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비행사 벨트
Astron Belt![]() |
우주비행사 벨트 | |
---|---|
![]() 홍보 전단 | |
개발자 | 세가 |
게시자 | |
플랫폼 | 아케이드, MSX |
해제 | |
장르 | 레일 슈터 우주 전투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아케이드 시스템 | 세가 레이저디스크 |
우주비행사 벨트(Cravacials Belt)는 3인칭 우주 전투 레일 슈터 형태의 레이저디스크 비디오 게임으로 1983년 일본 세가가 아케이드에서 발매하고, 밸리 미드웨이에게 북미 방출을 허가했다.[4][5]1982년에 개발된 이 게임은 최초의 주요 오락실 레이저디스크 비디오 게임이었다.[6][4][5]이 게임은 레이저디스크의 풀모션 비디오(FMV) 영상과 실시간 2D 그래픽을 결합한 것이다.아케이드 게임은 직립형 및 조종석식 아케이드 캐비닛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며, 후자는 제어판에 조명 버튼, 25인치 대형 모니터(직립형은 표준 19인치 사용), 힘 피드백 진동 좌석을 갖추고 있었다.
이 게임의 프로토타입은 1982년 9월 도쿄에서 개최된 제20회 놀이 기계 쇼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그 후 1982년 11월 18~20일에 개최된 시카고의 놀이 음악 운영자 협회(AMOA) 쇼에서 공개되었다.[7][8]이는 비디오 게임 산업에서 레이저디스크 열풍의 시작을 알렸고,[4] 세가는 그해 1만 개의 캐비닛을 선적할 계획을 세우고 1983년 초 일본에서 출시되었다.[7]이후 유럽에서 발매되었는데, 이 지역에서 발매된 최초의 레이저디스크 게임이었다.[9]하지만, 밸리 미드웨이는 몇몇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버그를 고치기 위해 이 게임의 미국 출시를 연기했고, 그 무렵에는 드래곤즈 라어를 포함한 몇몇 레이저디스크 게임들에 의해 공개 석방에 패배했다.[4]
이 게임은 오락실에서의 상업적 성공이었고, 특히 일본에서 4개월 동안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인 직립/콕핏 아케이드 게임이었다.비판적 리셉션은 AMOA 1982년 데뷔 후 유럽 출시 이후 초기에는 긍정적이지만, 이후 북미 출시 이후 다른 레이저디스크 게임과 비교가 좋지 않아 혼재됐다.우주비행사 벨트는 1984년 일본에서 MSX 홈 시스템에 탑재되었다.
게임플레이
그 선수는 적 함대 전체를 단독으로 격추시키는 임무를 띠고 단독 우주선을 조종한다.적 전투기와 함정이 선수를 향해 총을 쏘고, 지뢰 등 쏘거나 피해야 하는 물체가 있다.
경기는 파도로 나뉜다.각 파도의 끝에는 파괴해야 할 지휘선이 있다.이후 파도에서는 적전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움직이며 쏘고, 그들의 사격은 더 정확하다.어떤 파도는 탁 트인 공간에서 일어나는 반면, 다른 파도는 좁은 참호와 터널을 비행하면서 적과 싸우도록 요구한다.그 선수는 경기 초반에 타이머를 치고 있고, 무제한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타이머의 길이는 기계 조작자가 조정할 수 있지만 보통 60초다.타이머가 만료된 후 플레이어에게 제한된 수의 추가 수명이 주어진다.그 모든 생명을 잃으면 게임은 끝난다.
게임에 사용된 배경 영상은 오리지널 아트워크와 대여한 소재를 혼합한 것이다.특별히 게임을 위해 만들어진 장면들 외에도, 디자이너들은 세 편의 공상과학 영화의 장면들을 통합했다.스타 트렉 2: 칸의 분노, 별 너머의 전투, 우주로부터의 메시지.
기술
우주비행사들은 처음에 파이오니어 레이저디스크 플레이어를 사용했다.[7]총 4명의 레이저디스크 플레이어 중 1명을 사용했는데, 파이오니어 LD-V1000 또는 LD-V1001 또는 히타치 VIP-9500SG 또는 VIP-9550이다.레이저 디스크 자체의 두 가지 다른 버전도 눌려 있었는데, 그것은 파이오너의 단면 버전과 세가의 양면 버전이었다.그러나 두 디스크는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네 명의 플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나 사용될 수 있다.
세가 레이저디스크 하드웨어에서 구동되는 이 게임은 사전 렌더링된 레이저디스크 영상과 실시간 2D 컴퓨터 그래픽 비행기를 결합한다.실시간 그래픽 평면은 이전의 세가 타이틀인 벅 로저스: 줌의 행성(1982)과 유사한 스프라이트 그래픽을 생성하며,[1] 매팅 기법을 모방하여 오버레이했다.CRT 모니터가 화면을 가로지르며 수평으로 스캔할 때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에서 정보를 공급받는 지점까지 레이저디스크로부터 정보를 공급받고, 이후 레이저디스크에서 나오는 정보가 중단되어 스프라이트가 삽입되는 블랙마스크를 만든다.레이저디스크와 스프라이트 평면이 모두 상호작용할 수 있는 충돌 감지 시스템을 사용한다.레이저디스크 영상의 각 프레임은 ROM 메모리에 저장된 히트 감지 스팟으로 코딩된다.질로그 Z80 CPU는 레이저디스크 프레임 수를 판독해 플레이어가 쏜 샷으로 레이저디스크 적중 지점을 확인하고 좌표가 일치하면 레이저디스크 플레이어에 폭발 시퀀스를 표시하도록 지시한다.플레이어가 벽 사이를 이동해야 하는 섹션의 경우 레이저디스크 영상의 벽도 코딩되며 충돌 감지 기능을 사용한다.[10]
리셉션
일본의 게임머신은 1983년 4개월 동안 우주비행사 벨트를 수직/콕핏 아케이드 캐비닛 1위로 선정했다.1983년 6월, 그것은 그 달의 최고 직립/주걱정 없는 내각이었다.[11][12]1983년 10월 1일까지 직립/콕핏 차트 상위권에 머물렀다가 1983년 10월 15일 남코의 폴 포지션에 의해 탈락되었다.[13][14]우주비행사 벨트는 1983년 12월까지 10위 안에 머물렀다.[15]
미국에서는 1984년 8월 1일까지 거리 장소의 플레이 미터 레이저디스크 아케이드 차트에서 우주 비행사 벨트가 1위를 차지했고, 아케이드 위치에서는 3위 안에 들었다.[16]1984년 11월까지 거리 위치용 레이저디스크 아케이드 게임 5위, 오락실 위치용 게임 10위 안에 들었다.[17]
리뷰
비디오게임즈는 아케이드 게임에 대해 "우주선, 행성, 폭발의 필름에 대항해 하는 대형 스크린 공상과학 우주 촬영 게임!"이라고 말하며 1982년의 시위에 이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그들은 "많은 선수들에게 이것은 궁극의 비디오 게임이다!"[8]라고 말했다.컴퓨터·비디오게임즈는 유럽 개봉과 동시에 선구적인 게임이라고 하며 현실적인 비주얼·오디오, 지속적 기능, 미래지향적 조종석 캐비닛, 진동하는 좌석을 칭찬하면서도 게임플레이에서 "몇 가지 거친 에지"를 비판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때때로 "편안한 것 이상"을 진동시키는 것에 대해 nd이들은 "게임의 미래를 원하는 아케이드 플레이어는 하루빨리 우주비행사 벨트에서 손을 써봐야 한다"면서도 "우주비행사 벨트가 앞으로 나올 게임의 모양인지 여부는 두고 봐야 한다"고 결론지었다.[1]
북미 출시 당시 이 게임은 컴퓨터 게임즈 매거진으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다른 레이저디스크 게임과 비교했을 때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두 리뷰어 중 한 명은 게임 디자이너 유진 자비스였는데, 그는 충돌 감지, 현실적인 게임 플레이나 방향의 결여를 비판했지만, 그는 특히 폭발과 함께 그것이 주는 '힘의 감각'과 '마초 느낌'을 높이 평가했다.[18]
레거시
우주비행사 벨트는 1982년 AMOA 쇼에서 양방향 영화 레이저디스크 열풍을 일으킨 역할을 했다.그것이 영감을 준 레이저디스크 게임 중 하나는 드래곤의 라어(1983년)이다.[19]
세가는 1983년 9월 도쿄의 놀이 기계 쇼(AM Show)에서 속편인 스타 블레이저를 선보였다.이 게임은 만장일치로 이 쇼의 "가장 강한" 레이저디스크 게임으로 환영 받았다.[20]밸리 미드웨이는 1984년 북미에서 갤럭시 레인저로 유통했다.그것은 우주비행사 벨트와 동일한 제어장치와 매우 유사한 게임 플레이를 가지고 있었고, 레이저디스크, 게임 ROM, 사운드보드만 바꾸면 하나의 기계가 다른 기계로 변환될 수 있었다.[citation needed]일본에서 게임머신은 1984년 1월 15일자 스타블레이저를 이달 중 세 번째로 가장 성공적인 직립 오락실 유닛으로 선정했다.[21]
참조
- ^ a b c d 컴퓨터 및 비디오 게임, 발행물 22호(1983년 8월), 30페이지 웨이백머신에 보관 2015-09-24, 1983년 7월 16일 발행
- ^ "Astron Belt (Registration Number PA0000197053)". United States Copyright Office. Retrieved 5 May 2021.
- ^ Akagi, Masumi (October 13, 2006). アーケードTVゲームリスト国内•海外編(1971-2005) [Arcade TV Game List: Domestic • Overseas Edition (1971-2005)] (in Japanese). Japan: Amusement News Agency. pp. 124–5. ISBN 978-4990251215.
- ^ a b c d "ASTRON BELT". Atari HQ.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rch 2011. Retrieved 2011-03-25.
- ^ a b "Astron Belt". AllG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1-01.
- ^ Mark Isaacson (2002). "The History of Sega: From Service Games to Master Systems". Retrieved 2011-03-25.
- ^ a b c "Overseas Readers Column: Sega's Astron Belt Will Be Shipped Soon" (PDF). Game Machine. No. 211. Amusement Press, Inc. 1 May 1983. p. 30.
- ^ a b "Top Ten Hits". Video Games. Vol. 1, no. 7. Pumpkin Press. March 1983. p. 66.
- ^ "Looks at Lasers: The Shape of Games to Come". Computer and Video Games. No. 26 (December 1983). 16 November 1983. pp. 86–7. Retrieved 2018-01-05.
- ^ "Photographic image of book page" (GIF). Dragons-lair-project.com. Retrieved 23 January 2018.
- ^ "Game Machine's Best Hit Games 25 - アップライト, コックピット型TVゲーム機 (Upright/Cockpit Videos)" (PDF). Game Machine (in Japanese). No. 213. Amusement Press, Inc. 1 June 1983. p. 29.
- ^ "Best Hit Games 25" (PDF). Game Machine (in Japanese). No. 214. Amusement Press, Inc. 15 June 1983. p. 27.
- ^ "Best Hit Games 25" (PDF). Game Machine (in Japanese). No. 221. Amusement Press, Inc. 1 October 1983. p. 29.
- ^ "Best Hit Games 25" (PDF). Game Machine (in Japanese). No. 222. Amusement Press, Inc. 15 October 1983. p. 35.
- ^ "Best Hit Games 25" (PDF). Game Machine (in Japanese). No. 226. Amusement Press, Inc. 15 December 1983. p. 33.
- ^ "National Play Meter". Play Meter. August 15, 1984.
- ^ "National Play Meter". Play Meter. Vol. 10, no. 21. 15 November 1984. pp. 28–9.
- ^ Bloom, Steve (April 1984). "The Lasers Have Landed! Here Comes the Videodisc Invasion". Computer Games. Vol. 3, no. 1. United States: Carnegie Publications. pp. 16–20.
- ^ Wolf, Mark J. P. (2008). The Video Game Explosion: A History from PONG to Playstation and Beyond - Mark J. P. Wolf - Google Books. ISBN 9780313338687. Retrieved 2018-01-05.
- ^ ""Somber" JAMMA Show Hosts Five Laser Disc Games" (PDF). Cash Box. October 15, 1983. pp. 32, 34.
- ^ "Game Machine's Best Hit Games 25 - アップライト, コックピット型TVゲーム機 (Upright/Cockpit Videos)". Game Machine (in Japanese). No. 228. Amusement Press, Inc. 15 January 1984. p. 31.
외부 링크
- 비디오게임 킬러리스트에 오른 우주비행사 벨트
- 우주비행사 벨트 Coinop.org
- 드래곤의 은신처 프로젝트에서 나온 우주비행사 벨트 정보
- 닷 이터스의 "레이저 멍" - 클래식 비디오 게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