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K. 왓슨

Arthur K.
아서 K. 왓슨
Arthur K. Watson.jpg
제21대 주프랑스 미국 대사
재직중
1970년 5월 6일 – 1972년 10월 30일
대통령리처드 닉슨
선행자사르겐트 슈라이버
성공자존 N. 어윈 2세
개인내역
태어난
아서 키트레지 왓슨

(1919-04-23)1919년 4월 23일
미국 뉴저지 주 서밋
죽은1974년 7월 26일 (1974-07-26) (55세)
미국 코네티컷 뉴캐넌
친척들.토마스 J. 왓슨 (아버지)
토마스 J. 왓슨 주니어 (형)
교육예일 대학교

아서 키트레지 "딕" 왓슨 (Arthur Kitredge "Dick" Watson, 1919년 4월 23일 ~ 1974년 7월 26일)은 미국의 사업가 및 외교관이었다. IBM 세계무역공사 사장과 주프랑스 미국대사를 지냈다. 그의 아버지인 토마스 왓슨은 IBM의 창립자였고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IBM이 국제적인 세력으로 성장하는 것을 감독했다. 그의 형 토머스 J. 왓슨 주니어는 1952년부터 1971년까지 IBM의 사장이었고 소련 주재 미국 대사였다.

초년기

아서 K. 친구들과 동료들에 의해 "딕"으로 알려진 왓슨은 뉴저지 서밋에서 태어났다.[1] 그는 하치키스 학교예일 대학에 다녔다.

경력

1940년대 후반, 왓슨은 그의 아버지인 IBM의 토마스 왓슨 Sr.를 도와 IBM의 미국 밖에서 IBM의 사업을 담당했던 자회사인 IBM World Trade Corporation의 설립과 조직을 도왔다. 딕 왓슨은 IBM World Trade Corporation의 사장과 후에 이사장으로서 전세계로 사업을 확장했다. 21년간의 지도자 생활 동안, 그는 그의 시간의 상당 부분을 종종 그의 가족과 함께 해외 여행을 하는 데 보냈다. 그는 수많은 새로운 국가 운영을 확립하고, 경영자를 선발하며, 국제 사업의 확장을 이끌었다.

1947년 2월 IBM에서 시작했을 때 딕 왓슨은 유창한 프랑스어를 구사했다. 이후 5년 동안 그는 스페인어와 독일어를 숙달하고 포르투갈어에 대한 실무지식을 함양하기 위해 하루에 한 시간 이상을 보냈다. 이러한 언어 능력은 왓슨이 국제 생활을 하는 동안 중요한 자산이었다.

왓슨이 1949년 설립과 동시에 IBM 세계무역공사 자회사에 입사했을 당시 미국 외 IBM의 매출은 5000만 달러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가 1970년 프랑스 대사로 물러났을 때 IBM 세계무역공사 매출은 25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했고 108개국에 사업장을 설립했다. 당시 세계무역사업에서 얻은 순이익은 미국 기업의 순이익과 같았다.

딕 왓슨은 1948년 아버지와 함께한 첫 유럽 출장부터 전후에 결국 서유럽이 통일된 경제공동체로 부상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있었다. 그는 유럽경제공동체 형성을 지지하고 IBM 세계무역공사가 공동시장 내에서 제조 및 개발 역량을 쌓은 최초의 미국계 기업 중 하나임을 확실히 했다.

그는 또한 미국의 경제계가 세계의 개발도상국을 돕는 데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확신했다. 그는 아시아와 중남미에서 지역 경제를 발전시킬 방법을 모색했다. 그는 라틴 아메리카에 두 개의 미국 정부 임무를 수행했다. 1964년 왓슨은 뉴욕 상원의원 제이콥 하비츠 등과 함께 페루 리마의 투자기관인 ADELA를 결성했다. 전 세계 은행과 기업의 자금 지원을 받아 중남미 지역 기업을 위한 자본을 제공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이바단 대학에 IBM 교육 시설을 설립하여 컴퓨터 기술 교육을 제공하였다.

딕 왓슨은 대통령 존 F의 요청에 따라 재임했다. 케네디와 린든 B. 존슨은 미국 무역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두 개의 패널에 올라섰다. 그가 존슨 대통령을 향했던 14명의 패널은 나중에 미국 국제개발기구가 채택한 많은 연구 결과를 보고했다. 그는 넬슨 록펠러 뉴욕 주지사의 미국인을 위한 비판적 선택 위원회의 일원이었다.

딕 왓슨은 1967년과 1968년 국제상공회의소 회장으로서 "프리어" 무역의 국제적인 옹호자가 되었다. 1968년 그는 데이비드 록펠러 미국 무역 비상대책위원회와 함께 미국 내 60개 대기업 총수들이 결국 동참한 무역협회도 설립했다. 그것의 목적은 미국의 보호주의에 대항하여 지지를 모으기 위한 것이었다.

예일대 A.K. 왓슨홀

1970년 왓슨은 주프랑스 미국대사가 되기 위해 IBM 세계무역 이사회 의장과 IBM 부회장 겸 이사직을 사임했다. 그는 또한 당시 주프랑스 대사였던 황첸을 통해 중화인민공화국과 미국의 첫 공식 연락관이기도 했다.

왓슨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후원자로 박물관의 수탁자[2] 및 박물관 100주년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3]

딕 왓슨의 국제 관계에 대한 공헌은 여러 나라들로부터 우등으로 인정받았다. 그는 바티칸의 승마훈장을 받았다. 실베스터 그는 대사관에 앞서 이미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은 상태였다. 프랑스에서 돌아오기 전 조르주 퐁피두 대통령은 그에게 프랑스 최고 훈장 중 하나인 공화국 공로훈장 대십자장을 수여했다.

1972년 프랑스에서 돌아온 왓슨은 IBM의 이사회 및 집행위원회에 재선임되었다. 그는 또한 콘의 스탬포드에 위치한 벤처 캐피털 회사인 당키스트를 설립했다.

아서 K. 왓슨은 1974년 7월 26일 코네티컷주 뉴카나안에서 추락의 결과로 5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예일대의 컴퓨터 과학 빌딩은 그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

원천

참조

  1. ^ 참모. "아더 K. 1972년 3월 14일자 뉴욕타임즈 왓슨" 2011년 2월 19일에 접속. "토머스 J. 왓슨의 작은 아들인 아서 키트레지 왓슨은 1919년 4월 23일, N.J. 서밋에서 태어났다."
  2. ^ 아서 K. 왓슨과 프랜시스 데이 로저스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수탁자를 선출했다. 보도자료,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969년 9월 2일) 2014년 8월 5일 회수
  3.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Centrenion, 1949, 1960–1971(bulk 1967–1970) 2019년 4월 12일 웨이백 기계보관된 조지 트레셔 기록의 지원 찾기.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2014년 8월 5일 검색됨
  4. ^ 1974년 8월 7일 컴퓨터월드 "아더 왓슨이 죽다"
외교관직
선행자 프랑스 주재 미국 대사
1970–1972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