페이지 367번 페이지 367
  6. ^ Coox, Alvin D. (1990).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1939, Volumes 1–2. Stanford University Press. p. 170. ISBN 0-8047-1835-0.
  7. ^ 바바르, 367페이지
  8. ^ 바아바르, 369페이지
정치국
선행자
몽골의 총리
1928–1930
성공자
선행자
몽골의 대통령
1932–1936
성공자
선행자
몽골의 총리
1936–1939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