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액세스/영역 거부
Anti-access/area denial
안티 액세스/영역 거부(Anti-Access/Area Denial)는 운영 환경에 대한 액세스 및 내부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군사 전략입니다.[2]초기 정의에서 안티 액세스는 일반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이러한 행동 및 기능을 의미하며, 반대 세력이 작전 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합니다.영역 거부는 작전 영역 내에서 반대 세력의 행동 자유를 제한하기 위해 고안된, 일반적으로 더 짧은 범위의 행동 및 능력을 말합니다.[3][4]간단히 말해서, A2는 극장으로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AD는 극장 내에서의 이동에 영향을 미칩니다.[5]A2/AD는 일반적으로 더 약한 상대가 우월한 기술을 가진 상대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을 의미하지만 [6]더 강한 상대도 A2/A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요
![]() | 이 섹션의 예와 관점은 주제에 대한 전체적인 관점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2023년 6월) (이 를 및 |
A2/AD 전략은 미군에 대항할 수 있는 더 약한 힘의 무기로 간주하는 미국 정책의 중대한 관심사입니다.[2]미군은 적의 반접근/지역 거부 전략 채택이 "향후 수십 년간 미군이 직면할 가장 어려운 작전 도전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4]국방부는 "고도의 대접근 및 지역 거부 능력을 갖춘 적들을 포함한 군사 작전 범위 전반에 걸쳐 적들을 물리치기 위한 합동 공해상 전투 개념"을 개발했습니다.[7]
해군 작전 참모총장. 존 리처드슨은 A2/AD라는 용어의 모호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에게 A2AD는 암호 단어이며, 군대가 그들 자신에게 극도의 위험만을 무릅쓰고 들어갈 수 있는 침투할 수 없는 "외박 구역"을 암시합니다.다른 사람들에게 A2AD는 기술 제품군을 의미합니다.여전히 다른 사람들에게, 전략.요약하면, A2AD는 정확한 정의 없이 자유롭게 띠를 묶은 용어로, 송신되는 상황과 수신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모호한 또는 상반된 신호를 보냅니다. [...] 해군은 A2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다양한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또는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어떤 것이든 의미할 수 있는 독립형 머리글자로서의 AD."[8]
바다

A2/AD의 개념은 오래 전부터 해군들이 해상[6] 지휘부, 통신선 통제 등의 이름으로 사용해 왔습니다.해군 A2/AD는 일반적으로 초크 지점이나 섬 주변의 물과 같은 접근을 제한하는 지리적 특징을 이용합니다.봉쇄는 해군의 출입금지 작전의 한 예입니다.[2]
대함 미사일은 잠재적인 적이 해상을 통해 공격하는 것을 막는 현대적인 방법입니다.중국, 러시아, 북한, 시리아, 이란은 모두 인근 수로에서 오는 미국의 전력투구에 대응하기 위한 현대적인 A2/AD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이러한 무기를 개발하거나 수입해 왔습니다.[10]이러한 A2/AD 능력을 추구하는 중국에 대응하여 미국은 공중해전(air Sea Battle) 원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전략적 차원에서 지역을 부인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항공모함, 잠수함, 지대공 미사일, 탄도 미사일, 순항 미사일, 전자전 및 요격 항공기 등이 있습니다.[11][12]해안 지역에서는 기뢰, 해안 잠수함, 공격기 등이 사용될 수 있었습니다.[3]그 밖에 순항미사일, 장거리타격기, 기뢰, 해안방어포 등의 지역거부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3]A2/AD라는 용어는 장거리 미사일 시스템, 정밀 군수품, 그리고 위성 기술이 현대 해군력에 도전적인 해안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야기할 수 있는 위협을 설명하기 위해 2003년에 만들어졌습니다.[2]
땅
육군의 접근금지 위협은 "극장 탄도 미사일, 순항 미사일, 장거리 로켓과 포, 대량살상무기와 다른 비상식적인 수단, 그리고 정보 작전"을 포함합니다.[13] 육상에서의 A2/AD 전략은 종종 접근금지 작전을 지원할 수 있는 자연적인 지리적 특징이나 다리를 이용합니다.[2]지대부정 작전은 직접적인 대립을 회피하는 불을 쫓거나 속임수, 게릴라전과 같은 전략으로 상대방의 능력을 떨어뜨립니다.[2]포병, 로켓, 미사일 공격, 지뢰밭, 화학, 생물학, 방사선, 핵작용제 등도 육상에 기반을 둔 구역 거부 기술에 포함됩니다.[3]
항공사
비행금지구역은 공중에서 A2/AD 전략으로 영공 일부로의 접근을 금지합니다.[2]A2/AD는 S-300과 S-400과 같은 지대공 미사일로 지원될 수 있습니다.[3]순항미사일과 탄도미사일로 인한 전방 공군기지에 대한 위협은 또한 반접근을 강요할 수 있습니다.[3]
사이버스페이스
사이버 공간에서의 공격은 A2/AD 위협의 중요한 부분입니다.[2]전술적 사이버 A2/AD 운영은 특정 자원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전략적 A2/AD는 사이버 공간 자체에 대한 접근을 차단합니다.[2]
참고문헌
- ^ Giles, Keir; Boulegue, Mathieu (2019). "Russia's A2/AD Capabilities: Real and Imagined". The US Army War College Quarterly: Parameters. 49 (1): 21–36. doi:10.55540/0031-1723.2860. S2CID 232333797.
- ^ a b c d e f g h i Russell, Alison Lawlor (2017). "Historical Perspective of A2/AD Strategy". Strategic A2/AD in Cyberspace: 11–25. doi:10.1017/9781316817001.002. ISBN 9781316817001.
- ^ a b c d e f Krepinevich, Andrew; Watts, Barry; Work, Robert (2003). Meeting the anti-access and area denial challenge (PDF). Center for Strategic and Budgetary Assessments Washington, DC.
- ^ a b Joint Operational Access Concept (JOAC) (PDF). Department of Defense. 17 January 2012.
- ^ Department of Defense Authorization for Appropriations for Fiscal Year 2012 and the Future Years Defense Program.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7 February 2011. p. 522.
- ^ a b Tangredi, Sam (2013). Anti-access warfare: countering anti-access and area-denial strategies. ISBN 978-1-61251-187-0.
- ^ U.S. Department of Defense (February 2010).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15. Retrieved 3 October 2012.
- ^ Richardson, Adm. John (October 3, 2016). "Deconstructing A2AD". The National Interest.
- ^ Yevtodyeva, M. G. (2022). "Development of the Chinese A2/AD System in the Context of US–China Relations". Herald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92 (Suppl 6): S534–S542. doi:10.1134/S1019331622120048. S2CID 252600538.
- ^ Kazianis, Harry. "Anti-Access Goes Global". The Diplomat. Retrieved 2011-12-29.
- ^ Ben, Ho Wan Beng (15 November 2018). "Are Aircraft Carriers Still Relevant?". The Diplomat. James Pach. Retrieved 14 January 2019.
- ^ Freier, Nathan (17 May 2012). "The Emerging Anti-Access/Area-Denial Challenge".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Retrieved 14 January 2018.
- ^ Concepts for the Objective Force. Washington, DC: Office of the Chief of Staff (Army-HQ). 2001-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