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테이비
Andō Teibi남작 사다요시 「테이비」 안도 安東 貞美 | |
---|---|
![]() 안도 테이비 장군 | |
타이완 총독 | |
재직중 1915년 5월 1일 – 1918년 6월 6일 | |
모나크 | 다이쇼 |
선행자 | 사쿠마 사마타 |
성공자 | 아카시모토지로 |
개인내역 | |
태어난 | 일본 나가노시 이이다 | 1853년 10월 20일
죽은 | 1932년 8월 29일 일본 도쿄 우시고메 | (78세)
수상 | 금빛 연의 훈장(3급) 욱일승천장(1급) |
병역 | |
얼리전스 | ![]() |
지점/서비스 | ![]() |
근속년수 | 1872–1923 |
순위 | ![]() |
명령 | 일본 육군사관학교 IJA 2사단 육군대학(일본), IJA 10사단, IJA 12사단, 선택군 |
전투/와이어 | 사쓰마 반란 러일 전쟁 |
안도 다이비라고도 알려진 안도 사다요시 남작(安東 貞東, 안도 사다요시, 1853년 10월 20일 ~ 1932년 8월 29일)은 1915년 4월 30일부터 1918년 6월 6일까지 일본 제국 일본군의 장군이자 제6대 대만 총독이었다.
전기
해당 일본어 위키백과 기사의 번역 통합
안도 시는 시나노 국(현 나가노 현) 이이다 시 출신이다.그는 사무라이 집안에서 태어났고, 아버지는 마쓰모토 번(松本 번)의 가신이었다.
안도씨는 1871년 오사카 리쿠군 헤이각코(일본제국 육군사관학교 전신)에 입학하여 1872년 6월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다.1874년 11월 진급 중위로 사쓰마 난에[1] 친임벌군에 참여하다가 부상을 당했고, 이후 1877년 5월 대위로 진급했다.육군참모대학으로 복귀한 후 1883년 2월 소령으로 진급하여 IJA 2사단에 잔류하였다.
안도의 계급 상승은 이후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1891년 4월 중령과 1894년 12월 1일 대령으로 진급했다.그는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육군참모대학에서 모두 특공대장을 지냈다.그는 1898년 10월 1일 2사단이 대만에 배치되자 소장으로 진급했다.
안도 씨는 이후 러일 전쟁에서 활약했다.그는 중장으로 승진하여 1905년 1월 15일부터 IJA 10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따라서 그는 결정적인 무크덴 전투에 참가했다.[1]
1908년 9월 12일, 안도(安道)는 카조쿠 페어리지 제도에서 단샤쿠(baron)라는 칭호로 격상되었다.1911년 IJA 12사단을 지휘하게 되었고, 1913년 대한민국 조센군 사령관이 되었다.
1915년 4월 30일, 그는 장군을 대신했다.사쿠마 사마타 대만 총독은 1918년 6월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2]일제에 항거하는 대규모 봉기인 '타파니 사건'이 그의 재임 중에 일어났다.타이핑과 파셴 산맥의 대만 산림자원과 이일란과 핑둥 철도의 건설에 대한 작업도 시작되었다.1918년 8월 예비역에 들어갔으며, 1923년 4월 제대했다.
안도에게는 사후에 욱일승천장(파울로니아꽃 1등, 그랜드코든)이 수여되었다.
참고 항목
메모들
- ^ a b Kowner(2006년), 페이지 35.
- ^ 웬델, 축 역사 팩트북
참조
- Shih Shan, Henry Tsai (2005). Lee Teng-hui and Taiwan's Quest for Identity. Palgrave Macmillan. ISBN 1-4039-7056-4.
- Kowner, Rotem (2006).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The Scarecrow Press. ISBN 0-8108-4927-5.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안도 사다요시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Wendel, Marcus. "Axis History Factbook". Governor-Generals of Tai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