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웅민트

Aung Myint
아웅민트
အောင်မြင့်
태어난 (1946-10-27) 1946년 10월 27일 (75세)
국적버마어
로 알려져 있다.페인팅
움직임버마 현대 미술

아웅민트(Burmese: ောင််မ,်််, [ʔʔààmjɪ̃̃], 1946년 10월 27일 출생)는 버마 화가 및 공연예술가다. 그는 전통적인 낭만주의를 거부하고 다양한 독특한 스타일과 매체를 통해 사회적, 비판적 이슈에 맞서는 등 실험예술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1]

인생

아웅 미인트는 1946년 10월 27일에 태어났으며, 랑군예술과학대학에 입학하여 1968년 심리학 전공으로 졸업했다.[2] 독학한 화가 아웅 미인트는 1960년대에 그의 작품을 전시하기 시작했다. 그는 양곤의 현대 미술계의 주역이 되었다. 아웅 미인트는 인야 미술관을 공동 설립했다. 1995년 《Beginning n End》라는 작품으로 첫 무대를 꾸몄다.[3] 아웅 미인트는 1994년 그의 인야 미술관에서 첫 단독 전시회를 가졌고, 그 이후로 양곤에서 더 많은 전시회를 열었다.[4] 그는 또한 도쿄, 독일, 싱가포르, 뉴욕에서 단독 전시회를 가졌다.[2] 그는 아웅민과 함께 《미얀마 현대 미술 1》을 공동 저술했다.[5]

아웅마인트의 회화, 설치미술, 공연예술은 다양한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윌렘 쿠닝, 잭슨 폴록 등 작가들의 작품에는 관심이 있지만, 작품 분류는 '현상' 차원에서 거부한다. 그의 작품에는 표현적 이미지와 추상적 이미지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6] 1960년대 중반에 그의 작품은 입체파적인 요소를 가진 반추상적인 것이었다. 이것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그의 이미지"파열"는 기간을 말한 다음 1990년대의 페인트, 어느라 원의 영감을 파생과 미얀마 alp의 소용돌이 치며 잭슨 폴락"액션 그림"[7]의 작품을 일으켰다. 뇌졸중,을 철벅거리며, 얼룩짐과 똑똑 떨어지는 고도로 감정적인 스타일에를 통해 발전해 왔다.하내기를.[2] 드 쿠닝과 같은 전후 미국 뉴욕 학교의 다른 화가들은 흉악한 초상화에서 얼굴의 형상이 고문당하고 뒤틀리는 그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아웅 미인트는 영감을 얻기 위해 버마 회화사에 손을 뻗기도 한다. 2001년 '오대륙'이라는 제목의 특이하고 도발적인 작품에서 그는 바간 신전의 벽에 부처님의 해피가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림의 밑바닥을 에드바르 뭉크의 "멋진 얼굴들"의 이미지로 일렬로 채웠다. 그림의 윗부분은 격렬한 붉은 페인트에 뚝뚝 떨어지는 5개의 판넬로 나누어져 있었다."[7]

그가 최근에 그린 어머니와 아이에 대한 단색화 그림은 동남아시아에서 잘 알려져 있다. 스티븐 펫티포어에 따르면 "작품은 작가의 감정과 분위기를 전달하는 하나의 흐름선을 이용해 능숙하게 제작된다. 이 그림들은 예술가가 아기였을 때 어머니의 죽음으로 인한 상실감과 버림받은 감정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 작품들은 또한 헨리 무어, 파블로 피카소와 같은 모더니즘 거장들의 유동적인 선과 작품 형태를 환기시킨다."[8] 이러한 작품에서 "흐르는 선"은 한 줄 그림에서 유래되었는데, 버마에서는 바간 벽화와 20세기 초의 전통 회화에 사용된 기술을 말한다. 한 줄 그림에서 이미지는 서양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짧은 획이나 다발로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흐름으로 그려진다.[9]

'엄마와 아이' 시리즈가 '바일리에서 열린 아세안 예술상'에서 '주르스의 선택상'을 수상했다.[2]

아웅마인트의 작품은 싱가포르 미술관,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국립 미술관(말레이시아)과 싱가포르, 일본, 태국, 독일, 네덜란드, 헝가리, 호주, 미국의 개인 소장품에서 열린다.[4]

수상 및 수상

박물관 소장품

참고 항목

참조

  1. ^ "Burmese Artists: Aung Myint". Thavibu Art Galle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October 2010. Retrieved 2010-11-16.
  2. ^ Jump up to: a b c d Seah Tzi-Yan. "Augn Mying". Kentler Galle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November 2010. Retrieved 2010-11-16.
  3. ^ Phoebe Wong. "Nothing if not liberated". Asia Art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0-02. Retrieved 2010-11-16.
  4. ^ Jump up to: a b "Artist's Biography: Aung Myint". River Gallery. Retrieved 2010-11-16.
  5. ^ "Myanmar Contemporary Art 1 by Aung Myint and Aung Min". Chris Dodge Galle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08. Retrieved 2010-11-16.
  6. ^ Iola Lenzi. "Citizen of the world: recent works by Aung Myint" (PDF). Yavuz Fine A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7-18. Retrieved 2010-11-16.
  7. ^ Jump up to: a b Andrew Ranard (2009). Burmese Painting: A Linear and Lateral History. Silkworm Books. pp. 94–100. ISBN 978-974-9511-76-3.
  8. ^ Steven Pettifor. "Aung Myint". Karin Weber Galle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1-16. Retrieved 2010-11-16.
  9. ^ Andrew Ranard (2009). Burmese Painting: A Linear and Lateral History. Silkworm Books. pp. 6, 18, 222, Endnote 15. ISBN 978-974-9511-76-3.

추가 읽기

  • Ranard, Andrew (2009). "Fin De Siècle and Beyond". Burmese Painting : A Linear and Lateral History. Silkworm Books. pp. 295–296, 303–304. ISBN 978-974-9511-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