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데일 트렌달

Arthur Dale Trendall
시지푸스 화가 펠레우스와 테티스

아서 데일 트렌달(Arthur Dale Trendall, AC, CMG, 1909년 3월 28일 ~ 1995년 11월 13일)은 뉴질랜드 태생의 호주 미술사학자 겸 고전 고고학자로, 아풀리아 등지에서 그리스 도자기 선박에 대한 개별 예술가들의 작품을 확인하는 작업을 한 결과 국제상과 교황 기사 작위를 받았다.

인생

오타고 대학(1926–29)과 케임브리지 대학(1931–33)에서 교육을 받은 트렌달은 시드니 대학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와 전문적으로 연계되었다. 그는 후기 기관의 부총장 겸 대학 주택 석사였다.[1] 1969년부터 죽을 때까지 그는 멜버른에 있는 라 트로브 대학의 레지던트 펠로였다.[2]

전시근무

1940년 1월, 호주군의 격려로 트렌달은 시드니대학의 일부 동료들과 함께 일본어 코드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다른 이들은 수학자인 토마스 제럴드 룸과 리처드 라이온스와 고전주의자 아타나시우스 트레위크였다. 1941년 5월, 룸과 트레위크는 멜버른 빅토리아 막사에서 열린 해군 정보국장, 몇몇 호주 육군 정보관, 그리고 왕립 호주 해군과의 일본 암호 전문가인 에릭 네이브와 함께 회의에 참석했다. 그 결과 1941년 8월 시드니대학의 합의로 룸의 일행이 멜버른의 특수정보국에서 나브 산하에 근무하기 위해 이전하기로 합의했다. 전쟁 발발 후 그들은 미국과 호주의 합동 정보부대인 FRUML(Fleet Radio Unit Melburn)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나, 루돌프 파비안 중위가 FRUMEL의 지휘권을 장악하고, 특히 1942년 10월 FRUMEL이 미 해군의 직할하에 놓였을 때 룸즈 그룹의 멤버와 같은 민간인들이 발견되었다.게다가 그들의 학문적 지위에 복귀했다.[3][4]

명예

1961년 새해 영예에서 트렌달은 호주 국립대학의 "부총장"으로 근무한 공로를 인정받아 성 미카엘과 조지 훈장의 동반자로 임명되었다.[5]

1961년 7월 20일 그는 Cavaliere Upiciale Ordine al Merito deella Repubblica Italiana로 임명되었다.[6]

1976년 호주의 날 훈장 수여식에서, 그는 호주 훈장 동반자로 임명되었다.[6]

선택한 작품

  • 파에스탄 도기. 파스툼의 붉은색 화병에 관한 연구
  • 프뤼히탈리오티슈 바센. 빌더 그리치셔 바센 12 (라이프치히 1938)
  • 바시 앤티치 디핀티 델 바티카노. 바시 이탤리오티 에드 에트루스키 a figure rosse (Citta del Vaticano 1953)
  • Philyax 화병. Ed. (London 1967) (University of London) 고전학 연구소 게시판 보충판, 19)
  • 루카니아, 캄파니아, 시칠리아의 붉은 색의 화병[2 Bde]. (옥스포드 1967) (런던 대학교) 고전학 연구소 게시판 보충판, 26)
  • T. B. L. 웹스터와 함께: 그리스 드라마의 삽화 (런던 1971)
  • 초기 남이탈리아 꽃병 페인팅. 1973년 개정(Mainz 1974년)
  • 붉게 물든 아풀리아 화병, 1. 얼리 어풀리언과 미들 어풀리언 (Oxford 1978년)
  • 붉게 물든 아풀리아 화병, 2. 후기 아풀리안. 인덱스(Oxford 1982년)
  • 루카니아, 캄파니아, 시칠리아의 붉은색 꽃병. 세 번째 보충제. 통합(London 1983) (University of London) 고전학 연구소 게시판 보충판, 41)
  • 알렉산더 캄비토글루와 함께: 붉은 색의 아풀리아 화병(London 1983) (University of London)에 대한 첫 번째 보충판. 고전학 연구소 게시판 보충판, 42)
  • 이안 맥피와 함께: 그리스어로 붉게 물든 어판(Basel 1987) (Antike Kunst) 베이허프테, 14)
  • 파스툼의 붉은색 꽃병 (롬 1987)
  • 남이탈리아와 시칠리아의 붉은색 꽃병. 안내 책자. 런던, 템즈강, 허드슨 1989 = 로피구리지 바센 aus unteritalien und Sizilien. 에인핸드부치. 마인츠, 자베른 1991. ISBN3-8053-1111-7
  • 이안 맥피와 함께: "그리스의 붉은 색의 물고기 판"의 부록. In: Antike Kunst 33 (1990) 31–51
  • 알렉산더 캄비토글루와 함께: 아풀리아 화병에 대한 두 번째 보충판, 1–3 (런던 1991–92) (런던 대학교) 고전학 연구소 게시판 보충판, 60)
  • 남이탈리아 꽃병-페인팅의 신화, 드라마, 스타일 A.D.에 의한 선별된 논문 이안 맥피 편집 트렌드올 (Astrom Editions, PB 182, Uppsala, 2016)

제2차 문헌

  • 이언 맥피, '아더 데일 트렌달 1909-1995. 회고록', 영국 학술원 의사록, 97년(1998년), 501–517. Ian McPhee 편집, 지중해 고고학 PB 182 (Astrom Editions, 2016) (Astrom Editions, 2016)가 편집한 남이탈리아 꽃병 그림에서 신화, 드라마, 스타일로 재인쇄.
  • Alexander Cambitoglu (ed.), Arthur Dale Trendall을 기리는 연구 (Sydney, 1979년)
  • '아더 데일 트렌드올. 서지학 1934–1987'은 그리스 식민지 개척자와 원주민에서 1985년 7월 9-14일 시드니(Canberra 1990) 649–655년 7월.
  • 타임즈 (런던) 4. 1995년 12월.
  • 존 리처드 그린, 이안 맥피, '킨 워트 폰 아이넨, 슈 언트 보뤼버': 줌 토드 폰 아서 데일 트렌달, 앤티크 웰트 27 (1996) 67–68.
  • 앙리 메츠거, '아더 데일 트렌달, 1909년 – 1995년', 레뷔 아케올로기 1996년, 411–413.
  • L. Coza Luzi, 'Arthur Dale Trendall, 1909–1995', Atti Della Pontificia 학계 로마나Archologia. 렌디콘티 70 (1997–98) 321–322.

참조

  1. ^ John Boardman (25 November 1995). "Obituary: Professor A. D. Trendall". The Independent.
  2. ^ 이언 맥피, 아서 데일 트렌달 1909-1995. 회고록. 영국 학술원 의사록, 97 (1998), 501–517
  3. ^ 피터 코르니키, 황제 엿듣기: 영국 대일전쟁의 심문관과 코드브레이커(런던: Hurst & Co., 2021), 페이지 209-211, 216-7.
  4. ^ 피터 도노반, 존 맥, '시드니 대학, T. G. 룸과 2차 세계대전의 코드브레이킹' 호주 수리학회지 29(2002년) : 76-85, 141-8
  5. ^ "It's an Honour: CM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30 July 2009.
  6. ^ a b "It's an Honour: A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30 July 200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