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만도피치

Armando Picchi
아르만도피치
1962–63 Inter Milan - Armando Picchi.jpg
1962-63시즌 인터 밀란과의 피치
개인정보
출생의 날짜.(1935-06-20)1935년 6월 20일
출생지이탈리아 리보르노
사망일자1971년 5월 27일 (1971-05-27) (35세)
사망장소이탈리아 산레모
높이1.71m(5ft 7인치)
포지션디펜더, 리베로
청년 경력
1949–1954 리보르노
시니어 커리어*
몇 해 Apps (Gls)
1954–1959 리보르노 99(5)
1959–1960 스팔 27(1)
1960–1967 인테르나치오날레 206(1)
1967–1969 바레스 46(0)
합계 378 (7)
국가대표팀
1964–1968 이탈리아 12(0)
팀 관리
1968–1969 바레스
1969–1970 리보르노
1970–1971 유벤투스
* 시니어 클럽의 등장과 골은 국내 리그에만 반영됨

아르만도 피치(이탈리아어 발음: [ararmando ˈpikki]; 1935년 6월 20일~1971년 5월 27일)는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겸 코치였다.정기적으로 리베로로 포지셔닝된 그는 "라 그란데 인터"로 알려진 인테르나치오날레 측의 주장을 맡았다.

클럽 커리어

초기 경력

리보르노에서 태어난 피치는 A.S. 리보르노 칼초에서 뛰면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1959년 그는 그의 전성기였던 그 후, 그의 경력의 대부분을 밀라노의 강력한 FC에서 SPAL로 이적했다.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그란데 인터의 선장

1960년대 중반 인터 밀라노의 피치 선장

다재다능한 수비수인 피치는 그가 이전에 SPAL에서 맡았던 역할인 인네타지오날레에서 뛰기 시작했다.1961-62시즌 동안 전설적인 그란데 인터의 감독 헬렌리오 에레라는 그를 리베로로 기용하는 실험을 했다.새로운 포지션은 성공적이었다. 그는 팀의 강력한 수비에 중요한 인물이 되었고, 그의 지도력으로 팀 동료 타르시시오 버그니치자신토 파체티에게 간접적으로 모범을 보였다.그 기간 동안, 인테르나치오날레는 여전히 브루노 볼치에 의해 붙잡혀 있었다.

볼치가 베로나로 이적하자 피치는 그 후 팀장으로 발탁되었다.인테르나치오날레가 1960년대 스쿠데티 3회, 유럽챔피언스컵 2회, 인터콘티넨탈컵 2회 우승으로 유명한 그란데 인터콘티넨탈컵으로 알려진 시대로 진화한 것은 그의 주장에서였다.[1][2]

후기 경력

인터에서 활동한 후, 1969년 34세의 나이로 은퇴하기 전, 바레스에서 두 시즌 동안 뛰었다.

국제 경력

1964년 11월 핀란드에 6 대 1로 승리하며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이 된 지 몇 달 만에 이탈리아로 데뷔했다.그러나 당시 이탈리아 감독이었던 에드몽도 파브리는 수비 마인드가 너무 강하다고 느껴 팀의 계획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고, 이후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을 위해 그를 선수단에서 제외시켰다.[3]

페루치오 발카레기 감독 아래, 유로 1968 예선전을 정기적으로 소집했다.그러나 1968년 4월 불가리아와의 경기에서 골반 골절상을 입어 그는 이 대회에서 탈락했고, 이로써 그는 아주리와의 마지막 경기를 마쳐 총 12번의 국제 경기에 출전하게 되었다.[4]

플레이 스타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1966년 팀 동료 루이스 비니시오, 헬렌리오 에레라 코치와 함께 네라주리 훈련 중 피치.

빠르고 다재다능하며 끈질긴 수비수였던 피치는 포워드중앙 수비형 미드필더로 선수 생활을 시작한 뒤 곧바로 복귀해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나 이후 리베로 역에서 자신만의 길을 걷게 됐다.피치는 주로 구식 스위퍼였는데, 주로 수비 실력과 건장한 체격, 마지막 남자로서 역전, 가로채기, 헐렁한 공을 맑게 하는 능력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반면, 작은 키 때문에 공중에서는 특별히 뛰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역할에 대한 좀더 전통적이고 방어적인 해석에도 불구하고 그는 뛰어난 선수였다.그래서 때때로 그의 뛰어난 기술과 경기 읽기 능력 때문에 미드필더로 공을 가지고 나가거나 백라인에서 플레이를 시작할 수 있다.이탈리아 최고의 수비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당대 최고의 스윕수로 꼽히는 그는 투구에서의 보컬리더십은 물론 전술지성은 물론, 백라인을 조직하고 동료들에게 동기부여를 하는 능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3][5][6][7][8][9]

코칭 경력 및 사망

1970-71시즌 유벤투스 감독으로 피치

선수생활이 끝난 후, 피치는 1969년에 감독 생활을 추구했다. 그는 1971년 2월 16일까지 바레세, 리보르노, 그리고 유벤투스를 감독했고, 후 암으로 입원했고, 이로 인해 감독 경력은 일찍 끝났다.그는 3개월 후 35세의 나이로 여섯 번째 왼쪽 갈비뼈 종양으로 사망했다.[6][7]

레거시

1971년 그가 세상을 떠난 후, 그의 명예를 걸고 기념 대회인 Memorial Armando Picchi가 열렸다.[10]같은 해 10월 21일 그의 기억 속에 축구 클럽 아르만도 피치 칼치오가 창단되었다.[11]

1990년 현재 그의 고향 클럽인 리보르노축구 경기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8]

명예

인터 밀란[6]

개인의

참조

  1. ^ "Armando Picchi, inter.it archive". archivio.inter.it. 10 July 2010. Retrieved 27 July 2010.
  2. ^ "La leggenda della Grande Inter" [The legend of the Grande Inter] (in Italian). Inter.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October 2012. Retrieved 10 September 2014.
  3. ^ a b Mario Gherarducci (25 May 2001). "Picchi, il battitore libero che mandava in crisi il Mago" (in Italian). Il Corriere della Sera. Retrieved 13 March 2017.
  4. ^ "Nazionale in cifre: Picchi, Armando". figc.it (in Italian). FIGC. Retrieved 20 April 2015.
  5. ^ Mario Sconcerti (23 November 2016). "Il volo di Bonucci e la classifica degli 8 migliori difensori italiani di sempre" (in Italian). Il Corriere della Sera. Retrieved 27 December 2016.
  6. ^ a b c Fabio Monti. "PICCHI, Armando" (in Italian). Treccani: Enciclopedia dello Sport. Retrieved 13 March 2017.
  7. ^ a b "Armando Picchi: storia di un eroe malinconico" (in Italian). Tutto Calciatori. 19 August 2013. Retrieved 13 March 2017.
  8. ^ a b Simone Bernabei (20 June 2016). "Armando Picchi, il libero livornese capitano all'Inter con Helenio Herrera" (in Italian). TuttoMercatoWeb.com. Retrieved 13 March 2017.
  9. ^ "Moratti ricorda Picchi "Era il perno dell'Inter"" (in Italian). Inter.it. 13 June 2014. Retrieved 13 March 2017.
  10. ^ Il 19 Inizia Il Quadrangolare Armando Picchi - l'Unita Archived 2014년 2월 22일 웨이백 머신보관
  11. ^ "Armando Picchi Calcio Livorno – La storia" (in Italian). www.armandopicchi.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06. Retrieved 25 October 2018.
  12. ^ "Hall of Fame: Nesta, Rummenigge, Conte, Rocchi, Cabrini and Bonansea among those inducted". Federazione Italiana Giuoco Calcio. 3 February 2022. Retrieved 3 February 202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