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하프

Angular harp
테베에서 발견된 이집트 각하프 (기원전 10세기–8세기).이 악기에는 소나무 재질의 마스트(줄이 묶인 녹색 껍질 아래에 세로 막대)가 있습니다.세로형 나무 상자는 시카모어로 만들어져 있고, 가죽으로 덮여 있고, 가죽 사운드 보드가 있습니다.수평 꼬리 조각은 삼나무로 만들어졌습니다.끈은 현대적입니다.

앵귤러 하프(Angular harp)는 호른보스텔 삭스의 악기 분류 체계에 속하는 악기의 하나입니다.[1]그것은 "목이 공명기와 날카로운 각도를 이루며" 팔이 "열린" 하프를 형성하는 하프를 묘사합니다.[1][2]하프는 각도가 훨씬 덜 날카롭고 목이 공명기로부터 멀리 휘어지는 아치형 하프나 활 하프와 대조적입니다.그것은 또한 공명기와 하프의 위쪽 끝 사이에 개구가 없고 세 번째 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닫힌 하프"인 프레임 하프와 대조적입니다.[1]

최초의 각진 하프는 기원전 19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나타났고 고대 동양 전역에 퍼졌습니다.그것들은 17세기까지 아시아의 표준 하프 종류로서 거의 변하지 않고 존재했습니다.세로 및 가로 버전이 모두 알려져 있으며, 세로 또는 가로 버전은 문자열이 향하는 방향을 나타냅니다.수직 하프에서는 전통적으로 손가락으로 하프를 뽑습니다.수평으로 잡는 하프와 함께, 현은 뽑기를 통해 연주되거나 고대의 재현에서 곡괭이나 곡괭이를 연주합니다.

묘사

이 콩후 수직 하프에서는 몸이 앞으로 휘어집니다.본체는 또한 사운드 박스 아래로 아래로 뻗어 있고, 목(수평)은 거기에서 연결됩니다.

분류

오픈 하프에는 아치형 하프와 각진 하프가 있습니다.프레임 하프는 닫힌 하프입니다.[3]하프는 현악기의 일종으로, 현을 메는 목과 현의 진동을 받아 소리로 내는 몸통을 가진 현악기에 속하며, 목과 몸통 사이에 줄이 늘어져 있습니다.하프의 정의적 특징은 현의 평면이 류트와는 달리 악기 본체의 음향 방사 표면(음향 보드)에 수직이라는 것입니다.[1]몸통과 목이 기둥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틀 하프이고, 그렇지 않으면 열린 하프입니다.

앵글 하프는 활 하프와 함께 오픈 하프의 변형입니다.허리를 굽힌 하프의 목은 마치 몸을 뻗은 것과 같고, 그와 연속적인 호를 이루고 있습니다. 반면에 각진 하프의 곧은 목은 직각이나 예각으로 몸에 맞춥니다.[4]

구조.

하프의 몸체는 나무로 조각된 길쭉한 수조 같은 모양이며, 입구는 얇은 가죽이나 나무로 된 소리판으로 덮여 있습니다.수조의 입구에 가는 막대기가 중심선을 따라 달리고, 줄은 막대기에 고정됩니다.줄의 다른 끝은 목에 연결되어 있고, 목에 연결되어 있거나, 못을 튜닝하고 있습니다.하프의 곧은 목은 악기 본체 자체 또는 악기의 연장 부분에 부착됩니다.좀 더 간단한 경우, 목에는 실린더 단면이 있고, 줄은 그 위에 고리가 달린 튜닝 링에 연결되어 있으며, 링을 회전시킴으로써 튜닝을 할 수 있습니다.후대에는 튜닝키의 사용도 널리 퍼졌습니다.[5]

변주곡

각하프의 변주
Assyrian horizontal harp
빗장이 달린 아시리아식 수평 하프입니다.다른 이미지에서는 막대가 픽으로 사용됩니다.
Elamite vertical harps
엘라마이트 수직 하프
기원전 1894년경 – 기원전 1595년경, 구 바빌로니아 시대의 텔 이샬리에서 발견된 수평 각하프.
아시리아 하프 기술의 세부 사항으로 왼손이 현을 감쇠시키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잡는 방법과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세로 각하프와 가로 각하프가 있습니다.

수직 하프에서 사운드 박스는 수직이고, 음악가에 기대어 쉬거나, 앞으로 몸을 숙입니다.따라서 줄은 대략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고 목은 악기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습니다.[6]

수평 하프의 사운드 박스는 수평 위치로 유지됩니다.목은 음악가와의 관계에서 맨 끝에 수직으로 늘어납니다.[6]

세로 각하프는 15-25개의 줄을 가지고 있고 보통 손가락으로 뽑습니다.가로 각하프는 10개 미만이며, 그림에서는 플럭커나 비터로 연주하기도 합니다.[6]

수직 각하프로 연주자는 양손으로 자유롭게 악기를 연주할 수 있습니다. 악기가 몸에 기대어 있기 때문입니다.수평적인 것은 왼팔 아래로 잡고 오른손으로 연주합니다.왼손은 끈을 적실 수 있습니다.[7]

수천 년에 걸친 역사의 시작 당시, 수직 하프는 견고한 구조, 위로 넓어지는 곧고 기둥 모양의 몸통, 튼튼한 목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시간이 지나면서 악기의 몸통이 바뀌었고, 음악가로부터 앞으로 굽어졌습니다.[6]

전체 악기의 구조가 점점 가벼워졌습니다."가벼운" 형태의 하프의 경우, 목이 더 얇아졌고 더 이상 사운드 박스에 직접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대신 사운드 박스에서 아래쪽으로 자라는 확장 부분을 두드렸습니다.목이 연결된 지점 이후에도 꼬리와 같은 방식으로 이 확장이 계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하면 앉은 자세로 연주할 때 악기를 지탱할 수 있습니다.[6]

분포,이력

고대동

고대 동부와 키클라데스의 초기 모습
assyrian horizontal harpist
아시리아 수평 각하프, 기원전 2000-1500년에스눈나의 스탬핑 테라코타 (아스마르에게 말함)[8]
Vertical harp, Esnunna, 2nd millennium B.C.
세로 각하프, 에스눈나, 기원전 2000-1500년이라크[8] 이신 라르사에서 온 스탬핑 테라코타
Cyclades sculpture showing early image of frame harp
프레임 하프의 초기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이클라데스 조각, 기원전 2800년경-2700년경.c.

최초로 알려진 하프는 활의 하프로 기원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와 이란, 그리고 이집트와 인도에서 나타났습니다.각진 하프는 기원전 1850년경에 등장했고, 그것의 조국인 메소포타미아와 이란에서 활 모양의 하프를 대체했습니다.시간이 지나면서, 각진 하프는 중동에서 그리고 나중에는 인도를 제외한 아시아 전역에서 가장 널리 퍼진 하프가 되었습니다.기원전 제2천년과 제1천년에 나타나는 하프의 초기 표현은 메소포타미아의 테라코타 타일에서 볼 수 있습니다.이집트에서는 5세기 후인 기원전 15세기에 각진 하프가 소개되었지만, 그것은 다른 활 모양의 하프와 공존했습니다.[5][7]

또한 액자 하프를 가장 초기에 표현한 것들 중 하나는 기원전 3천년기의 조각품들입니다.키클라데스, 프레임 하프의 윤곽을 가진 남자가 보입니다.[1][7]

그리스인

그리스 각하프
Possible trigonon harp
오픈 각하프.Grove New Encyclopedia of Musical Instruments에서 가능한 삼각형으로 간주되는 오픈하프가 있는 이미지.[4]
Possible trigonon harp
오픈 각하프.하프를 가진 뮤즈.텍스트 다음 이미지: "삼각형은 원래 각진 프레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 화병 그림에는 기원전 5세기 후반부터 몸이 휘어진 각반이 등장합니다.시에서, 기원전 6세기 초부터, 리디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는 pecktis라고 불리는 악기가 있습니다; 후에 아티카 작가들은 또한 트라이고논 또는 트라이고노스 (τρίγωνος = 'triang')라고 불리는 다현악기에 대해 언급합니다; 이것들은 각진 하프였을 수도 있습니다.꽃병 그림들의 증언에 따르면, 그리스인들은 때때로 각진 하프 위에 세 번째 면을 넣었고, 3면 프레임 하프를 발명했습니다.이러한 종류의 하프는 사라졌습니다. 후기 헬레니즘 세계에서는 그리스 하프가 아니라 거의 동일하고 표준화된 형태로 도처에 퍼져있는 동양의 각진 하프였습니다.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트라이고논은 각진 하프였고, 아마도 마가디스, 삼부카, 페크티스 또한 그러했을 것입니다.[7]

스텝 지대

간다라, 가로 각하프, 서기 1세기경

알타이 산맥의 파지리크 유적과 중국 북서부의 신장에서 유라시아 스텝 지대의 가장자리에서 발굴되는 동안, 기원전 5-4세기에 비교적 양호한 상태의 하프가 여러 개 발견되었습니다.[9]그 구조와 모양에 있어서, 이것들은 기원전 700년경 아시리아 부조에서 볼 수 있는 수평 각하프와 매우 유사합니다.차이점은 아시리아 하프의 9개의 현과 대조적으로 이것들은 균일하게 5개의 현이라는 것입니다.추정에 의하면, 이런 종류의 아시리아 하프는 스키타이인들과 다른 기마 유목민들의 중재를 통해 스텝 지대를 가로질러 퍼져 나갔을 수도 있습니다.[10]

페르시아와 이슬람

Moore playing angular harp
알폰소사비오, 스페인의 게임 책 (1283)
Illustration of harp player
페르시아 하프, 서기 8세기경.러시아의 현대 페름 근처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란 중심의 사산 제국에서 음악은 부분적으로 조로아스터교의 국교와 관련되어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많은 다양한 악기들이 사용되었는데, 그 중 하프는 눈에 띄는 장소를 차지했습니다.도상 자료는 하프의 개념이 왕실의 존엄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암시합니다.하프 중에는 헬레니즘 시대에 유행한 형태가 지배적이었지만, 서기 600년경에 "가벼운" 형태의 하프가 이미 형성되었는데, 나중에 이슬람 정복 동안 그 변화가 지배적이 되면서 이란에서 스페인에 이르기까지 이슬람 세계 전체로 퍼져 나갔습니다.[5]

중국 불교

중앙아시아, 중국
Konghou harp, from the Northern Wei dynasty era (365–535 A.D.)
북위 (365년–535년) 시대의 콩후하프
Phoenix-headed konghou (a type of harp), Tang dynasty (618–907).
봉황 머리 콩후(하프의 한 종류), 당나라 (618–907).
Konghou angular harp, shown on painted silk (1494–1552)
仇英(1494–1552)의 비단 그림에서 본 콩후(Konghou), "한궁의 봄날 아침"
Japanese sketch of angular harp, 19th century
19세기 일본의 각하프 스케치

앵글하프는 실크로드 동쪽을 따라 이동했고, 기원전 200년에서 서기 200년 사이에 중국에 도착했습니다.또 다른 세계 종교인 불교도 하프를 받아들여 극동과 중국, 그리고 한국과 일본으로 가져갔습니다.한나라 때는 중국이 실크로드에 합류했는데, 실크로드의 서쪽 부분은 당시 하프가 설치된 지역을 통과했습니다.음악가들과 상인들을 통해, 하프는 점점 더 동쪽으로 나아갔습니다; 이 과정은 실크로드를 따라 있는 하프들의 묘사에 연대를 측정함으로써 추적될 수 있습니다.중국에서 하프의 보급은 불교의 보급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그 전성기는 당나라 때였습니다.중국, 한국, 일본에서 하프는 서로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었지만 악기 자체는 본질적으로 똑같았고 어디에서나 불교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다른 많은 "외국" 악기들과 함께 하프는 불교의 쇠퇴와 함께 성 왕조 시기인 1100년경에 중국에서 사라졌습니다.[11][12]

쇠락

하프는 무슬림 음악 문화에 계속해서 존재했고, 그 악기는 서기 1300년에서 1600년 사이에 페르시아 삽화 책의 미니어처에 종종 등장합니다.1600년 이후부터, 그 묘사들은 점점 더 그 때까지 하프가 사용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화가들은 그들의 기억에 한정되어 있었습니다.[12]터키 여행자 에블리야 셀레비는 2,000명의 류트 연주자를 알고 있는 동안, 1660년경 이스탄불에서 단지 10명의 하프를 만드는 사람과 10명의 하프 연주자를 발견했습니다.

하프가 배경으로 강등된 것은 아마도 많은 현을 조정하는 어려움과 악기의 취약하고 취약한 특성에서 비롯되었을 것입니다.류트는 훨씬 적은 줄로 적어도 같은 음역을 커버했고, 그들의 구조는 더 강했습니다.[5]

각하프의 예

참고문헌

  1. ^ a b c d e von Hornbostel, Erich M.; Sachs, Curt (March 1961). "Classification of Musical Instruments: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German by Anthony Baines and Klaus P. Wachsmann". The Galpin Society Journal. Galpin Society. 14: 3–29.
  2. ^ Stanley, Sadie, ed. (1984). "Angular Harp". The Grove New Encyclopedia of Musical Instruments. Vol. 1. New York: Macmillan Press Ltd. p. 61. ISBN 0-943818-05-2.
  3. ^ McKinnon, James W. (1984). "Frame Harp". In Sadie, Stanley (e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al Instruments. p. 794. Volume 3.
  4. ^ a b McKinnon, James W. (1984). "Trigōnon". In Sadie, Stanley (e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al Instruments. p. 626. Volume 3.
  5. ^ a b c d Lawergren, Bo. "Angular Harps Through the Ages – A Causal History" (PDF). Retrieved 12 August 2011.
  6. ^ a b c d e Lawergren, Bo (15 December 2003). "Harp". Encyclopædia Iranica. Retrieved 21 July 2011.
  7. ^ a b c d Stanley, Sadie, ed. (1984). "Harp, section 2: Ancient Harps". The Grove New Encyclopedia of Musical Instruments. Vol. 2. New York: Macmillan Press Ltd. pp. 132–134. ISBN 0-943818-05-2.
  8. ^ a b Richard J. Dumbrill. The Archaeomusicology of the Ancient Near East. pp. 185, 200.
  9. ^ Xie Jin. "Reflection upon Chinese Recently Unearthed Konghous in Xin Jiang Autonomous Region". Musicology Department, Shanghai Conservatory of Music, Chi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The konghous in Xinjiang are not only similar between themselves,but also alike with the ancient harps in Pazyryk (350 B.C, FIG. 4) [vii], Assyria (650 B.C, FIG. 5), and Olbia (400-200 B.C, FIG. 6)
  10. ^ Lawergren, Bo. "Angular Harps Through the Ages – A Causal History" (PDF). p. 264. Retrieved 12 August 2011.
  11. ^ Lawergren, Bo. "Angular Harps Through the Ages – A Causal History" (PDF). p. 265. Retrieved 12 August 2011.
  12. ^ a b Stanley, Sadie, ed. (1984). "Harp, section 7: Eastern distribution". The Grove New Encyclopedia of Musical Instruments. Vol. 2. New York: Macmillan Press Ltd. pp. 158–159. ISBN 0-943818-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