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동

Aortic sinus
대동맥동
Gray497.png
반월형 판막을 보여주기 위해 설치된 대동맥. (N.B. 캡션이 현재 용어와 맞지 않음)
세부 사항
동의어발살바의 부비동
식별자
라틴어축농 대동맥
메슈D012850
TA98A12.2.03.002
TA24001
FMA3745
해부학적 용어

발살바의 부비동이라고도 하는 대동맥동대동맥판 바로 위에서 일어나는 상승 대동맥의 해부학적 팽창의 하나이다.[1] 이 넓이는 대동맥의 벽과 대동맥 판막의 각 세 개의 큐스프 사이에 있다.[2]

구조

일반적으로 3개의 대동맥이 있는데, 한 의 앞쪽과 두 개의 뒤쪽 동맥이 있다.경우 관상동맥이 발생한다.

  • 좌측 후방 대동맥동맥동은 좌측 관상동맥으로 상승한다.
  • 전방 대동맥동맥동은 오른쪽 관상동맥이 생기게 한다.
  • 오른쪽 후측 대동맥동맥동은 대개 혈관이 생기지 않으며, 흔히 비부정맥동이라고 알려져 있다.

대동맥 시너스는 일반적으로 폐 시너스에 비해 두드러진다.[3]

임상적 유의성

만약 관상동맥이 잘못된 대동맥에서 생긴다면, 이것은 심장의 심실등혈증의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4] 이는 대개 20세 이전과 운동 중에 이미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4]

이름

각 대동맥동맥동은 발살바의 부비동,[1] 모르가니부비동, 메타부비동, 오토의 부비동, 쁘띠의 부비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Weinreich, Michael; Yu, Pey-Jen; Trost, Biana (2015). "Sinus of Valsalva Aneurysm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n Update on Management". Clinical Cardiology. 38 (3): 185–189. doi:10.1002/clc.22359. ISSN 1932-8737. PMC 6711005. PMID 25757442.
  2. ^ Dorland's (2012).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32nd ed.). Elsevier. p. 1719. ISBN 978-1-4160-6257-8.
  3. ^ Issa, Ziad F.; Miller, John M.; Zipes, Douglas P. (2012-01-01), Issa, Ziad F.; Miller, John M.; Zipes, Douglas P. (eds.), "Chapter 23 - Adenosine-Sensitive (Outflow Tract) Ventricular Tachycardia", Clinical Arrhythmology and Electrophysiology: A Companion to Braunwald's Heart Disease (Second Edition), Philadelphia: W.B. Saunders, pp. 562–586, doi:10.1016/b978-1-4557-1274-8.00023-3, ISBN 978-1-4557-1274-8, retrieved 2020-11-11
  4. ^ a b Thiene, G.; Rizzo, S.; Basso, C. (2016-01-01), Buja, L. Maximilian; Butany, Jagdish (eds.), "Chapter 10 - Pathology of Sudden Death, Cardiac Arrhythmias and Conduction System", Cardiovascular Pathology (Fourth Edition), San Diego: Academic Press, pp. 361–433, doi:10.1016/b978-0-12-420219-1.00010-0, ISBN 978-0-12-420219-1, retrieved 2020-11-1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