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서니 바그너
Anthony Wagner앤서니 리처드 바그너 KCB KCVO FSA 경(1908년 9월 6일 ~ 1995년 5월 5일)은 런던의 무기대학에서 오랫동안 근무한 군무 장교였다.그는 클라렌수스 무기의 왕으로 은퇴하기 전에 가터 무기의 왕을 지냈다.그는 20세기의 전령과 계보를 주제로 한 가장 많은 저자들 중 한 명이었다.[1]
조기생활과 교육
바그너의 먼 조상인 멜치오르 바그너는 1709년 작센 도시 코부르크에서 영국에 도착하여 조지 1세와 조지 2세의 모자장수가 되었다.[2][3]
바그너의 아버지 올랜도 바그너는 런던에서 주간학교를 운영했다.그는 장학금으로 이튼 칼리지와 옥스퍼드 발리올 칼리지에 다녔다.[3][4]그는 고전들이 재미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문인문학에서 3분의 1로 졸업했다.어릴 때부터 그는 족보에 관심을 가졌고 소년 시절 그가 가장 좋아했던 책은 현대사를 해설한 Hereford Brooke George의 족보 표였다.[3][5]
직업 경력
바그너는 1931년 포르쿨리스 팔의 추적자로 무기대학에 입학했다.1943년 리치몬드 헤럴드 오브 노멀리먼드 암스(Richmond Herald of Arms in Normal), 1961년 가터 암스(Garter King of Arms) 주임으로 승진했다.1978년 그는 클라렌수스 암스 왕의 부하직으로 은퇴했다.[3]옥스퍼드 대학은 그에게 DLitt를 수여했고 1979년에 그는 발리올 대학의 명예 연구원으로 임명되었다.[3]
그는 대학 임용이 평생이라는 견해를 굳게 믿고 있었다.전령으로서 그는 매우 많은 연습을 즐겼고 후에 군 장교가 된 숙련되고 자격을 갖춘 많은 조수들을 훈련시킬 수 있었다.그의 전문 도서관은 방대했지만, 클럼버와 다른 판매품들로부터 중요한 초기 헤럴드 원고를 수집할 수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4년 동안 전쟁 사무소에서 근무했고, 그 후 도시 계획부로 옮겨갔고, 그곳에서 일련의 장관들의 주요 개인 비서가 되었다.그는 목사에 남기를 고려했지만 1946년 무기대학으로 돌아와 윈저 헤럴드의 알프레드 버틀러(Alfred Butler)의 광범위한 관행을 이어받았다.
그가 집요하게 추구한 한 가지 아이디어는 무기대학 자체의 보물을 전시할 박물관을 설립하는 것이었다.처음에는 대학과 인접한 곳에 건물을 세우기를 희망했고, 레이먼드 에리스로부터 설계를 의뢰받았는데, 이는 대학 자체의 수리에 대한 재정적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에 불가능하게 되었다.그러나 1981년 런던 타워의 일부에 알람즈 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그는 1944년에 미국 족보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1981년 그는 더 타임즈의 필립 하워드와의 인터뷰에서 영국 정치 생활의 의례적인 측면을 옹호했다.국가의 연속성과 역사의 퇴치성을 구현한 예술 형식이다.우리는 큰 변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그러나 대관식 같은 의식의 모든 물품은 10세기 전 우리 국적의 뿌리와 직결된다.[7]하워드 총리는 바그너는 "전설을 존경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연속성을 지니는 가장 뛰어난 역사학자 중 한 명"이라고 말했다.[7]
연대기
- 지명된 Portcullis 일반 무기 추적자 (1931)
- 영국 무기사전의 편집장(1940–1995)
- 리치먼드 헤럴드 오브 일반 무기 (1943)
- 가터 훈장 서기관(1952~1961)
- 무기대학 등록자 (1953–1960)
- 기사도 궁정 합동대장(1954~1995)
- 임명 가터 무기왕 (1961–1978)
- 기사 교장, 제국 기사단 총각(1962–1983)
- 임명 클라렌수스 무기의 왕 (1978–1995)
- 런던 타워의 전령 박물관 관장 (1978–1983)
기타 활동
바그너는 세계 밖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무기대학의 연구도 있었다.그는 1973년부터 1974년까지 마스터로 일하면서 빈트너스 회사에 속해 있었으며 딜레탄티 협회, 항쿼리 코카드 모자, 성경적인 록스부르크 클럽을 포함한 많은 중요한 식당 클럽의 회원이었다.
많은 대형 프로젝트들이 그의 관심과 열정을 불러일으켰다.하나는 할리앙 협회에서 생겨난 것으로, 이 시리즈(CEMRA)에 바그너가 제1권을 기고하여 살아남은 잉글리시 롤 오브 암즈:를 나열하고 묘사하려는 노력이었다.런던의 Antiquaries of London과 연계된 또 다른 프로젝트는 J. W. Papworth가 원래 생산한 무기 일반의 개정판이었다.제1권(현재의 영국군 사전)은 1992년에 나왔다.
출판물
계보는 바그너의 애정에 있어서 1위를 차지했지만, 그의 초기 출판물은 전령 연구에 매우 중요한 공헌을 했다.주 의례의 문제가 세 번째 우선순위를 차지했다.그의 영국 역사 헤럴드리는 처음에는 미국의 패널 전시회에서 유래했지만, 진정한 무기가 있는 위인과 그렇지 않은 위인들 사이에 엄격하고 학구적인 선을 그었다.한편, 그의 중세(또한 1939년)의 《알람》과 《헤럴드》는 초기의 군무관들의 기능 발전에 새로운 빛을 발했다.수년 후 그는 영국전망대(1967년)라는 제목의 방대한 저서에서 무기대학의 모든 이야기를 추적했다.[8]로이 스트롱은 이 책을 "마법"이라고 불렀다.[9]
바그너의 영어 계보(1960; 개정판 1972, 1983)는 표준 참고 문헌으로 남아 있다.그의 결론의 많은 부분은 페디그리와 프로그레스(1975년)에서 리허설되고 강화되었는데, 여기서 중요한 에세이집단이 주석을 달고 최신으로 올라온다.항상 그는 영국사 과정에서 사회생활과 계급의 기동성을 강조했고, 이러한 관점을 유지하는데는 일부 전문 영국 역사학자들의 의견과 배치되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그의 무기 대학 기록과 소장품들(1952년)은 대학의 기록 보관소에 유용한 발견 원조로 남아 있다.
그의 사무실은 초기 단계부터 고도로 기계화되었지만, 1984년에 장님이 되어 현대 과학의 원조를 십분 활용하면서, 그는 인내와 능숙한 솜씨로 고뇌를 견뎌냈다.그는 자신의 자서전인 "A Herald's World"(1988)를 받아쓰게 했다.
그는 또한 세습 동료들의 확고한 지지자였으며, 버크 피에이지의 1970년 판의 서문이 된 1969년 1월 30일자 타임즈 기사에서 그들의 상원의원직을 옹호했다.[10][11]
사생활
1953년(44세) 바그너는 H.A.R. Graham 소령의 장녀인 길리언 그레이엄과 결혼했다.그들은 아버지의 집인 런던 68 첼시 스퀘어(첼시 광장)를 인수하는 것 외에 서퍽 주 알데부르그의 컨트리 하우스를 인수했다.그 부부는 딸 한 명과 아들 두 명을 두었다.
바그너의 장례식은 1555년부터 무기대학의 종교적 본거지인 세인트베넷 폴스워프 교회에서 거행되었다.여왕은 콘래드 스완 경으로 대표되었다.[12]그는 알데버그에 묻혔다.
명예
- 빅토리아 훈장 (1953)
- 빅토리아 훈장 기사단(1961년)
- 목욕 기사단장(1978년)
- 미국 네브라스카 주의 해군 제독 (1987년)
무기
![]() |
|
참고 항목
참조
- ^ Thomas, Robert McG., Jr (20 May 1995). "Sir Anthony Wagner, 86, Dies; Medievalist and Senior Herald". New York Times.
- ^ Wagner, Anthony R.; Dale, Antony (1983). The Wagners of Brighton. London: Phillimore. p. 146. ISBN 9780850334456.
- ^ a b c d e '안소니 바그너 경', 더 타임스(1995년 5월 11일), 페이지 21.
- ^ Maclagan, Michael (10 May 1995). "Obituary: Sir Anthony Wagner". The Independent.
- ^ Anthony Wagner, 'The Dry Bones Live', The Times (1963년 1월 3일), 페이지 11.
- ^ "All Fellows". American Society of Genealogists.
- ^ a b 필립 하워드, '갑에서 두각을 나타낸 왕', 더 타임즈 (1981년 11월 4일), 페이지 10.
- ^ Falco, Raphael (1994). Conceived Presences: Literary Genealogy in Renaissance England.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p. 6. ISBN 9780870239359.
- ^ Roy Strong, 'Up with Portcullis and Co' , The Times (1984년 10월 13일), 페이지 8.
- ^ Wagner, Sir Anthony (30 January 1969). "Hereditary Peers Defended". The Times.
- ^ Lord Sudeley (2011). "Lords Spiritual, Temporal – And Invaluable" (PDF). Quarterly Review. Autumn: 38.
- ^ 'Court Circular', The Times (1995년 5월 13일), 페이지 20.
- ^ Godfrey, Walter H; Wagner, Anthony (1963). "'Garter King of Arms', in Survey of London Monograph 16, College of Arms, Queen Victoria Street (London, 1963), pp. 38-74". british-history.ac.uk. Retrieved 1 November 2018.
외부 링크
- 라이브러리에서 Anthony Wagner에 의해 또는 그에 대한 작업(WorldCat 카탈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