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의 아르메니아인
Armenians in Austria총인구 | |
---|---|
6,000 | |
모집단이 유의한 지역 | |
비엔나 | |
언어들 | |
아르메니아어, 독일어 | |
종교 |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 |
관련 민족 | |
헝가리의 아르메니아인 |
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아르메니아인 |
---|
아르메니아 문화 |
건축 · 예술 요리. · 춤 · 드레스 문학 · 음악 · 역사 |
국가별 또는 지역별 |
아르메니아·아르타흐 나가노카라바흐 참조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 러시아·프랑스.·인도 미국·이란·조지아 아제르바이잔·아르헨티나·브라질 레바논·시리아·우크라이나 폴란드·캐나다·호주. 터키·그리스·키프로스 이집트·싱가포르·방글라데시·중국 |
부분군 |
햄세니스 · 체르케소가이 · 아르메노타츠 · 롬족 · 헤이후룸 |
종교 |
아르메니아 사도교 · 아르메니아 가톨릭교도 복음주의 · 형제단 |
언어 및 방언 |
아르메니아어: 동서양 |
박해 |
집단 학살 · 하미디아인 학살 아다나 학살 · 반아르메니아주의 히든 아르메니아인 |
오스트리아의 아르메니아인은 오스트리아에 살고 있는 아르메니아 민족을 말한다. 그들은 약 6천[1] 명에 이르며 주로 비엔나에 산다. 비엔나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메키타리스트 교단의 매우 중요한 존재도 있다.
역사
18세기 후반 이전
오스트리아 아르메니아인들의 역사는 17세기 말 비엔나가 터키의 포위망에서 해방되던 때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때 여러 아르메니아 상인들이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새로운 시장을 발견했다.
실제로 이 도시의 특징적인 커피 문화는 아르메니아 상인들에 의해 수십 년 초창기 동안 확립되어 운영되었다. 비엔나에서 최초로 문서화된 커피하우스는 1685년 1월 17일 요하네스 더다트(혹은 아르메니아어로 오와네스 아스토아츠타튀르 - վհասսսսսս - - - - 일부 출처에서는 그를 그리스인이라고 주장함)[2][3][4]에 의해 문을 열었다.
1770년대 갈리시아와 부코비나의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
In 1772-1774, the Austrian Empire annexed Galicia (see Austrian Partition, as part of the late-18th century Partitions of Poland) and especially the formerly Moldavian Voivodeship of Bukovina (see Treaty of Küçük Kaynarca; today a part of the Ukraine), which at the time held the largest area contiguously settled by Armenians in Europe, and the Buko비앙과 갈리시아 아르메니아인들은 자동적으로 제국의 주체가 되었다. 1775년 마리아 테레사는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의 메치타리스트 교회에 합스부르크 제국에 정착할 것을 공식 허가했다. 비엔나에 있는 메크리틱 교회는 인쇄술과 도서관, 아르메니아 소년들을 위한 대학을 통해 중부 유럽에 아르메니아 문화가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19세기 초 오스트리아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치적인 종교 공동체로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지위를 누렸다. 비엔나의 아르메니아 공동체는 끊임없이 성장했고, 그래서 이미 1896년에 아르메니아-아포스톨 공동체를 찾기 위한 첫 번째 노력이 이루어졌다. 1912년에 비엔나에 작은 예배당이 세워졌다.
WWI와 그 여파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여파는 오스트리아 아르메니아 공동체를 변화시켰다. 부코비나 아르메니아인 지역은 전쟁 중에 소실되었으나, 1915년 오스만 투르크인에 의해 자행된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의 결과로 오스트리아로 이민자들의 물결이 밀려왔다. 1918년 이후 갈리시아는 다시 다시 세워진 폴란드에 속하게 되었고, 부코비나 지역과 그 아르메니아 인구의 상당수는 루마니아의 일부가 되었다(그리고 1947년 소련과 오늘날 우크라이나로 넘어갔고, 1947년 이후 아르메니아 인구의 대부분이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로 떠나게 되었다).
1920년대 비엔나에서 초대 아르메니아 목사가 부임한 후,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이란 출신 난민들과 터키 출신 이주 아르메니아 노동자들, 그리고 최근에는 아르메니아 출신에 의해 오스트리아의 아르메니아인 수도 계속 증가하였다.
1945년 이후
1968년 비엔나 수프 히르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가 성결되어, 오스트리아에서 계속 성장하고 있는 아르메니아 공동체에 새로운 자극을 주었다. 토요 아르메니아 학교인 호반네스 시라즈도 있다.
양국은 1996년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아르메니아는 비엔나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오스트리아는 모스크바(러시아) 주재 대사관을 통해 아르메니아에 대표하고 있다.
비엔나 메치타리스트 훈장(1810-현재)
메키타 다 피에트로(1676-1749)가 세운 메키타리아 수도사단의 수도사 본부가 베네치아 성 라자로스 섬(이탈리아의 산 라자로 수도원 아르메노)에 있지만, 메키타리스트들은 1810년부터 비엔나에서 중요한 존재감을 유지하고 있다.
훨씬 이전인 1775년, 실제로 마리아 테레사는 이미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의 메치타리스트 신도들에게 합스부르크 제국에 정착할 수 있도록 공식적인 허가를 내렸고 그들은 트리에스테에 설립되었다.
1810년까지 그들은 프란치스코 교회를 이용하여 비엔나에 새로운 수도원을 설립했다. 1835년 교회가 완전히 타버렸을 때 메치타리스트들은 새로운 교회를 건설하기 위해 요제프 코른호이젤 당시 비엔나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가 중 한 사람의 예배를 고용했다.
재정 문제 때문에, 설계 교회 건설은 몇 십 년 동안 실현되지 못했다. 마침내 교회가 세워졌을 때 프리츠 시테라는 새로운 건축가가 이미 설계도를 상당히 변형시킨 상태였다. 그는 나중에 그의 아들 카밀로 시테는 1874년에 교회를 건축하는 것을 끝냈다.
비엔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중심지가 아니라 아르메니아인들에게도 진정한 문화 중심지다. 승려들은 특히 아르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역사, 아르메니아어 문헌을 배양하여 옛 아르메니아 작가들의 모든 작품을 '국립도서관'이라는 제목으로 해설사와 함께 출판하였다. 비엔나의 아이디니안은 1866년 현대 아르메니아 문법의 근본 교과서를 썼고, 츠참츠치안(1738~1823)은 베네치아(당시 오스트리아에 속함)에서 3권짜리 역사를, 비엔나 가라스치안(18~1903)에서는 아르메니아의 4권짜리 역사를 썼다.
비엔나 지부는 1887년부터 아르메니아 언어학과 언어학에 관한 학술적인 간행물인 한데스 암소리아를 발간하고 있다.
1773년에 설립된 메치타리스트 교회의 도서관은 아르메니아어 및 동양어 필사본의 특별 소장품(약 15만3000권, 원고 2000권, 숫자 모음)을 소장하고 있다. 도서관은 최근 온라인에서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의 책과 원고의 디지털 목록 구성을 발표했다.
전 세계 아르메니아 지역사회에 좋은 책을 전파하기 위한 협회와 매년 평균 6편의 신작을 발간하는 고급 인쇄기가 결성되었다.
승려들이 생산한 '메치타린'이라는 허브주에는 43개의 허브와 12개의 과일이 들어 있다고 하는데, 정확한 재료와 조리법은 비밀이며 한 번에 두 명의 승려만이 알고 있다. 메치타린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생산되고 있으며 승려들에 의해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참고 항목
- 범주:아르메니아계 오스트리아인
- 아르메니아-오스트리아의 관계
-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
- 요하네스 디오다토 [de](Johannes Teodaat [], Owanes Astouatzatur [de])(1640, 이스탄불–1725, 빈)
- 메치타리스트
- 체코의 아르메니아인
- 폴란드의 아르메니아인
- 슬로바키아의 아르메니아인
- 헝가리의 아르메니아인
- 루마니아의 아르메니아인
- 몰도바의 아르메니아인
- 우크라이나의 아르메니아인
- 세르비아의 아르메니아인
- 크로아티아의 아르메니아인(아르메니아-크로아티아 관계)
- 알바니아의 아르메니아인
-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아르메니아인
- 불가리아의 아르메니아인
- 그리스의 아르메니아인
- 터키의 아르메니아인
- 이탈리아의 아르메니아인
- 독일의 아르메니아인
참조
- ^ ArmenianDiaspora 웹 사이트 웨이백 머신에 2013-05-11 보관
- ^ "COFFEE". Werbeka.com. Retrieved 28 August 2017.
- ^ "Café Wien :: History of the Viennese Coffeehouse". Cafe-wien.a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ugust 2017. Retrieved 28 August 2017.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5-09. Retrieved 2012-09-22.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외부 링크
- 비엔나의 메치니즘 도서관
- "Une curiosité ethnographique Les Arméniens d'Autriche". Servet-i-Funoun Partie Français (in French). Revue d'Autriche. LIV (1402): 3-4. 1918-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