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해빙
Antarctic sea ice남극해빙은 남양의 해빙이다. 겨울에는 북쪽 먼 곳에서부터 매년 여름이면 거의 해안선까지 후퇴해 해빙이 녹으면서 해마다 해안선에 점점 가까워진다.[1] 해빙은 보통 몇 미터 두께도 안 되는 얼린 바닷물이다. 빙하에 의해 형성된 빙붕과는 정반대로 바다에 떠다니며 두께가 1km에 이른다. 해빙에는 육지에 붙어 있는 패스트 아이스(fast ice)와 그렇지 않은 플로(floes)의 두 가지 세분화가 있다.
남해에서 나오는 해빙은 북극 얼음처럼 수면 대신 바닥에서 녹는다. 왜냐하면 꼭대기에 눈이 쌓여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녹은 연못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평균적으로 남극해빙은 북극해빙보다 젊고, 얇고, 따뜻하고, 소금기가 많고, 이동성이 높다.[2] 해빙은 북극 얼음과 비교해 연구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진다.
해빙 측정
범위
남극 해빙 커버는 계절성이 매우 높으며, 호주 여름에는 얼음이 거의 없고, 겨울에는 남극 대륙과 거의 같은 지역으로 확장된다. 호주 겨울의 종말을 알리는 9월 한 달 동안 최고점(~18 × 10^6 km^2)이며, 2월에는 최소점(~3 × 10^6 km^2)까지 후퇴한다.[2][3]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남극 해빙은 몇 미터 두께의 첫해 얼음이지만 정확한 두께는 알려지지 않았다. 1800만 km^2 얼음의 면적은 18조 제곱미터로 얼음의 밀도가 약 0.88 테라톤/백만 km^3인 것을 감안하면, 늦겨울 남극해빙의 최고 미터 질량은 대략 16 테라톤(조 미터톤)이다.
남극 연안의 바다는 보통 그 위의 공기보다 훨씬 따뜻하기 때문에, 해빙의 범위는 주로 그것을 북쪽으로 밀어내는 바람과 해류에 의해 제어된다. 빨리 밀리면 얼음이 녹기 전에 훨씬 더 북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부분의 얼음은 해안을 따라 형성되는데, 북쪽으로 이동하는 얼음은 급속히 얼어붙는 개방된 물(동사잠열 폴리니아)의 영역을 떠나기 때문이다.
두께
남극의 얼음은 주로 다년 얼음처럼 두께가 두껍지 않은 1년차 얼음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몇 미터 두께도 되지 않는다. 얼음의 강설과 홍수는 그것을 실질적으로 두껍게 할 수 있고, 남극 얼음의 층 구조는 종종 매우 복잡하다.
최근 동향과 기후변화
최근 남극 주변의 아열대성 사이클론 및 안티클론 수의 지역적 변화와 관련이 있는 바람 패턴의 변화는 일부 지역에서는 더 북쪽, 다른 지역에서는 그렇게 북쪽이 아닌 바다 얼음을 자극했다([4]이미지 참조). 순변화는 남극해의 해빙 면적이 소폭 증가한 것이다(해빙 면적이 훨씬 더 강하게 감소하고 있는 북극해와 달리).[5][6] 해빙 범위가 늘어난다고 해서 남해가 식고 있다는 뜻은 아니다. 왜냐하면 남해가 더워지고 있기 때문이다.[7]
남극해의 얼음 덮개는 가을과 겨울에 자라고 매년 봄과 여름에 다시 작아진다. 2013년(검은색 선)과 2012년(빨간색 선)에는 얼음이 역대 최고 익스텐트에 도달했지만 역사적 평균(파란색 선)을 약간 웃돌았을 뿐이다. 연한 청색 지역은 자연 변동성의 범위를 보여준다.
2012년 남극해빙 범위; 1979년부터 2000년까지의 9월의 중간 해빙 범위를 보여주는 노란색 윤곽과 비교해 보십시오. 북극의 해빙 커버리지가 남해상에서 확장된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줄어들었다.
남극해빙의 애니메이션은 남반구 가을과 겨울 동안 계절적 최소 범위부터 계절적 최대 범위까지 성장한다(2014년 3월 21일과 9월 19일 사이, 애니메이션의 참고문헌 라벨). 스프링 용해 상태가 표시되지 않음
IPCC AR5 보고서는 1979년부터 2012년까지 연평균 남극해빙 범위가2 10년 당 1.2~1.8% 증가한 것으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결론 내렸다.[8] IPCC AR5는 또한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해빙의 총 부피나 질량의 추세를 결정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 해빙 면적의 증가는 아마도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것이다.[9] 이것들은 자연적인 변동성과 온실가스와 오존 구멍으로부터의 강제적인 변화의 조합인 남반구 서풍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다. 바람은 해빙 표류를 유도하고 모델링 연구는 관찰된 해빙 팽창이 해빙 표류 속도의 변화에 의해 움직였다는 것을 보여준다.[10] 또 다른 가능한 동인은 얼음 쉘프 녹는 것인데, 이것은 바다로 들어가는 담수 입력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약하게 층화된 해양 표면층을 증가시켜 지표면에 도달하는 따뜻한 물의 능력을 감소시킨다. 2015년 한 연구에 따르면 기후 모델에서 이러한 효과는 미래의 기후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실행되며, 겨울에는 해빙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1]
대기와 해양 운전자들은 남극 해빙 범위의 지역에 따라 다양한 추세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1979-2004년 동안 대기와 남해의 기온은 증가했다. 하지만, 해빙은 약하게 층화된 바다 때문에 녹는 것보다 더 빨리 자란다. 따라서 이 해양 메커니즘은 무엇보다도 순 얼음 생산량의 증가에 기여하며 잠재적으로 더 많은 해빙을 야기할 수 있다.[12] 두께 관측은 제한적이지만, 모델링에 따르면 해안 지역을 향한 빙하가 관측되면 가을과 겨울 동안 역동적인 바다 얼음 두께가 두꺼워지는 데 추가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13]
같은 기간과 같은 기간 동안 그리고 다음 시즌 동안 남극 대륙의 거의 모든 지역에 걸쳐 온도 흡입을 통한 열역학적 제어, 얼음 폭포를 통한 강한 동적 제어 등을 가진 아열대성 사이클론, 안티클론 및 블록의 수의 가을과 봄 추세를 관찰했다. 관찰되고,[4] 지역에 따라 변화하며, 바다 얼음 범위의 경향. 결과적으로, 기상 시스템을 중심으로 불어오는 지표면에 가까운 바람은 비균형 남극 해양 빙하의 큰 부분을 설명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해빙이 점진적으로 증가한 후, 2016년 남반구 봄(즉, 9월, 10월, 11월)에 남극해빙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14]
시사점
해빙의 변화를 감시하는 것은 중요한데, 이것은 이곳에 사는 정신세포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15]
남극 해빙의 변화도 대기 및 해양 순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16] 해빙이 형성되면 소금(해양수는 식염수지만 해빙은 대체로 신선함)을 거부하기 때문에 촘촘한 짠물이 형성돼 남극의 해저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남쪽 대륙의 가장 큰 부분(하나의 대륙이 있다고 가정할 때)은 바다가 얼음으로 뒤덮인 극원 안에 있어야 하며, 따라서 육지에 접근할 수 없다.
Captain James Cook. A Voyage Towards the South Pole and Round the World, etc.[17]
움직이는 얼음의 힘은 상당하다. 얼음팩에 걸린 배를 짓눌 수 있고, 여름에도 배가 육지에 닿을 수 있는 지역을 심각하게 제한한다. 제빙기, 제빙기, 제빙기, 제빙기가 보급품을 착륙시키는 데 사용된다.
참고 항목
참조
- ^ "Arctic Sea Ice News and Analysis Sea ice data updated daily with one-day lag".
- ^ Jump up to: a b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4-11-11. Retrieved 2014-11-11.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NASA (2009-05-22). "Antarctic Sea Ice".
- ^ Jump up to: a b Schemm, S. (2018). "Regional Trends in Weather Systems Help Explain Antarctic Sea Ice Trend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5 (14): 7165–7175. Bibcode:2018GeoRL..45.7165S. doi:10.1029/2018GL079109. hdl:20.500.11850/286394.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NASA - What's Holding Antarctic Sea Ice Back from Melting?".
- ^ "Arctic Sea Ice News and Analysis Sea ice data updated daily with one-day lag".
- ^ "Ocean warming in Southern Hemisphere underestimated, scientists suggest".
- ^ IPCC AR5 WG1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PDF): 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rch 8, 2014.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Q&A with NASA's Joey Comiso: What is Happening with Antarctic Sea Ice?". Oct 7, 2014.
- ^ Sun, Shantong; Eisenman, Ian (2021). "Observed Antarctic sea ice expansion reproduced in a climate model after correcting biases in sea ice drift velocity". Nature Communications. 12. doi:10.1038/s41467-021-21412-z.
- ^ R. Bintanja, G. J. Van Oldenborgh, C. A. Katsman (2015). "The effect of increased fresh water from Antarctic ice shelves on future trends in Antarctic sea ice" (PDF). Annals of Glaciology. 56 (69): 120–126. Bibcode:2015AnGla..56..120B. doi:10.3189/2015AoG69A001. S2CID 54759501.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Zhang, Jinlun (2007). "Increasing Antarctic Sea Ice under Warming Atmospheric and Oceanic Conditions" (PDF). Journal of Climate. 20 (11): 2515–2529. Bibcode:2007JCli...20.2515Z. doi:10.1175/JCLI4136.1.추상적
- ^ Holland, Paul R., Nicolas Bruneau, Clare Enright, Martin Losch, Nathan T. Kurtz, Ron Kwok (January 17, 2014). "Modeled Trends in Antarctic Sea Ice Thickness" (PDF). Journal of Climate. 27 (10): 3784–3801. Bibcode:2014JCli...27.3784H. doi:10.1175/JCLI-D-13-00301.1.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Sharon Stammerjohn and Ted Scambos. Jessica Blunden; Derek S. Arndt (eds.). "State of the Climate in 2016: Antarctica" (PDF).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Association (98, Si–S280).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Andrew Martin, Andrew McMinn (2018). "Sea ice, extremophiles and life on extra-terrestrial ocean worlds". International Journal of Astrobiology. 17 (1): 1–16. Bibcode:2018IJAsB..17....1M. doi:10.1017/S1473550416000483.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Sea Ice and Global Climate". NSIDC. Retrieved 11 Jul 2018.
NSIDC
- ^ 요리사, 제임스. (1777) 남극을 향한 항해와 세계 일주. 1772년, 1773년, 1774년, 1775년, 폐하의 배에서 해상도와 모험을 수행함. 여기에 포함된 내용으로는, 배 분리 동안에 모험에서의 그의 진행에 대한 푸르노 선장의 서술이 있다. 제2권. 런던: W. Strahan과 T.용으로 인쇄됨. 캐델 (관련 파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