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이 코지레프
Andrei Kozyrev안드레이 코지레프 | |
---|---|
Андрей Козырев | |
![]() | |
러시아 외무부 장관 | |
재직중 1990년 10월 11일 ~ 1996년 1월 6일 | |
대통령 | 보리스 옐친 |
선행 | 블라디미르 비노그라도프 |
에 의해 성공자 |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
개인 정보 | |
태어난 | 벨기에 브뤼셀 | ( 1951년 3월
배우자 | 엘레나 코지레바 |
모교 | 모스크바 국제 관계 연구소 |
안드레이 블라디미로비치 코지예프(러시아어: нiroirovich ko ko korev ko ko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born, 1951년 3월 27일 ~ )는 러시아의 정치인으로, 보리스 옐친 대통령 시절 초대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1996년 1월 러시아.비록 많은 러시아인들이 그가 나토에 맞선 나토와 이라크와 같은 곳에서 러시아의 이익을 지키는데 약하고 충분히 적극적이지 않다고 비판했지만, 그는 소련 붕괴 직후 러시아의 외교 정책을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오슬로 1차 협정에 서명하는 동안 러시아 대표였으며, 이로 인해 러시아 민족주의 [citation needed]정치인들과 정당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그러나 그의 반제국주의자와 친서방적 입장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코지예프는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연구소(MGIMO)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고 1974년 소련 외무부에 입사해 외무장관으로 [1][2]임명되기 전까지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초기 생활과 교육
코지레프는 1951년 브뤼셀에서 소련 엔지니어의 아들로 태어났다.그는 외무부가 운영하는 외교관들을 위한 학교인 모스크바 국립 국제 관계 연구소에서 교육을 받았다.1969년 그곳에서 공부를 시작하기 전,[3] 그는 모스크바에 있는 Kommunar 기계 제조 공장에서 1년 동안 피트너로 일했다.
직업
소련 MFA 주재 외교관
코지레프는 1974년에 공부를 마쳤다.그 후 그는 생화학전 문제를 포함한 유엔과 군비 통제에 관한 문제를 담당했던 국제기구부의 연설문 작성자 및 연구원으로 소련 외무부에 입성했다.이후 3년 동안, 그는 역사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무기 거래와 [4]유엔에 관한 여러 책을 출판했다.
외무부에서의 코지예프의 경력은 그를 유망한 젊은 소련 외교관으로 만들었다.그는 1979년 국제기구부 공보관이 되었고, 이듬해에는 제3비서가 되었다.1982년 제2비서관, 1984년 제1비서관, 1986년 상담관 등 정기적으로 승진했다.고르바초프의 외무장관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에 의해 내각이 개편된 후, 그는 1988년에 국제기구 관리국의 부국장이 되었다.이듬해 코지레프는 20살 [5]연상의 사람을 대신하여 행정부장이 되었다.
외무대신 경력
1989년 여름 고르바초프의 글래스노스트에 의해 열린 기회를 포착한 코지예프는 레닌주의의 [6]본질인 "국제 계급 투쟁"이라는 레닌주의 개념을 부정하는 기사를 썼다.소련 언론에 처음 게재된 이 기사는 워싱턴포스트 등 세계 [7]주요 뉴스에 재연돼 정치인으로 통했다.
1990년 10월, 러시아 연방의 반항적인 의회는 코지예프를 외무장관으로 임명하기 위해 투표를 했다.1991년 소련의 쿠데타 시도가 실패한 후, 그는 예고르 가이다르와 아나톨리 추바이스가 포함된 보리스 옐친 대통령의 젊은 개혁가 팀에 합류하여 서구의 자유민주적 이상을 공유하게 되었다.그는 39세에 러시아 외무장관이 되었고 러시아가 독립국가가 되면서 보리스 옐친의 신임을 얻고 여러모로 소련의 후계자가 되었다.코지레프는 러시아를 냉전 이후 세계의 [8]형성에 있어 서방과 협력자로 만들려고 노력했다.그는 미국과의 갈등에 대한 협력을 강조하면서 러시아를 몰락한 초강대국이 아니라 국제정치의 강대국으로 취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는 미국과의 주요 무기 규제 협정과 핵무기 [9]비확산을 지지했다.그는 또한 공산주의 이후 러시아에서 [10]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위한 가장 중요한 목소리 중 하나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었다.
코지레프는 벨로브즈 협정의 입안자 중 한 명이었다.그는 2019년 회고록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서명된 (독립국가들의) 연방은 사실상 지구상에서 가장 큰 국가이자 우리의 조국인 소련에게 사형선고였다.저희에게는 감격적인 순간이었습니다.하지만 우리는 이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훨씬 더 비참한 [2]결과를 피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1992년 코지레프는 발트해 지역의 다른 9명의 외무장관 및 EU 집행위원과 함께 발트해 국가평의회(CBSS)와 유로파쿨티([11]EuroFaculty)를 설립했습니다.
1992년 12월 15일, 코지예프는 극적이고 전례 없는 외교 공작으로 러시아의 보수적이고 국수주의적인 세력에 대한 자신의 반대를 강조했다.그는 러시아 내 보수 야당의 많은 입장을 반영하고 반서방 정책으로의 복귀를 위협하는 듯한 연설로 유럽안보협력회의(CSCE)의 외무장관들을 놀라게 했다.그 연설은 러시아 대표단조차 놀라게 했다.그러나 연설 한 시간 후 그는 연설이 야당이 [12][13][14][15]옐친 대통령으로부터 집권할 경우 발생할 위험에 대한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연설을 철회했다.그는 한 달 전부터 프라브다가 "코지레프가 사실상 새로운 미국 제국의 확장을 위한 길을 열어주고 있다"고 보도했기 때문에 걱정할 이유가 있었다.다른 사람들은 가이달 정부의 "젊은 개혁파"들이 바르샤바 조약 파트너들과 "역사적인" 관계를 끊고 코지예프가 친서방 외교 정책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러시아 이익의 "전통적인" 영역을 포기했다고 비난했다.CSCE의 연설은 [16]가이다르의 신성모독이 있은 지 불과 5일 만에 이루어졌다.
코지레프는 새로 결성된 SVR의 동년배인 예브게니 프리마코프를 [16]"나토에 대한 일반적인 편견"을 즐기는 반동분자로 그렸다.
1993년 코지레프는 압하지야 수쿠미 전쟁(1992-93년)에 즈음하여 선언한 유엔 총회에서 "러시아는 어떤 국제 기구나 국가 그룹도 이 소련 이후의 [17]공간에서 우리의 평화 유지 노력을 대신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코지예프는 구소련 제국의 이중국적 사상을 홍보하려고 노력했지만 [18]성공하지 못했다.
옐친이 독일 통일과 헬싱키 최종법, 워런 크리스토퍼 [19]미 국무장관이 구상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확대의 동반자 관계(Partnership for Peace)를 둘러싼 혼란에 빠진 데 대한 그의 역할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있다.러시아를 나토에 가입시킬 수 있는 기회의 창은 옐친의 첫 임기가 끝날 때 닫혔다. 왜냐하면 러시아에서 공포의 폭발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다른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보다 먼저 러시아를 냉랭한 상태에서 끌어내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그 반대는 이루어졌다.[20]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그의 반대 번호였던 미 국무장관들은 짐 베이커, 로렌스 이글버거, [21]워렌 크리스토퍼였다.
NNPT와 크림반도를 둘러싼 우크라이나와의 분쟁
1991년 10월 알렉산드르 루츠코이 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우크라이나 영토를 통해 유럽에 수출되는 러시아 천연가스 가격을 협상하기 위해 키예프로 갔다.그 방문에서 그는 또한 세바스토폴에 본부를 둔 흑해 함대의 통제와 소유권, 그리고 간접적으로 크림 반도 전체에 대한 러시아의 주권을 주장했다.루츠코이는 키예프에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고 [16]크림반도의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러시아와의 충돌에 대해 공개적으로 경고했다.
1992년 4월과 1993년 3월 크림반도를 주장하는 두 개의 유사한 결의안이 러시아 연방 의회에서 통과되었다.우크라이나인들은 자연스레 미국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소련 핵무기를 모스크바의 손에 모으고 난-루가르 협력 위협 감소 프로그램을 통해 옛 소련 과학자들을 점령하려고 했다.코리프가 공동 집필한 부다페스트 메모는 이들 옛 소련 3국이 핵확산금지조약 가입과 러시아, 미국, 영국의 안전 보장을 대가로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1996년 말까지 모든 핵무기는 러시아 영토로 옮겨졌고 18년 후 블라디미르 푸틴은 이 협정을 [16][21]어겼다.
주 두마
1993년 12월 선거에서 코지예프는 무르만스크 지역에서 진보 성향의 러시아 초이스 블록의 후보로 하원의원인 국가두마 의원에 출마했다.그는 1994년 1월 주 의회 두마가 열렸을 때 무르만스크의 대표직을 맡아 [22]10개 분야에서 6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는 체첸 분쟁에 대한 국제적인 논쟁으로 비난을 받았다.그는 또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보스니아 세르비아인 폭격과 나토의 [23]동유럽 진출 계획을 막지 못한 데 대한 희생양으로 표적이 되었다.
코지예프는 보스니아 전쟁 [24][25]중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을 지원하지 못한 혐의뿐만 아니라 "초강대국" 지위를 상실하게 한 서방에 항복한 것에 대해 러시아 국가 두마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코지레프는 1996년 1월 무르만스크 주 의회 의원으로 재선된 뒤 두 직책을 모두 맡을 수 없게 되자 부처를 떠났다.그는 예브게니 프리마코프에 의해 MFA의 수장으로 승계되었다.그것은 그와 대통령 모두의 정치적 선택이었다.코지레프는 로스앤젤레스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반개혁 세력을 진정시키기 위해 옐친에 의해 희생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물론 역추적이 있었다.현실을 직시하자, 정체다.그것은 진정한 정치적 갈등이었다.졌어요.나는 압도당했다.나는 내 시대가 다시 올 것이고,[26] 조만간 내 정책이 돌아올 것이라고 믿는다."두 번째 두마 임기 종료 이후 코지레프는 민간 사업을 위해 [27]정부를 떠났다.
코지레프는 2000년 [28]선거까지 두마의 일원이었다.
만년, 회고록, 전문가 연구
푸틴이 다시 도입한 권위주의, 반서방 체제가 승리하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한 코지레프는 [29]2010년 미국으로 건너가 적어도 2015년부터 마이애미에서 살고 있으며,[27] 2019년 옐스티니아 [30][29]음모의 중심에 있던 당시의 회고록을 출간했다.
- 파이어버드: 러시아 민주주의의 이해하기 어려운 운명(서문: 마이클 맥폴).피츠버그:피츠버그 대학 출판사, 2019년)
코지레프는 2014년 외교관들에게 "공허한 약속은 공허한 [20]위협보다 더 나쁘다"고 경고했다.
코지레프는 회고록에서 "미국이 러시아를 자국의 재래시장에서 공격적으로 몰아냈고, 러시아가 상처를 치료하고 불량정권에 무기와 기술을 팔도록 모스크바를 떠났다"고 비난했다.전반적으로, 그는 서방이 1990년대에 러시아가 민주주의로 [2]위험한 전환을 하도록 도왔을 "윈스턴 처칠의 능력의 인물"이 부족했다고 느낀다.
James A의 객석에서요. 2020년 코지레프 공공정책연구소(Baker III Institute for Public Policy in 2020)는 2014년 크림 주민투표와 이후 러시아 연방에 의한 크림 합병에 대한 오바마의 반응은 "불편했다"[29]고 말했다.
코지레프는 체첸의 문제들 중 일부는 [29]사우디 아라비아가 원주민들에게 공급한 와하비 이슬람의 특정 브랜드에서 기인한다고 느끼고 있다.
코지레프는 정부 시절인 2016년에 "최악의 경우 유고슬라비아 대참사가 재현될 수 있다"고 다소 사전 예방적으로 썼다.이 지역은 정점에 다다랐고, 불행히도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정부 내부의 민주화 세력은 [16]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코지레프는 2016년 [31]윌슨 센터 케넌 연구소의 저명한 펠로우였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코지예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서방에 대한 태도에 대해 대부분 KGB 출신인 이들은 소련이 외부의 민주주의 세계와 함께 냉전을 러시아 국민에게 졌다는 데 동의한 적이 없다.그들은 그것을 믿지 않는다.그들은 그것을 멈추길 원한다.그리고 이제 그들은 이번 [우크라이나 침공]이 그들의 마지막 결정적 [32]전투라고 생각한다."코지레프는 크렘린 정부 관리들이 침공 [33]실패 후 푸틴을 축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조기 인터뷰에서 코지레프는 러시아와의 직접적인 대립보다는 나토 회원국들에 의한 군비 공급을 제안했다.그는 푸틴이 우크라이나에서 멈추지 않을 경우 우크라이나와의 서부 정복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침공이 시작된 이후까지 우크라이나인들이 부적절한 무장을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한탄했다.제재 체제를 강력히 지지하는 코지레프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를 영웅으로 칭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다.코지레프는 푸틴은 이미 공격성이 고조된 상태이며 어떠한 약점도 더 이상의 침략을 유도하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기 때문에 도발할 수 없다고 웃는다.부다페스트 비망록을 작성한 코지예프는 이번 침공을 "명백한 위반"이라 칭하며 푸틴의 행동을 수치스럽게 여겼다.코지레프는 세르게이 라브로프의 진화에 실망했다.코지레프는 푸틴이 COVID-19를 두려워했기 때문에 푸틴이 핵전쟁의 위험을 무릅쓰지 않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푸틴이 반러시아의 [21]전형이라고 생각한다.
코지레프는 지난 3월 1일 러시아 외교관들의 사임을 트위터에 올린 또 다른 인터뷰에서 "푸틴은 절망으로 행동한다.그건 [28]확실합니다.
러시아의 수도 점령 실패가 명백해지자 그는 한 인터뷰에서 푸틴을 "미치광이"라고 불렀다.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망상.코지레프는 푸틴이 서방이 약하고 퇴폐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코지레프는 이 전쟁이 [34]재앙이라고 생각했다.
코지예프는 2022년 5월 민주주의 저널에 "푸틴이 패배해야 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썼는데, 그와 안드레이 블라디미로비치 콜레스니코프는 나치화된 독일 사회와 러시아에 의해 통과된 몇몇 법, 그리고 행정명령들이 푸틴에게 "기본적으로 모든 범죄 형태"로 서명했다는 글라이히스샬퉁 사이의 유사점을 언급하고 있다.반대 의견"과 독립 러시아 언론의 잔재를 일축한다.그는 안톤 트로이아노프스키가 "소련 시대의 대량 처형과 정치 투옥의 역사, 그리고 이제 러시아의 깊어지는 억압에 고무된 동포 시민들의 비난이 다가오고 있다"고 쓴 것을 안타까워하며,[31] 20세기 두 체제는 하나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학술적 비평
호주의 러시아 학자인 그레미 길 교수는 코지레프가 러시아 MFA에서 "오히려 반듯이 누워있다"[35]고 생각한다.
세르게이 라드첸코는 코지레프의 2019년 회고록에서 "서방에 정착해 있던 번영하고 민주적인 러시아 등 모든 것이 가능해 보였던 당시 모스크바의 외교 정책에 대한 매혹적인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말했다.코지예프는 러시아 동화에 나오는 불새처럼 그 목표를 쫓았고, 책의 제목은 러시아 동화의 주인공과 달리 결코 잡지 못했다.근처에도 [2]못 갔어."
레퍼런스
- ^ 안드레이 코지레프, 불새: 러시아 민주주의의 이해하기 어려운 운명(피츠버그 대학 프레스, 2019).
- ^ a b c d Radchenko, Sergey (2 December 2020). "H-Diplo Review Essay 292 on Kozyrev. The Firebird: The Elusive Fate of Russian Democracy". Michiga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History. H-Net: Humanities & Social Sciences Online.
- ^ Gale Encyclopedia of Biographic: http://www.answers.com/topic/andrei-vladimirovich-kozyrev-1
- ^ Gale Encyclopedia of Biographic: http://www.answers.com/topic/andrei-vladimirovich-kozyrev-1
- ^ Gale Encyclopedia of Biographic: http://www.answers.com/topic/andrei-vladimirovich-kozyrev-1
- ^ 아놀드 베이크만, 긴 가식: 레닌에서 고르바초프까지의 소련 조약 외교; ISBN 0887383602
- ^ 워싱턴 포스트: "모스크바에서:소련의 외교 정책이 틀어지는 이유", 1989년 1월 9일, 10페이지;
- ^ Peter Rutland와 Gregory Dubinsky 미국 – 러시아 관계: 희망과 두려움; http://prutland.web.wesleyan.edu/Documents/US-Russian%20relations.pdf
- ^ Stephen Sestanovitch, The New Republic, "Andrei the Giant", 1994년 4월 11일; http://go.galegroup.com/ps/i.do?id=GALE%7CA14949136&v=2.1&u=miamidade&it=r&p=GPS&sw=w&asid=088a378c97ea7f815164ec56b43d9c32
- ^ 게일 러시아 역사 백과사전: 안드레이 블라디미로비치 코지레프
- ^ Kristensen, Gustav N. 2010년꿈속에서 태어나다.EuroFaculty와 Baltic Sea Statescil of the Baltic Sea states.베를리너 빈센트샤프트-베를라그ISBN 978-3-8305-1769-6.
- ^ Los Angeles Times, Jongly, Russian Safter After Cold Blast, 1992년 12월 15일 유럽인들을 놀라게 한다고 러시아어로 말한다; http://articles.latimes.com/1992-12-15/news/mn-2214_1_foreign-ministers
- ^ Andrei Kozyrev는 CSCE 각료회의 연설(영어 번역, 약어, 비공식);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ndrei_Kozyrev_speeches_to_the_CSCE_Council_of_Ministers_(English_translaion,_abridged,_unofficial).pdf
- ^ Andrei Kozyrev가 CSCE 각료회의 연설(영어 번역, 전문);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ndrei_Kozyrev_speeches_to_the_CSCE_Council_of_Ministers_(English_translaion,_full-text).pdf
- ^ 안드레이 코지레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CSCE 각료회의에서 행한 연설의 영국 외무성 분석.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UK_foreign_ministry_analysis_of_speeches_by_Russian_foreign_minister_Andrei_Kozyrev_to_the_CSCE_Council_of_Ministers.pdf
- ^ a b c d e Kozyrev, Andrei (Fall 2016). "Boris Yeltsin, the Soviet Union, the CIS, and Me". THE WILSON QUARTERLY / Wilson Center.
- ^ 러시아의 그림자, 시간, 1993년 10월 11일
- ^ ZEVELEV, IGOR A. (January 2008). "Russia's Policy Toward Compatriots in the Former Soviet Union". Russia in Global Affairs. Foreign Policy Research Foundation.
- ^ "NATO Expansion: What Yeltsin Heard". National Security Archiv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16 March 2018.
- ^ a b "Into the Fold or Out in the Cold? NATO Expansion and European Security after the Cold War". Video: NATO Expansion and European Security after the Cold War. The Wilson Center. 2 May 2014.
- ^ a b c Raynor (27 February 2022). "Former Russian diplomat says Russia will not stop with Ukraine". ABC10. YouTube.
- ^ 로스앤젤레스타임스 인터뷰:Andrei Kozyrev", http://articles.latimes.com/1996-03-10/opinion/op-45498_1_andrei-kozyrev
- ^ 존 W. 파커, 페르시안 드림스: 샤의 몰락 이후 모스크바와 테헤란; ISBN 1597972363
- ^ Lynch, Allen (2001). "The Realism of Russia's Foreign Policy". Europe-Asia Studies. Taylor and Francis. 53 (1): 9–11, 14–17. doi:10.1080/09668130124714. JSTOR 826237. S2CID 155053350.
- ^ Headley, James (2003). "Sarajevo, February 1994: the first Russia-NATO crisis of the post-Cold War era".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British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29 (2): 210–14. doi:10.1017/s0260210503002092. S2CID 143874766.
- ^ 로스앤젤레스타임스 인터뷰:Andrei Kozyrev", 1996년 3월 10일, http://articles.latimes.com/1996-03-10/opinion/op-45498_1_andrei-kozyrev/2
- ^ a b Giacomo, Carol (17 June 2015). "An Optimist's View of Russia". The New York Times.
- ^ a b Hayes, Chris (9 March 2022). "Putin Is Acting 'Out Of Desperation' Says Ex-Russian Foreign Minister". MSNBC.
- ^ a b c d "THE ELUSIVE FATE OF RUSSIAN DEMOCRACY". Rice University's Baker Institute for Public Policy. 14 January 2020.
- ^ "Former Russian foreign minister Kozyrev to speak at Rice's Baker Institute". RICE NEWS. 7 January 2020.
- ^ a b Kozyrev, Andrei (May 2022). "Why Putin Must Be Defeated".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 ^ Michael Weiss (March 9, 2022). "Russia's Ex-Foreign Minister on His 'Totalitarian' Country". New Lines Magazine.
- ^ Goddard, Jacqui (2022-03-12). "Putin is risking a Kremlin coup, says ex-Russian minister". The Times. ISSN 0140-0460.
- ^ Johnson, Joshua (12 March 2022). "Former Russian Foreign Minister Kozyrev Speaks On Putin, Ukraine Invasion". NBC News. YouTube.
- ^ Gill, Graeme (2015). [10.1007/978-1-137-52367-9_3 "Putin, Nationalism and Foreign Policy"]. Power, Politics and Confrontation in Eurasia. pp. 42–62. doi:10.1007/978-1-137-52367-9_3. ISBN 978-1-349-56963-2.
{{cite book}}
:확인.chapter-url=
값(도움말)
참고 문헌
- 조지 후지이코지레브에 대한 H-Diplo 리뷰 에세이 292파이어버드:러시아 민주주의의 이해하기 어려운 운명" (2020년)온라인
- 치간코프, 안드레이 P러시아의 외교정책: 국가 정체성의 변화와 지속성(Rowman & Littlefield,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