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트 랜드메서
August Landmesser아우구스트 랜드메서 | |
---|---|
![]() | |
태어난 | 1910년 5월 24일 ( 무어레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독일 제국 |
죽은 | 1944년 10월 17일 ( 크로아티아 스톤 | (34세)
파묻힌 | |
얼리전스 | 없음; 나치 독일의 강제 징집 |
서비스/지점 | 독일 헤어 |
근속년수 | 1944–45 |
순위 | 솔다트 |
구성 단위 | 999 라이트 아프리칸 사단 |
전투/와이어 |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
배우자 | 이르마 에클러(1935년 뉘른베르크법에 의해 불법 결혼이었지만 1951년 소급 합법화) |
아이들. | 2 |
아우구스트 랜드메서(August Landmesser, [ˈaʊ̯stst ˈlantˌmɛsɐ]; 1910년 5월 24일 ~ 1944년 10월 17일)는 독일 함부르크에 있는 Blohm+Voss 조선소의 노동자였다.[citation needed]그는 1936년 사진에서 다른 노동자들과 함께 나치 경례를 하는 것을 현저하게 거부하면서 한 남자의 가능한 정체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3]Landmesser는 유대인 여성 Irma Eckler와의 불법적인 관계에 대해 나치당과 충돌했었다.후에 그는 감옥에 갇혔고, 결국 형벌로 징집되었고, 그곳에서 그는 전사했다.
전기
아우구스트 랜드메서는 1910년 무어레지에서 아우구스트 프란츠 랜드메서와 빌헬름민 막달레네(네 슈미드팟)의 외동딸로 태어났다.[4]1931년, 그것이 그의 취업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그는 나치당에 가입했다.1935년 이르마 에클러(유대인 여성)와 약혼하면서 당에서 쫓겨났다.[5]이들은 함부르크에 혼인신고를 했으나 한 달 뒤 제정된 뉘른베르크 법률이 이를 막았다.1935년 10월 29일 랜드메서와 에클러의 첫째 딸 잉그리드가 태어났다.[5]
1937년, 랜드메서는 그의 가족과 함께 나치 독일을 덴마크로 피신시키려 했지만, 국경에서 구금되었고 뉘른베르크 법에 따라 "인종 차별" 즉 "인종 불명예"로 기소되었다.그는 그녀도 에클러도 그녀가 완전한 유대인인지 몰랐다고 주장했다.그는 1938년 5월 27일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받았는데, 재범하면 다년 징역형이 선고될 것이라는 경고가 있었다.
이 부부는 공개적으로 관계를 이어갔고, 1938년 7월 15일 랜드메서는 다시 체포되어 보르게르무르 수용소에서 2년 6개월의 형을 선고받았다.에클러는 게슈타포에 의해 감금되어 감옥에서 풀스뷔텔을 감금하고 그곳에서 둘째 딸 아이린을 낳았다.[6]그곳에서 에클러는 오라니엔부르크 포로수용소로, 그 다음엔 리히텐부르크 여성 포로수용소로, 마지막으로 라벤스브뤼크의 여성 포로수용소로 보내졌다.1942년 1월까지 이르마 에클러로부터 몇 통의 편지가 접수되었다.1942년 2월 베른부르크 안락사 센터로 끌려간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살해된 1만4000명 중 한 명이었다.전후 문서화 과정에서 1949년 그녀는 1942년 4월 28일로 법적으로 사망선고를 받았다.
한편 랜드메서는 1941년 1월 19일 감옥에서 제대했다.[5]그는 운반 회사 퓌스트의 선장으로 일했다.이 회사는 워네뮌데에 있는 하이켈-베르케(공장)에 지사를 두고 있었다.[7]1944년 2월, 그는 형벌대인 999 보병대대로 징집되었다.1944년 10월 17일 크로아티아에서 전투를 벌인 후 전사 판정을 받았다.[8]에클러와 마찬가지로 그는 1949년에 법적으로 사망선고를 받았다.[8][9]
처음에, 그들의 아이들은 도시 고아원으로 보내졌다.후에 잉그리드는 외할머니와 함께 살 수 있게 되었다.1941년에 아이린은 양부모의 집에 갔다.1953년 할머니가 돌아가신 후 잉그리드는 양부모와 함께 살게 되었다.
어거스트 랜드메서와 이르마 에클러의 결혼은 1951년 여름 함부르크 원로원에 의해 소급 인정되었다.그해 가을 잉그리드는 랜드메서라는 성을 갖게 되었다.아이린은 계속해서 에클러라는 성을 사용했다.
인식
아이린 에클러가 어거스트 랜드메서라고 밝힌 인물은 1991년 다이제이트에 게재된 1936년 6월 13일 찍은 사진에서 볼 수 있다.함부르크 블롬+보스 조선소에서 해군 훈련함 호르스트 웨셀의 진수를 위해 노동자들이 대거 모이는 모습을 보여준다.이미지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 나치 경례에 팔을 치켜들었는데, 가장 분명한 예외는 팔을 가슴 위로 교차시킨 채 암울하게 서 있는 군중들의 등을 향해 한 남자가 있었다.[6]

1996년, 아이린 에클러는 《Die Vormundschaftsakte 1935–1958: Verfolgung Einer Familie Wegen "Rassenschande"(The Guardership Documents 1935–1958: "인종 치욕"에 대한 가족의 박해)를 출판하였다.이 책은 그녀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어머니의 편지, 국가 기관으로부터의 문서 등 문제의 당시의 원본 문서들이 대거 수록되어 있다.[6]
그러나 사진 속 남성의 신원은 확실하지 않다.또 다른 가족은 이 남성이 종교적 이유로 상습적으로 경례를 거부한 블롬+보스의 금속공장인 구스타프 베거트(1890~1959)라고 주장하고 있다.그들은 당시 옹호자들이 더 강력한 증거로 채택한 Begert의 Blohm+Voss 고용에 대한 문서와 그 유명한 사진 속 남자를 더 잘 닮은 가족 사진을 증거로 제시했다.[10][11][12][13][14]
어거스트 랜드메서의 이름이 걸림돌 위에 나타난다.[15]
참조
- ^ "The Man who defied Hitler died in Yugoslavia". 16 January 2017.
- ^ Straße, Amanda. "Verbotene Liebe Courage". Fasena.de. 1&1 Internet. Retrieved 15 January 2014.
- ^ Simone Erpel: Zivilcourage: Schlüsselbild einer unvolendeten "Volksgemeinschaft".In: Gerhard Paul (Hrsg.): Das Jahrundert der Bilder, Bd. 1: 1900–1949, Götingen 2009, 페이지 490–497, ISBN 978-3-89331-949-7.
- ^ Eckler, Irene (4 July 1998). A family torn apart by "Rassenschande": political persecution in the Third Reich ; documents and reports from Hamburg in German and English. Horneburg. ISBN 9783980499316 – via Google Books.
- ^ a b c Roux, François (6 June 2013). Comprendre Hitler et les allemands. Paris, France: Éditions Max Milo. ISBN 9782315004614. Retrieved 15 January 2014.
- ^ a b c Flock, Elizabeth (7 February 2012). "August Landmesser, shipyard worker in Hamburg, refused to perform Nazi salute (photo)". The Washington Post. Washington, D.C.: Washington Post Media. Retrieved 15 January 2014.
- ^ Straße, Amanda. "Father reported missing". Fasena.de. 1&1 Internet. Retrieved 15 January 2014.
- ^ a b Bartrop, Paul R. (2016). Resisting the Holocaust: Upstanders, Partisans, and Survivors. ABC-CLIO. p. 152. ISBN 9781610698795.
- ^ Eckler, Irene (1996). Die Vormundschaftsakte 1935–1958: Verfolgung einer Familie wegen "Rassenschande": Dokumente und Berichte aus Hamburg. Horneburg. ISBN 9783980499309. Retrieved 15 January 2014.
- ^ "Photo of the Day". Whale Oil Beef Hooked Whaleoil Media. 25 January 2016. Retrieved 2 January 2019.
- ^ [1]에서 인용한 바와 같이 Gerhard Paul, Das Jahrundert der Bilder 1900 bis 1949, Verlag Bandenhoeck & Ruprecht 2009, Seite 494 rechte Spalte Absatz 3).인용: "그동안 함부르크에서 온 또 다른 가족이 그 남자를 친척으로 확인했다.블롬앤보스에서 금속공사로 일했던 구스타프 베게르트(1890~1959)가 되어야 한다.믿는 기독교인으로서 그는 일반적으로 나치 경례를 거부했다.나치 정권과의 거리에도 불구하고 구스타프 베게르트는 나치 박해 정권의 눈에 띄지 않았다.웨거트와 랜드메서의 초상화는 두 경우 모두 그 그림의 일꾼과 매우 유사함을 증명한다.이 때 사진 속의 남자가 누구인가 하는 것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 ^ "1936 – Just one refused the Nazi salute". wegert-familie.de.
- ^ "The German Non-Saluter Myth – Beachcombing's Bizarre History Blog". 26 October 2014.
- ^ Brajovic, Predrag (21 April 2018). "Mr. Wegert and Mr. Landmesser: People, Numbers and the Tipping Point". Medium. Retrieved 1 July 2020.
- ^ "Hamburg stolpersteine registry: August Landmes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