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 베어스
Art Bears아트 베어스 | |
---|---|
![]() | |
배경 정보 | |
기원 | 잉글랜드 |
장르 | 아반트록 |
년 활동 | 1978–1981 |
레이블 | 추천, 랄프 |
관련 행위 | 헨리 카우, 슬랩 해피, 바벨의 뉴스 |
과거 구성원 | 크리스 커틀러 프레드 프리스 다그마르 크라우스 |
아트베어는 1978년 헨리 카우 해체 당시 크리스 커틀러(파격, 텍스트), 프레드 프리스(기타, 베이스기타, 바이올린, 키보드), 다그마르 크라우스(보컬스, 슬랩 해피 이전) 등 멤버 3명이 결성한 영국의 아방 록 그룹이었다.이 그룹은 1978년과 1981년 사이에 3장의 스튜디오 앨범을 발매했고 1979년에는 유럽을 순회했다.
2008년 커틀러, 프리스 등이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국제뮤지크 액츄엘레 드 빅토리아빌 페스티벌에서 공연한 아트베어즈 송북 프로젝트 '리뷰'를 결성했다.
전기
아트 베어스는 1978년 1월 헨리 카우의 5집 앨범 녹음 도중 결성되었다.이 앨범의 내용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프리스, 커틀러, 크라우스는 노래 중심의 소재를 선호했고, 나머지 밴드들은 악기 구성을 선호했다.타협안으로서 프리스, 커틀러, 크라우스는 그들의 앨범 "희망과 두려움"에 이미 녹음된 곡들을 Art Bears라는 이름으로 발매하기로 동의했고 나머지 헨리 카우는 게스트로 인정받았다.이 기악재는 나중에 헨리 카우 마지막 앨범인 웨스턴 컬처(1979년)에 등장했다.[1]
따라서 희망과 두려움(1978)은 후에 프리스, 커틀러, 크라우스가 녹음한 새로운 아트베어 소재가 추가된 헨리 카우 노래로 구성되었다.1978년 말에 아트 베어스는 그들의 첫 번째 "진정한" 앨범인 "겨울 노래"를 녹음하기 위해 스튜디오로 돌아왔다.프리스가 아미엔스 대성당 기단에 조각된 조각에서 영감을 받은 커틀러의 원문을 중심으로 작곡한 14곡의 짧은 곡으로 구성됐다.
1978년 12월 아트베어스는 RIPO(Rock in Abjet)에 가입했고, 1979년 4월과 5월에는 유럽을 순회했다.투어에는 피터 블렉바드(ex-Slapp Happy, 기타, 베이스 기타, 음성)와 마크 홀랜더(Aksak Maboul, 키보드, 클라리넷)가 함께했다.그들은 4월 말에 이탈리아로 떠나기 전에 브릭스턴에 있는 콜드 스토리지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리허설을 했다.그들은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체코슬로바키아에서 5월 1일 밀라노에서 열린 리오 페스티벌을 포함하여 공연을 했다.투어 중 녹음된 곡들 중 일부는 나중에 아트 베어스 소재의 박스 세트인 희망과 공포의 CD 발매와 아트 박스(2004)에 추가되었다.
이 밴드는 1980년에 스튜디오로 돌아와 하나의 최종 앨범인 "The World as It Today" (1981)을 만든 후 헤어졌다.1983년 10월 프리스, 커틀러, 크라우스는 서베를린에서 열린 '베를린 프로그램' 공연을 위해 베를린 재즈 페스티벌의 커미션인 덕앤커버에 합류했고, 1984년 2월에는 동베를린에서, 그 다음 8월에는 런던 ICA에서 한 번 더 재회했다.'베를린 프로그램'에는 아트베어 3곡의 단편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1993년 프리스, 커틀러, 크라우스는 색소폰 연주자 알프레드 하스와 함께 크리스 커틀러와 루츠 글래디엔의 노래 프로젝트인 '내국 이야기'(1993)를 다시 함께 작업했다.아트 베어스와 유사하지만, 글래디엔의 전자음악이 추가되면서 홈스토리는 확연히 다른 앨범이 되었다.
아트 베어스 송북
2008년 5월 퀘벡에서 열린 제25회 국제뮤지크 악투엘 드 빅토리아빌 축제에서 아트베어 송북의 세계 시사회에서 아트베어 '리뷰'가 열렸다.커틀러(드럼스), 프리스(기타, 베이스기타, 바이올린, 피아노), 유대리아 아이젠베르크(음성), 칼라 킬스테트(바이올린, 음성), 제나 파킨스(키보드, 아코디언), 크리스틴 슬립(음성), 노먼 정복(음향조작) 등이 공연했다.[2][3]크라우스는 참여할 수 없었기 때문에 프리스트와 커틀러는 크라우스의 "괴짜적이고 관용적인 전달"[3]을 대신하여 아이젠베르크, 슬립, 킬스테트의 목소리를 들으며 확장된 그룹을 위해 3인조 레퍼토리를 다시 작업하기로 결정했다.이 프로젝트는 프리스와 커틀러가 아트 베어스의 재결합으로 보여지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이 붙여졌다.All About the Art Bears Songbook에 따르면 "단순히 하이라이트가 아니라 [5일] 페스티벌의 하이라이트였다"[3]고 한다.
아트 베어스 송북의 또 다른 공연은 2010년 9월 카르모에서 열린 프렌치 록의 세 번째 판 행사였다.정년퇴직에서 나오기로 합의한 크라우스가 아프다는 아이젠버그를 대신한 것을 제외하면 라인업은 전과 똑같았다.[4][5]
음악
아트 베어스의 음악은 내용상(밴드의 사회주의 성향을 반영)이 깊고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경우가 많았다.데뷔 앨범에 수록된 자료의 상당 부분이 사실 후자 밴드에 의해 공연될 의도로 쓰여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헨리 카우보다 더 '노래 지향적'이었다.
그들의 음악은 "개념과 분위기가 매우 어둡다"[6]고 했다.아트 박스를 검토한 BBC 뮤직은 "신중하게 만들어진 불협화음, 각진 민요, 급격한 역동성, 고밀도 스펙트럼 드론의 층, 소음의 슬래브, 다그마르의 이상하고 탄성 있는 스프레히스팀(Sprechstimme)이 그 위에 얹혔다"고 설명했다."[7]
크라우스의 목소리는 곡의 분위기와 성격에 크게 기여했다.커틀러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간단하거나 분명한 단어를 쓰지 않는다, [...] 그것들은 부르기가 쉽지 않다.다그마르는 그들을 이해시키고, 명백하게 들리도록 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그녀는 안쪽에서 노래를 부르는데 그녀의 억양은 말꼬리에서 단어를 꺼내어 약간 공명하는 변위를 주는 데 도움이 된다.Dagmar가 그 LP에서 한 짓을 다른 누구도 할 수 없었을 것이다.나는 아직도 그녀에 대해 놀란다.[8]
"진보적"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아트 베어스가 호평을 받았다.올뮤직은 "그들의 삶은 덧없었지만 아트베어스는 대담하고 도전적이며 독특한 음악을 작곡하고 녹음했다. 그것은 때때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 매우 보람 있는 것이다."[9]라고 썼다.
이름
아트 베어스는 제인 엘렌 해리슨의 저서 고미술과 의식(1913년)에서 "개인주의가 만연하는 오늘날까지도 예술은 집단적이고 사회적인 기원의 흔적을 지니고 있다"[10]는 문장에서 이름을 따왔다.Chris Cutler는 그것이 의도적인 컨텍스트 밖의 인용문이었다고 설명하지만, "너무 많은 것을 읽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단지 흥미를 유발하고, 동물이 들어 있고, 애매모호하게 놀며, 약간 우스꽝스럽다."[11]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컴필레이션스
- 아트 박스, 2004년 (라이브 및 미공개 곡이 수록된 모든 아트 베어의 6-CD 박스 세트, 기타 뮤지션의 리믹스 포함)
- Art Bears 재방문, 2004(Art Bears의 2-CD 트랙, 다른 음악가들이 리믹스한 - The Art Box의 디스크 4 및 5)
7" 싱글 및 EP
- "Rats & Monkeys" / 1979년 "Collapse"
- "Coda to Man and Boy", 1981년 (단편 상영 7)" – The World Is Is Today(1981) 구독자들에게 무료 제공
- "올 하일", 1982년 (flexi-7)"
참고 항목
참조
- ^ "Chris Cutler interview". Chris Cutler. Retrieved 7 January 2018.
- ^ "25th Festival de Musique Actuelle de Victoriaville, 2008 Edition (May 15–19, 2008)". Festival International de Musique Actuelle de Victoriaville. Retrieved 5 March 2012.
- ^ a b c "Festival International Musique Actuelle Victoriaville: Day 5 – May 19, 2008". All About Jaz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May 2008. Retrieved 23 May 2008.
- ^ "Rock In Opposition 2010 – France Event". Progression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September 2014. Retrieved 1 August 2013.
- ^ "Dagmar to sing with Art Bears at RIO". Yahoo Groups. Retrieved 30 August 2010.
- ^ Ohman, Mike. "Art Bears". New Gibraltar Encyclopedia of Progressive Ro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anuary 2008. Retrieved 5 February 2008.
- ^ Marsh, Peter (27 January 2004). "Art Bears, The Art Box". BBC Mus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anuary 2009. Retrieved 5 June 2015.
- ^ Wu, Brandon. "Art Bears". Ground and Sk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November 2006. Retrieved 28 December 2006.
- ^ Dougan, John. "The Art Bears". AllMusic. Retrieved 28 December 2006.
- ^ Harrison, Jane. "Ancient Art and Ritual, Chapter VII: Ritual, Art and Life". The Internet Sacred Text Archive. Retrieved 21 December 2006.
- ^ Colli, Beppe. "An interview with Chris Cutler, February 8, 2004". Clouds and Cloc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07. Retrieved 21 December 2006.
외부 링크
- Calyx – The Canterbury 웹 사이트.Henry Cow and Art Bears 연대기
- 크리스 커틀러 홈페이지.아트 베어스
- 아트 베어스 송북 리뷰 2008 FIMAV.재즈에 관한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