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류브 봉기

Arube uprising
알류브 봉기
날짜.1974년 3월 23일 ~ 24일
위치
캄팔라; 우간다의 다른 지역으로의 작은 유출
결과

정부의 승리

교전국
Uganda 우간다 정부푸츠히스트
지휘관 및 리더
이디 아민
타반 루파이
찰스 아루브 »
엘리 아세니()POW
관련 유닛
대통령 경호대
해병 연대
헌병
공안대
말리레 대대 반란군
여러 유닛캄팔라의 수비대 대부분은
사상자 및 손실
적어도 100명의 군인이[1] 죽었다.

아루베 [2][4]반란[3] 1974년 3월 23일부터 24일까지 우간다 군부의 불만분자들이 우간다 대통령 이디 아민을 전복시키기 위해 조직한 군사 쿠데타 시도이다.찰스 아루브 준장이 이끄는 쿠데타주의자들은 정부 장악뿐만 아니라 우간다 군대에서 많은 영향력 있는 외국 태생의 군인들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반군이 처음에는 우간다의 수도 캄팔라의 대부분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지만 아민은 아민을 잡으려다 아민에게 살해당했고 쿠데타는 점차적으로 무너졌다.수도 밖에서 온 충성스러운 군대의 도움으로 대통령은 이틀간의 격렬한 전투 끝에 쿠데타를 진압할 수 있었다.

쿠데타 이후 우간다 정부는 아루브가 자살했다고 주장하며 군대에서 반체제 인사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제한적으로 숙청하기 시작했다.그러나 쿠데타 지지자들과 동조자들은 대부분 군대에서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관대한 대우를 받았다.그 결과 아민은 살아남은 쿠데타 지도자들을 석방하고, 무스타파 아드리시를 새 육군 총장으로 임명하며, 또 다른 폭동을 피하기 위해 인기 없는 헌병대를 재편성하는 등 여러 가지 양보를 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우간다 군부의 불안은 계속되었고, 그는 1979년 전복될 때까지 몇 번의 쿠데타 시도와 반란에 직면했다.

배경

이디 아민 대령1971년 쿠데타 당시 우간다에서 아민을 [5]체포하려던 밀턴 오보테 대통령을 전복시키며 권력을 잡았다.이번 인수는 우간다 육군 하급 장교들로 구성된 소규모 동료들의 지원으로 이뤄졌다.이들 대부분은 누비아인이나 웨스트 나일 출신이었다.이들은 아민의 [6]체포로 인해 자신들의 지위가 위협받을 것이라고 느꼈다.몇몇 고위 간부들도 그의 인수에 반대하지 않았다.시간이 흐르면서, 아민은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최근에 징집된 여러 명의 군인들을 승진시키기 시작했고, 이전에 그의 정권을 [7]지지하거나 용인했던 장교들과 점점 더 긴장의 원인이 되었다.

불만이 커지자, 웨스트 나일 출신의 장교들이 대통령을 전복시키려는 시도가 몇 차례 있었다.서로 다른 웨스트 나일 부족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다양한 파벌들이 권력을 [8][9]잡으려고 공모하면서 군부의 인종적 긴장이 악화되었다.우간다 육군 내에서 가장 많은 민족 집단 중 하나인 루그바라족은 대통령이 [10]아민 정부에 대한 불만을 점차 키워나가고 있다.우간다 대통령은 크리스천 루바라 장교들이 [11]쿠데타를 모의하고 있다고 의심했다.군부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기 위해, 아민은 외국 태생의 많은 군인들을 자신의 [12][13]정권에 더 충성하는 것으로 간주하면서 군대에 영입했다.그러나 우간다 출신 장교들과 군인들은 증가하는 외국인들에 의해 점점 소외감을 느꼈고,[12][13] 이로 인해 더 많은 불안이 야기되었다.아민 또한 이슬람교도들을 선호하기 시작했고, 기독교 [10]군대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아민에 대한 저항이 커짐에 따라 우간다 군대의 충성파 요원들은 [14]군내 반체제 인사로 의심되는 사람들에 대한 폭력을 옹호하고 조직하는 데 더욱 활기를 띠게 되었다.후세인 마렐라 휘하의 헌병대는 다른 군인들을 겁주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결과적으로 매우 인기가 없게 [15]되었다.많은 군대는 마렐라를 아민을 [16]타락시킨 잔인하고 최근에 승진한 외국인들의 대표자로 여겼다.이 이미지는 부분적으로만 옳았다: 마렐라는 실제로 수단 출신이고 1971년 쿠데타 이후 승진했으며 반정부 [17]세력의 폭력적인 탄압을 지지하는 가장 중요한 지지자 중 하나였다.하지만,[16] 그는 또한 1954년부터 우간다에 살고 있는 오랜 군인으로, 그의 행동은 일반적으로 아민에 [14]의해 지지되거나 용인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민은 루그바라 고위층 몇 명을 해산시키고, 정부와 군대의 [11]주요 직책에서 그들을 물러나게 했다.아민에 대한 루그바라 저항은 마이클 온도가 중령의 살해로 군대에서 커졌다.루그바라족인 [2][18]온도가는 1974년 2월 해임될 때까지 외무장관을 지냈다.그 후 그는 국가연구국에 의해 납치되어 살해되었고, 외부 권력을 [2][19]살인에 연루시키려는 아민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루그바라 군인들 사이에서 분노를 일으켰다.몇몇 다른 루그바라 장교들도 체포되어 [11]사형을 선고받았다.1974년 3월 21일 아민은 또한 말리레 대대의 루그바라 지휘관을 주마 부타비카 [18]중령으로 교체했다.언론인 펠릭스 오켄에 따르면 우간다 대통령의 루그바라 장교들에 대한 행동은 반대파들을 자극하여 공개적으로 저항하도록 의도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11]한다.

서곡

우간다 육군 전체의 불안이 고조된 가운데 고위 장교들 사이에서도 긴장이 고조됐다.찰스 아루브 준장과 엘리 아세니 중령이라는 두 명의 크리스찬 카와[2]특히 군부의 외국 군인들의 증가하는 힘에 화가 난 것으로 드러났다.최근 대통령이 승진한 몇몇 장교들과 달리, 두 장교 모두 직업군인이었다.알루브는 우간다 육군참모총장을 지냈고 아세니는 북부간다 주지사이자 대통령의 [12]친척이었다.Arube는 반체제 인사들을 다루는 데 있어 군에서 가장 온건한 장교 중 한 명으로 여겨졌고, 이것은 그가 [20]점차 정부의 지지를 받지 못하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1973년, Arube는 훈련 임무를 위해 소련으로 보내졌다.미 중앙정보국(CIA)은 대통령이 아루브의 영향력을 [20]경계하게 되자 아민이 고의적으로 아루브를 국외로 추방한 것이라고 의심했다.1974년 3월 그가 우간다로 돌아왔을 때, 아루베는 그의 임시 비서실장 후세인 마렐라가 그의 새로운 [12]직책을 사임하기를 거부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마렐라, 헌병, 외국군에 대한 분노는 많은 군인들을 [21][22]아루브에게 동정하게 만들었다.아르베는 이미 루그바라 [18]군대와 좋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아루브의 불만과는 대조적으로, 마렐라에 대한 아세니의 반대는 더 개인적인 것이었다.또 다른 장교인 아이작 바카에 따르면, 두 사람은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고, 결국 아세니에 대한 암살 시도로 이어졌고, 아세니의 가족을 죽였다고 한다.결과적으로 아세니는 [4]마렐라에게 복수를 하겠다고 맹세했다.

마렐라의 방해에 직면하자, 아루브는 아민에게 개입을 요청했지만, 대통령은 이 문제를 미뤘다.당황한 아루브는 캄팔라주 나카세로에서 열린 장교 전언에서 회의를 소집했다.아세니, 부타비카, 모제스 갈라(문대대장의 산악), 아민 로모(항공해상대장), 스티븐 갈라(킬렘베 광산 총책임자), 에녹 마투리마(말레르 전차장), 악파로니(미카엘로니) 중위 등 여러 장교가 참석했다.

회의에서 아루브는 불만을 토로하고 다른 경찰관들에게 조언을 구했다.아세니는 아민과 다시 대화할 것을 권고한 반면 부타비카는 대통령을 대신해 대화하자고 제안했고 갈라는 또 다른 고위관료인 브릭을 거론했다.Smuts Guweddeko는 아마도 Marella가 그의 자리를 떠나도록 설득할 수 있을 것이다.아르베는 그들에게 감사했고, 두 번째 [12]회의에서 그의 결정을 말하기로 결정했다.대신에, 아루베와 아세니는 [2]캄팔라에 주둔하고 있던 불만족스러운 루그바라 군대와 동맹을 맺고, 아민을 축출하고 우간다 군대에서 외국인들을 [12]추방하기 위한 쿠데타를 계획하기 시작했다.비밀 유지를 위해 아루베와 아세니는 쿠데타 [23]당일 다른 사람들에게만 계획을 알리기로 결정했다.그들은 다른 하급 장교 몇 명이 자신들을 지지할 것이라고 확신했다.여기에는[4][23] 존 마투리마 선장, 아이작 바카[a](당시 교육부 장관의 아들), 모제스와 소위, 존 심바 선장, 비림보 선장, 마자미르 중위, 시건트 앵교 [13][23]등이 포함됐다.쿠데타 계획자들은 쿠데타가 시작되었을 때 캄팔라에 있는 대부분의 군대가 그들의 편을 들 것이라고 추정했다.이에 따라 이들은 우간다 라디오와 우간다 TV [13]등 주요 지역을 점거하면서 캄팔라를 봉쇄하기 위해 도시 수비대를 동원할 계획이었다.

두 공격팀이 아민과 마렐라를 제거하기로 되어 있었다.한 명은 마투리마가 지휘하고 콜롤로 언덕의 지휘소를 공격하여 아민을 죽이거나 생포해야 했다.다른 한 명은 마와가 이끌었고, 마렐라가 [13]머무를 것으로 추정되는 [24]헌병 기지인 마킨디예 군사 [13]막사를 목표로 했다.퍼시스트들은 또 공중안전대(PSU)[2][4]를 지휘하는 알리 토웰리, 훈련과 모든 작전을 책임지는 아이작 말리야멍구, 해병대 사령관 [4]타반 루파이를 체포하거나 살해할 의도도 갖고 있었다.음모자들은 아루베와 아세니가 라디오 우간다가 확보될 때까지 숨어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라디오 우간다가 확보되면 아루베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13]지도부 교체를 발표하게 된다.게다가, 어떤 장교들은 수도 외곽의 군부대를 방문하여 외국인들을 숙청하고 쿠데타에 참여하도록 설득하기로 되어 있었다.쿠데타 음모자들은 진자, 음발레,[23] [4]아루아에 지지자들이 있었다.이 작전은 1974년 3월 23일 오전 9시에 시작될 예정이었다.당시 [13]수도에는 무스타파 아드리시 장군을 비롯한 몇몇 다른 고위 지휘관들이 자리를 비웠다.

3월 23일 아침, 아루베와 아세니는 바카 등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에게 직접 연락하여 작전에 참여하도록 설득했다.바카의 경우, 그들은 외국인들을 군에서 몰아내고 정부를 축출하기 위해 행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것이 몇몇 원주민들과 [23]정치인들을 살해했기 때문이다.

쿠데타 시도

쿠데타는 1974년 3월 23일 루그바라군이 캄팔라의 [2][b]말리레 병영에서 봉기를 시작하면서 계획대로 시작됐다.오켄에 따르면 루그바라 부대는 아루브가 [11]보안군에 납치됐다는 소문을 듣고 도발해 행동을 개시했다.쿠데타 음모자들은 자신들의 봉기를 우간다 [26]군대의 "외세 요소"에 대한 공격으로 묘사함으로써 그들의 대의를 위해 군대를 규합했다.비록 많은 외국 군인들이 도시를 [4]탈출하는데 성공했지만, 푸츠히스트들이 [13]캄팔라의 대부분을 점령했기 때문에 작전은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었다.마우와 그의 군대는 엔테베 도로를 봉쇄하고 네이트에테, 카트에, 그리고 마킨디예 막사 주변을 점령했다.그러나 마렐라는 일찍 캄팔라를 탈출하여 [13][c]엔테베 근처의 키투불루 마을로 이주할 수 있을 만큼 봉기에 대한 통지를 받았다.마우의 부하들은 여전히 마킨디예 [2]막사를 봉쇄했고, 결국 그곳을 [18]습격했다.심바 선장은 부세가 교차로를 봉쇄했고, 비림보 선장은 우간다 은행, 우체국 및 그 주변을 확보했다.마자미르 중위와 앵교 중사가 이끄는 병사들은 라디오 우간다와 우간다 TV를 점령했고, 완데게야, 물라고, 나카세로 인근 지역도 점령했다.게다가 마자미르와 앵교는 부골루비에 주둔하는 충성파 해병 연대가 [13]콜로로에서 아민을 지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진자로를 봉쇄했다.반군은 나구루[27]PSU 본부도 공격했다.우간다 남부에서는 일부 군대가 르완다 투치 SRB [23]요원의 이동을 막기 위해 카발레-마사카 도로를 봉쇄했다.

마렐라를 잡는데 실패한 후, 아루베는 마신디 포병연대 사령관 압둘 키술레 중령에게 전화를 걸어 헌병대장이 북쪽으로 달아났다고 속였다.아르베는 마렐라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강제로 사라졌다고 주장하면서 키술레를 설득하여 마렐라를 체포하려 했고, 포병 연대가 그의 호소에 따라 행동하지 않을 경우 말리레 대대의 공격을 위협했다.키슐레는 대통령의 명령 없이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고, 그의 부대에게 방어 태세를 취하라고 명령했다.퍼시스트들의 마신디 공격은 [4][d]실현되지 않았다.대신 쿠데타 조직원 박카가 마신디에 도착해 키슬레를 설득해 외국인들을 체포했다.포병연대 사령관은 아루브의 쿠데타가 무슬림 지도부에 대한 반란이라고 주장하면서 여전히 거부했으며, 이는 이전 우간다 정부 시절처럼 이슬람교도들을 다시 한번 소외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바카는 결국 아루아 근처의 본다로 떠났다.지역 사령관 가브리엘 중령은 박카를 [23]체포했다.

아민은 용감한 군인이었어, 그걸 인정하자.포위당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그 상황을 체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그는 도망치려 하지 않았다.그는 만약 그가 잡히게 된다면, 그것은 피비린내 나는 전투 후에일 것이다.

—Isaac Bakka[13]

한편, Arube는 그의 계획을 변경했다.마투리마 대위는 약 60명의 군인과 여러 대의 기갑병 수송선을 이끌고 콜로로 언덕을 향해 이동하던 중 알루브가 아민의 지휘소에 대한 공격을 직접 지휘할 테니 기다리라고 명령했다.몇 분 후, 알루브가 도착했고, 공격은 계속되었다.아루브가 라디오 우간다에서 발표를 [13]하지 않자 라디오는 쿠데타 [11]기간 대부분 어워드, 크리스천 솔저 등 '앵글리안 찬송가, 대중음악 등 싱거운 소재'[25]를 방송했다.쿠데타를 계획한 사람 중 한 명인 아이작 바카는 나중에 아르베가 아민을 군사 전통으로 인해 고위 장교에게 체포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주장했다.퍼시스트들이 지휘소에 도착했을 때,[13] 그들은 대통령 호위대의 거센 저항에 부딪히면서 그것을 포위했다[2].아민은 도망가지 않기로 결정했고, 충성파 증원군이 그를 구원할 수 있도록 충분히 오랫동안 공격자들을 물리치기로 결심했다.그는 해병 연대에 [13]지원을 요청했다.

대통령 근위대는 우간다 육군에서 가장 잘 훈련되고 무장한 부대 중 하나였고, 비록 30명만이 지휘소를 지켰지만, 그들은 몇 분 동안 공격해 오는 퍼트슈트를 물리쳤다.바카에 따르면 대통령 경호원 전원이 전투에서 사망했다고 한다.이 수비대가 제압된 후, 퍼츠히스트들은 약 10분 동안 지휘소 진입을 망설였다.그러자 아루브는 조급해하고 화가 나서 아민을 혼자 잡기로 결심했다고 한다.그는 다른 사람들에게 기다리라고 명령했고, 그는 대통령이 방 중 하나에 숨어 있다고 믿고 현관문을 통해 천천히 집으로 들어갔다.대신 아민은 문 바로 뒤에 자리를 잡았다.건물에 들어간 후, 아루브는 아민의 [13][e]총에 맞아 즉사했다.바깥에 있던 군인들은 총소리를 들었지만 누가 죽었는지 알 수 없었다.그들은 누군가가 "내가 한 명을 죽였다, 빨리 나를 구하러 와라"라고 외치는 것을 들었지만, 누가 죽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하고 그대로 있었다.몇 분 후, 타반 루파이가 이끄는 충성파 해병 연대가 지휘소에 도착했다.이미 사기가 떨어지고 수적으로 열세를 보인 나머지 그곳에 남아있는 퍼츠히스트들은 [13]항복했다.일부 보도에 따르면 아민은 지휘소 앞에서 폭도들에게 직접 말을 걸어 양보를 약속하고 [19]진급을 약속하며 무기를 내려놓도록 설득했다.

비록 아르베의 죽음은 쿠데타의 [13]성공 가능성을 사실상 종식시켰지만, 많은 반란군들은 포기하지 않으려 하거나 반란의 실패에 대해 아직 알지 못했다.북부에서 바카는 무스타파 아드리시의 명령에 의해 구금에서 풀려났다.그 후 그는 캄팔라로 [23]돌아가기 전에 굴루, 리라, 음발레, 진자를 방문하는 등 여행을 계속했다.3월 [23]23일 오후 우간다 라디오가 충성파들에 의해 탈환된 후 아민은 정보방송부 장관인 주마 오리스 [13]대령이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명령했다.3시에, 라디오는 싸우는 스턴트를 위해"혼란"를 탓하는 대통령이 Malire 대대, 헌병, 그리고 낙하산 부대 멤버들과 함께를 만났다 발표했다.[25]대조적으로, 미국 외교관들은 아민 공공의 소요 사태 동안만 보이지 않다고 전했다.[11]없지만 발언 직접적으로 쿠테타 기도하는 두시간 후 이 Arube 자신을 총을 맞앗다, 선고를 받았다.라디오 우간다가"은 상황이 통제하에[다]"을 선언했다.[25]캄팔라로 돌아올 때 이를 들은 Bakka에 의해 라디오 Arube과 Aseni과 접촉을 하려고 했지만 아무도 그의 전화를 받았고 시도했다.[23]

다음날 밤과 [30][f]3월 24일 대부분 동안 격렬한 전투가 계속되었다.북쪽에는 아루브를 지지하는 제임스 아요마 중위가 주둔하고 있었다.쿠데타 이틀째, 그는 아루아에서 친마렐라 병사 3명을 죽이라고 본도 대대 병사 6명에게 명령했고, 그들은 [4]두 명을 죽이는 데 성공했다.탱크와 APC를 포함한 몇몇 충성파 [25]부대는 결국 캄팔라로 이동했다.[30]전투 중에 적어도 100명의 군인들이 죽었다.연구원 폴 누겐트에 따르면, 누비아 병사들은 반란군을 [31]물리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한다.이후 라디오 방송에서는 아루브가 쿠데타를 시도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아루브가 외세의 침략에 대한 이야기를 퍼뜨려 [18]말리레 대대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Bakka에 따르면, 한 라디오 메시지는 붙잡힌 퍼시시스트인 Toburo 경사에 의해 중계되었다.그것은 아루브가 대통령을 [13]이길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자살했다고 진술했다.쿠데타에 가담하지 않은 많은 병사들은 아루브의 죽음을 듣고 분노했는데, 이는 아루베에 대한 동정 때문이 아니라 "전반적인 [32]상황"에 대한 불만 때문이었다.아세니, 마와, 마투리마, 바카 [13]등 알려진 쿠데타 지도자들을 사살하라는 명령도 방송됐다.

3월 24일 어느 시점에 아민은 자신의 본부에서 연설하기 위해 군인들을 소환했다.대통령의 연설 중에 말레라가 나타나기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몇몇 군인들은 너무 화가 나서 콜롤로 힐에 있는 "공화당 건물"을 불태울 계획을 세웠다.하지만, 아민은 결국 혼자 나타나기로 결심했다; 그는 처음에는 유쾌하고 매력적으로 보여서 화난 군인들을 진정시켰다.그러다가 그는 갑자기 화가 나서 군인들이 민간인들을 학대했다고 비난했다.군인들은 처음에는 겁을 먹었지만, 한 영장관은 아민의 내부 조직원들이 강제로 사람들을 잠적시키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목소리를 높였다.대부분의 청중들은 박수를 쳤다; 대통령은 군대가 무엇을 원하는지 물었다.그들은 납치를 중단하고 "알리 타왈리와 말레라를 캄팔라에서 추방하라"[32]고 요구했다.한편 아세니는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로 도주했다가 6월 우간다로 돌아와 곧바로 [4]체포됐다.몇몇 다른 풋슈티스트들이 결국 [1]잡혔다.

여파

우간다 보건부 장관 헨리 켐바에 따르면 아민은 쿠데타가 패배한 후 물라고 병원 장례식장에 있는 아루브의 시신을 방문했다.그는 시신과 단둘이 3분 정도 시간을 보냈다. 켐바는 그가 아루브의 피를 [33]도용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아민은 또한 대부분 기독교인인 카와 군 장교와[34] 루그바라 [18]군을 선별 숙청하여 약 [34]500명을 살해하도록 명령했다.이 부대는 "발화반"에 의해 처형되었고 무릎에 총을 맞고 피를 흘리도록 내버려졌으며 나일 악어에게 산 채로 던져져 휘발유로 흠뻑 젖어 불에 [11]타버렸다"고 한다.서나일 지역을 겨냥한 토벌 작전으로 많은 민간인들이 [34]수단으로 피신했다.그러나 쿠데타의 생존 지지자 대부분은 [19]군부 사이에서 비교적 인기가 있었기 때문에 관대한 대우를 받았다.대통령은 그 사건에 대한 대부분의 책임을 정부에 돌리는 조사 위원회를 조직했다.쿠데타 음모자들의 후속 군사 재판도 [4]아민의 바람대로 진행되지 않았다.엘리 아세니는 기소되지 않았다가 풀려났다.우간다 육군 대원들이 그를 [1][19]동정하는 목소리를 높였다.아민은 아세니가 [4]유죄 판결을 받으면 다른 병사들이 쿠데타를 시도할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기 때문에 이 결과를 받아들였다.아세니는 그 후 [1]아루아에서 유급으로 은퇴하였고, 이후 소련 [35]대사로 임명되었다.바카도 사면되어 [4]1979년까지 군 복무를 계속했다.게다가 아민은 마렐라를 해임하고 무스타파 아드리시를 새 [19]참모총장으로 임명하는 등 쿠데타 음모자들의 몇 가지 초기 요구에 굴복함으로써 군대를 달래야 했다.타와니는 또한 캄팔라에서 [32]쫓겨났다.알버트 드라후아 중령을 새로운 [24]지휘관으로 포함한 인기 없는 [19]헌병대를 이끌 새로운 요원들이 임명되었고, 폭력적 [19]과잉 행위를 줄이라는 명령이 내려졌다.마렐라는 남부 [35]수단의 예이에서 은퇴했다.

아민은 쿠데타의 재발을 막기 위해 예방 조치를 취했다.반란자들과 쿠데타 동조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은 수도 외곽으로 이동했다.말리레 대대 전체가 봄보 마을로 이동했다.대통령은 또한 루그바라족인 부인 케이가 쿠데타 음모자들의 제보자로 활동했다는 의혹을 받아 이혼했다.그녀는 5개월 [1]후에 살해당했다.

아루베의 쿠데타가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군 내부에서 아민에 대한 저항은 계속되었다.1974년 5월 엔테베에서 반아민 군인들은 정부에 [1]대한 통일된 반대 세력을 조율하지 못하고 충돌했다.자살 대대의 루그바라 지휘관이 숙청된 후 1974년 11월 또 다른 폭동이 일어났다.루그바라군은 음부야 막사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반란군 자살 대대군은 음바라라에서 패배해야 했다.적어도 15명의 군인들이 죽었고,[36] 다른 몇 명은 탈영했다.그 후 루그바라는 더 이상 "아민 [37]정권에 대한 대항마" 역할을 할 만큼 강력하지 않았다.1975년부터는, 「각화 누비 안야냐 코어」가 군내에서 우세했다.그들의 힘의 상실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다른 웨스트 나일 부족들은 아민 정권의 혜택을 여전히 [38]받았기 때문에 적어도 명목상으로는 충성심을 유지했다.

우간다 육군은 몇 번의 쿠데타 [1]시도를 포함한 소요와 내분에 시달렸다.1977년, 말리레 대대원들은 암호명 마푸타 밍기 [39]작전이라는 또 다른 쿠데타 시도에 연루되었다.아민은 1979년 [40]4월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에서 마침내 전복되었다.2013년 1월 우간다의 새로운 국가군인 우간다 인민방위군은 아민을 전복시키려는 아루브의 시도를 기리는 의도를 선언했다.군 당국은 이를 위해 1974년 진자에 묻힌 아루베를 발굴해 고향[41]고보코에 전폭적인 군장을 추서하기로 했다.Arube는 2013년 2월에 다시 매장되었다.코보코의 몇몇 지역 지도자들은 이 기회를 이용해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에게 이디 아민의 실수를 "용서해 달라"고 간청했다.무세베니는 "나는 이디 아민의 실수 때문에 웨스트 나일을 비난할 수 없다. [...] 누군가 실수를 하면, 그는 개인으로서 실수를 한다. [...] 하지만 나는 아민이 [42]하고 있던 일에 반대했던 군인처럼 죽고 영웅처럼 죽은 아루베에게 감사한다."고 대답했다.

메모들

  1. ^ 바카는 당시 [13][23]소위 또는 대위로 묘사되었다.
  2. ^ 쿠데타 직후인 1974년 3월 23~24일 일어난 일에 대해 국제 언론들 사이에 많은 혼란이 있었는데, 일부는 쿠데타 시도였다고 주장했고 다른 이들은 폭동으로 [25]확대된 폭력적인 숙청을 고려했다.뉴욕타임스는 아민의 명령에 따라 아루브가 "사라졌다"고 보도했고, 이로 인해 루그바라 병사들이 [18]아민을 석방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다고 전했다.
  3. ^ 오켄에 따르면, 마킨디예 막사에 대한 공격은 3월 24일 자정 경에 이루어졌으며,[11] 그곳에 수감된 것으로 의심되는 아루브를 석방하기 위한 것이었다.
  4. ^ 키슐레는 3월 [13]23일 오전 8시[4] 또는 9시에 쿠데타가 시작되었지만, 아루브가 "쿠데타 새벽 1시경"에 그를 불렀다고 말했다.
  5. ^ A.B.K Kasozi에 따르면, Arube는 [28]배에 총을 맞았다고 합니다.아미 오마라 오투누는 아루브가 "아민의 병사들에 의해 살해당했다"[29]고 주장했다.
  6. ^ Ocen은 봉기가 오전 [11]6시에 진압되었다고 말했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Avirgan & Honey 1983, 32페이지
  2. ^ a b c d e f g h i Avirgan & Honey 1983, 31페이지
  3. ^ Lowman 2020, 페이지 199, 218.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Mugabe, Faustin (5 July 2015). "Senior officers Arube, Aseni attempt to overthrow Amin – Part I". Daily Monit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March 2019. Retrieved 18 November 2020.
  5. ^ Honey, Martha (12 April 1979). "Ugandan Capital Captured".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7 November 2018.
  6. ^ Lowman 2020, 페이지 37, 39
  7. ^ Lowman 2020, 페이지 46
  8. ^ 오툰누 2016, 페이지 310~311.
  9. ^ 한센 1977년, 페이지 110~114
  10. ^ a b Hansen 2013, 96~97페이지
  11. ^ a b c d e f g h i j Ocen, Felix (21 March 2021). "Failed 1974 coup against Amin leads to purge of Lugbara officers in army". Daily Monitor. Retrieved 21 April 2021.
  12. ^ a b c d e f g Mugabe, Faustin (24 October 2015). "Brig Arube's failed coup plan". Daily Monit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February 2017. Retrieved 14 October 2018.
  1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Mugabe, Faustin (26 July 2015). "Three gunshots that ended the coup against Amin". Daily Monit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anuary 2018. Retrieved 14 October 2018.
  14. ^ a b Lowman 2020, 페이지 78
  15. ^ Lowman 2020, 페이지 78, 198
  16. ^ a b Lowman 2020, 페이지 48-49.
  17. ^ Lowman 2020, 페이지 48-49, 91, 124.
  18. ^ a b c d e f g "Uganda Executions Of Rebels Reported". The New York Times. Associated Press. 26 March 1974. p. 1. Retrieved 15 November 2020.
  19. ^ a b c d e f g Lowman 2020, 페이지 124
  20. ^ a b Lowman 2020, 페이지 109
  21. ^ Lowman 2020, 페이지 123–124.
  22. ^ 카소지 1994, 페이지 300-301
  23. ^ a b c d e f g h i j k Mugabe, Faustin (11 July 2015). "Senior army officers attempt to overthrow Amin - Part II". Daily Monitor. Retrieved 5 February 2021.
  24. ^ a b Lowman 2020, 198페이지
  25. ^ a b c d e Mohr, Charles (25 March 1974). "Amin Survives Uganda Army Clash". The New York Times. p. 1. Retrieved 15 November 2020.
  26. ^ Lowman 2020, 페이지 123
  27. ^ Lowman 2020, 페이지 123, 199.
  28. ^ 카소지 1994, 페이지 120
  29. ^ 오마라 오투누 1987, 페이지 126
  30. ^ a b Avirgan & Honey 1983, 페이지 31-32.
  31. ^ Nugent 2012, 페이지 233
  32. ^ a b c "Nyanzi fled country as a soldier, returned as an artist". Daily Monitor. 6 April 2019. Retrieved 5 February 2021.
  33. ^ Kyemba, Henry (1977). "Ich hörte die Schreie" [I heard the screams]. Der Spiegel. pp. 181–182. Retrieved 12 November 2020.
  34. ^ a b c 2019년 12월, 페이지 102-103.
  35. ^ a b 카소지 1994 페이지 301
  36. ^ 오툰누 2016, 페이지 312
  37. ^ 한센 1977, 페이지 115~116
  38. ^ 카소지 1994, 페이지 111
  39. ^ "Six stage escape from the dreaded State Research Bureau". Daily Monitor. 4 November 2017. Retrieved 17 December 2021.
  40. ^ Avirgan & Honey 1983, 3페이지
  41. ^ Baguma, Raymond (24 January 2013). "Stand warned, army chief cautions chaotic politicians". New Vision. Retrieved 19 November 2020.
  42. ^ "Pardon Amin, Koboko leaders tell Museveni". Daily Monitor. 6 February 2013. Retrieved 5 February 2021.

인용된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