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창

Atmospheric window
τ 지구 대기의 흡수 밴드(회색)는 대기 창(중간 패널)을 구분하며, 하향 일사 및 상승 열 방사 모두에 미치는 영향을 상단 패널에 나타낸다.주요 온실가스 및 Rayleigh 산란의 개별 흡수 스펙트럼은 하단 패널에 표시된다.

대기 창지구 대기를 통과할 수 있는 전자기 스펙트럼파장 범위다.광학, 적외선무선 창은 세 개의 주요 대기 창으로 구성된다.[1]

명명법

주로 온실 효과의 연구와 관련된 몇몇 출처들은 지구의 적외선 방출이 이 파장 범위(8~14μm)를 통해 우주로 빠져나간다는 사실 때문에 대기 창적외선 창이라는 용어의 동의어를 제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적외선 창은 대기의 유일한 탈출 경로로 조사된다.오직 대기 창이라고만 표현되는 [2][3]열의이러한 종말론적 모호성은 과학과 기술의 다른 분야, 즉 전파 천문학이나[4] 원격 감지에는 존재하지 않는다.[5]

과학적 중요성

대기 창, 특히 광학 및 적외선은 지구-대기권 에너지 균형을 조절하면서 지구 생명의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6]그것들은 관찰 및 통신 목적으로 사용되며 환경 과학자들에 의해 면밀히 연구된다.

천문학에서

제2차 세계대전까지 천문학자들은 광학 망원경을 사용하여 광학 창문을 통해 지구에 방사선이 도달한 먼 천체들을 관찰했다.1940년대 이후, 전파 망원경의 개발은 무선 창을 통해 이루어진 관측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전파 천문학 분야에서 더욱 성공적인 분야를 만들어냈다.[7]

통신분야

통신 위성은 신호의 전송과 수신을 위해 대기 창문에 크게 의존한다. 즉, 위성-지상 링크는 대기 창문의 스펙트럼 내에 속하는 주파수에서 설정된다.[8][9]

원격 감지 시

능동형(위성이나 항공기에 의해 방출되는 신호,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과 수동형(센서에 의해 검출된 햇빛의 반사) 원격 감지 기법은 모두 대기 창의 스펙트럼에 포함된 파장 범위와 함께 작동한다.[10]

참고 항목

참조

  1. ^ "Introduction to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Science Mission Directorate". science.nasa.gov. Retrieved 2021-12-28.
  2. ^ Cotton, William R.; Pielke, Roger A. (2007). Human impacts on weather and climat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80. ISBN 978-0-521-84086-6. OCLC 466742997.
  3. ^ Rohli, Robert V; Vega, Anthony J (2012). Climatology. Sudbury, MA: Jones & Bartlett Learning. p. 287. ISBN 978-0-7637-9101-8. OCLC 569552317.
  4. ^ Burke, Bernard F. (2019). An introduction to radio astronom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5. ISBN 978-1-107-18941-6. OCLC 1199628889.
  5. ^ Joseph, George (2005). Fundamentals of remote sensing. Hyderabad: Universities Press, India. p. 43. ISBN 978-81-7371-535-8. OCLC 474734434.
  6. ^ US Department of Commerce, NOAA. "The Earth-Atmosphere Energy Balance". www.weather.gov. Retrieved 2021-12-29.
  7. ^ Verfasser., Wilson, Thomas (2016). Tools of Radio Astronomy. Springer-Verlag GmbH. pp. 1–2. ISBN 978-3-662-51732-1. OCLC 954868912. {{cite book}}: last=일반 이름 포함(도움말)
  8. ^ Banerjee, P. (2017). Satellite communication. New Delhi: Prentice-Hall of India. p. 181. ISBN 978-81-203-5299-5. OCLC 1223331096.
  9. ^ Ngan, King N. (2001). Video Cod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RC Press. p. 183. ISBN 978-1-4822-9009-7. OCLC 1027783404.
  10. ^ Dwivedi, Ravi Shankar (2017). Remote sensing of soils. Srpinger-Verlag GmbH. p. 13. ISBN 978-3-662-53738-1. OCLC 959595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