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 쉬크클러

Andy Schmookler

앤드류 바드 슈묵클러(Andrew Bard Schmakler, 1946년 출생)는 미국의 작가, 대중 연설가, 사회 해설가, 라디오 토크쇼 진행자다.그는 2012년 총선 당시 버지니아 제6의회 선거구의 민주당 하원의원 후보였다.

조기생활과 교육

Schmakler는 하버드 대학을 우등으로 졸업했다.그는 시카고 대학교예일 대학교에서 대학원 공부를 했다.그는 그의 종합적인 인간사 이론을 수용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와 대학원 신학 연합에서 박사학위를 마쳤다.[1]1984년 국제정치심리학회는 《부족의 우화》를 저술한 공로로 정치심리학 분야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인정받아 슈묵클러에게 에릭 에릭슨상을 수여하였다.[2]1985년 슈묵클러는 에스콰이어 잡지에 의해 "나라를 변화시키고 있는 40세 이하의 남녀 중 한 명"[3]으로 선정되었다.

국가 안보

워싱턴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에서 슈묵클러는 미국 정책 입안자들의 향후 도전에 대한 분석을 도왔다.그는 공공의제재단과의 프로젝트에서 미국이 핵무기 시대에 안보를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국내, 다양한 관련 분야의 최고 인사들을 인터뷰했다.1990년대에 미 육군은 앤디를 고용하여 생물학적 테러 방지를 위한 프로젝트의 입안을 도왔다.

정치사회해설

Schmakler의 사회 및 정치 문제에 대한 논평은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The Valtimore Sun, San Francisco Chronicle, Albukerque Trivune 등 지역 및 국가 간행물에 게재되었다.그는 워싱턴과 버지니아의 셰넌도아 계곡에서 National Public Radio의 라디오 해설자로 일해왔다.[4]

2005년부터 슈묵클러는 웹사이트 NoneSoBlind.org의 저자 겸 진행자였다.

그의 논평은 허핑턴 포스트, 데일리 코스, 블루 버지니아, 라이크 더 듀, 오페드 뉴스 같은 웹사이트에도 정기적으로 등장한다.

공개 연설

슐랭글러는 미국 위스콘신 주 아나폴리스의 하버드대 세인트존스 칼리지몬태나 주립대 총장 강사로, 우드로 윌슨 국제학술센터(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Listers)에서 청중 앞에 자신의 생각을 발표했다.그는 스코틀랜드의 핀트혼, 댈러스의 이스머스 연구소, 워싱턴과 뉴욕의 노이틱 과학 연구소, 캘리포니아의 하모니아 먼디 컨퍼런스에 초청 연사로 출연했다.[4]

2012년 미국 대표 캠페인

민주당 슐랭글러 지명자는 현직 공화당 후보인 밥 굿라테에 도전했다.

슐랭글러는 주로 정치 권력 분야에서 드러난 미국의 도덕적 위기를 묘사했다.[5]그는 미국 역사를 관통하는 세 가지 흐름의 융합을 나타내는 정치적 권리에 제국주의적 충동, 억제되지 않은 탐욕, 분열과 갈등을 강조하는 종교의 한 형태가 나타났다고 주장했다.[6]그는 미국에서의 이 위기를 자신의 의회 경선의 주요 테마로 다루기 위해 그의 전화를 걸었다.

"Press the Battle" 캠페인

2012년 선거 이후, 슐랭글러는 국민 대화를 현재의 국가 위기의 중심 현실로 간주하는 것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한 캠페인을 전개해 왔다.그는 이것을 그 위기의 두 가지 주요 요소로 꼽는다: 1) 공화당이 파괴적인 힘에 의해 점령당했다는 것과 2) 그 위협에 대한 자유 아메리카의 대응이 비참하게 약했다는 것이다.그는 이것들을 체계적 문화적 병리학의 발현으로 보고 있는데, 그것은 미국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에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지만, 미국 신체의 모든 주요 기관들을 정치적으로 괴롭힌다.

슈킨러가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캠페인은 "전투를 누르다"라는 제목을 붙였다.초기 단계에서, 그것은 "자유주의 아메리카에서 불을 밝히기 위한" 일련의 기사들을 출판하는 것을 수반한다.이를 위해 두 가지 방법으로 시도한다. 1) 정치적 권리를 장악한 저 '파괴 세력'의 현실에 대한 설득력 있는 초상화를 그리기 위해, 2) 자유미국의 국가 보호 능력을 무력화시킨 맹목성과 나약함의 근원을 다루기 위해.이러한 근원의 중심에는 자유주의/지적 아메리카의 세계관의 측면들이 있는데, 이는 "우리 인류의 핵심에 있는 도덕적, 정신적 열정"으로부터 사람들을 단절시킨다고 슐랭클러는 주장한다.

이를 위해 슈묵클러는 "인간 시스템에서 건설적이고 파괴적인 힘인 "선"과 "악"의 기원과 작용에 대한 자연주의적 설명을 제공한다.이러한 자연주의적인 설명은 슈묵러가 지난 40여 년 동안 <부족의 비유>, <약점> 등에서 전개한 사상과 다른 작품들에 바탕에 깔려 있다.

이 캠페인의 모토는 "악마를 보라.소리쳐.전투를 압박하라."

출판된 작품

  • 앤드류 바드 슈묵클러 부족의 비유: 1984년 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의 사회진화에 있어서의 권력의 문제 ISBN978-0520048744
  • Andrew Bard Schmakler, Out of United: 우리를 전쟁으로 몰아넣은 상처 치유, 반탐북스 1988 ISBN 978-0553053296
  • Andrew Bard Schmakler, Sowings and Reepings: 인간시스템에서의 선악의 순환, 지식시스템 1989, ISBN 978-0941705103
  • Andrew Bard Schmakler, The Impreasion of Choice: Andrew Bard Schmakler, 시장경제가 우리의 운명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1993년 뉴욕 프레스 주립대학, ISBN 978-0791412657
  • 바우즈 골드 앤드류 바드 슈묵클러 상품세계에서 가치의 운명, 하퍼콜린스 1993, ISBN 978-0062508287
  • Andrew Bard Schmakler, Trooping the Good Society: 미국의 도덕적 분열, MIT 프레스 1999, ISBN 978-0262194143

부족의 비유: 사회 진화에서 힘의 문제 (1984):슈묵클러의 박사학위를 바탕으로 한 이 책은 문명이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대한 우화를 제공한다.우화는 어떤 인간 부족이 습관적으로 다른 부족에 대해 공격적이 되면 결국 모두 권력의 방식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결과적인 파괴는 인간 본성의 반영이 아니라, 사람들이 선택하지 않고 피할 수 없는 방식으로 사회를 이끌어온 힘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슐랭글러는 권력 문제를 인간적이고 지속 가능한 문화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다뤄야 할 통치체제의 근본적 도전으로 보고 있다.

취약점 벗어남: 우리를 전쟁으로 몰고 가는 상처를 치유하는 것(1988)은 위의 과정이 사람들을 다치게 하고 전쟁과 권력의 문제를 악화시킨 방법에 대한 연구다.그것은 사람들이 어떻게 더 전체적이 되고 따라서 평화를 구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색이다.

선택의 착각: 시장이 우리의 운명을 어떻게 형성하는가(1993)는 시장 시스템이 사회를 위한 최적의 결과를 형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연구다.시장 사각지대를 바로잡기 위해 집단적 의사결정과 함께 자유시장 세력이 결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좋은 사회 토론: 미국의 도덕적 분열을 연결하기 위한 탐색 (1999년):양극화된 사회에서 분열을 치유할 수 있는 토론의 종류에 대한 허구적인 시뮬레이션.진보와 보수 양쪽의 폭넓은 관점을 가진 다양한 참가자들이 각자의 부분적인 진실이 통합될 수 있도록 대화에 들어간다.

사생활

Schmakler는 그의 아내 April Moore와 함께 버지니아의 Shenandah Mountains에 산다.그들에게는 아이가 셋 있다.

참조

  1.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5-10. Retrieved 2012-06-27.{{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2. ^ http://www.ispp.org/awards/erikson[데드링크]
  3. ^ "나라를 바꾸는 40세 이하의 남녀"에스콰이어 (1985년 11월)
  4. ^ a b "Andrew Bard Schmookler". The Wisdom Page. Retrieved September 3, 2012.
  5. ^ 슐랭글러, A. (2007.웨이백 머신 애틀랜틱 프리 프레스 2014-09-04
  6. ^ Radmacher, D. (2011년)Goodlatte와 함께하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