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인

Australians
오스트레일리아인
Flag of Australia (converted).svg
Map_of_the_Australian_Diaspora_in_the_World
총인구
호주에서 25,739,256명(2019년)[1]
모집단이 유의한 지역
오스트레일리아 디아스포라: 577,255 (2019)[2]
영국165,000 (2021)[3]
미국98,969 (2019)[4]
뉴질랜드75,696 (2018)[5]
캐나다21,115 (2016)[6]
대한민국.15,222 (2019)[7]
홍콩 SAR14,669 (2016)[8]
독일.13,600 (2020)[9]>
중국 본토13,286 (2010)[10]
일본.12,024 (2019)[11]
토레스 해협 제도4,232[12]
언어들
종교
기독교(일차 가톨릭, 성공회 및 기타 종파), 다양한 비기독교 종교 및 무종교[A][16]

호주인들호주와 관련된 시민, 국민, 그리고 개인들이다.이 연결은 주거, 법률, 역사 또는 윤리 문화일 수 있다.[17]대부분의 호주인에게 이러한 연결 중 몇 개(또는 모든)가 존재하며 집합적으로 호주인의 원천이다.호주의 법은 국적의 인종적 또는 민족적 요소를 규정하지 않고, 대신 법적 지위로 시민권에 의존한다.호주인들은 구어적으로 오우시스라고 불린다.

호주는 다문화의 공식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2019년 이민자가 인구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세계 8위이민인구를 보유하고 있다.[18][19]

1788년 유럽의 식민지화와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에, 19세기 동안 중국독일로부터 상당한 이민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정착민들과 이민자들은 영국 섬들(주로 영국,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에서 왔다.많은 초기 정착지들은 처음에 이송된 죄수들을 수용하기 위한 형벌의 식민지였다.이민꾸준히 증가해 1850년대 들어 골드러시가 잇따르면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수십 년 동안 호주는 유럽 전역에서 큰 이민의 물결일었고, 남유럽과 동유럽에서 오는 이민자는 이전 수십 년보다 더 많았다.1973년 화이트 오스트레일리아 정책이 종식된 이후 전 세계에서 호주로의 크고 지속적인 이민 물결이 21세기까지 이어져 현재 아시아는 이민자의 최대 원천이 되었다.[20]호주 원주민 중 작은 비율은 호주 원주민, 원주민 태즈메이니아인, 토레스 해협 섬 주민으로 구성된 호주 원주민의 후손이다.

독특한 호주의 정체성과 민족성의 발달은 19세기에 시작되어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 식민지의 연방에서 절정을 이루었다.주요 언어는 호주 영어다.호주는 이민 역사의 결과인 다양한 문화의 고향이다.[21]1788년 이래로 호주 문화는 주로 초기 앵글로-셀틱 정착민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서구 문화였다.[22][full citation needed][23]다른 영향으로는 호주 원주민 문화, 세계 각국의 이민 물결에 의해 그 나라에 전해진 전통,[24][full citation needed] 그리고 미국의 문화가 있다.[25]유럽이 정착한 이후 수세기에 걸쳐 일어난 문화적 다양성과 진화는 독특한 호주 문화를 낳았다.[26][27]

개요

호주인이나 그 조상들의 대다수는 지난 4세기 내에 이민을 갔으며, 국토의 확장을 통해 호주가 된 외딴 섬 출신의 원주민 인구 등을 제외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 사람들은 "Aussie"라고 불리며 북반구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Antipodea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8][29]

국적 규정을 관리하는 1차 법률은 2007년 7월 1일 발효된 호주 시민권법이다.규정은 호주의 모든 주와 영토에 적용된다.1986년 8월 20일 이전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들은 부모의 국적에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출생 시에 시민이었다.그 날짜 이후 미국에서 태어난 개인은 부모 중 적어도 한 명이 호주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인 경우 출생 시에 호주 시민권을 받는다.외국인은 영주권을 소지하고 영어에 능숙함을 보이는 동안 4년 이상 국내에 거주한 후 시민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역사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Colony of New South Wales)는 1788년 영국 왕국에 의해 제1함대의 도착과 함께 설립되었고, 19세기에 다른 5개의 식민지가 설립되어 현재 6개의 오스트레일리아 주를 이루고 있다.대규모 이민은 1850년대 금괴가 잇따른 뒤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 이후 발생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이주자들이 남유럽과 동유럽에서 왔다.1973년 화이트 오스트레일리아 정책이 종식된 이후 호주로 건너온 이민자들은 전 세계, 특히 아시아에서 왔다.[20]

영어의 우위, 웨스트민스터 제도를 지향하는 의회제도의 존재, 입헌군주제, 미국의 입헌군주제연방주의 전통, 기독교가 우세한 종교로서, 크리켓, 럭비축구, 테니스를 포함한 스포츠의 인기는 상징적인 증거다.앵글로-셀틱의 유산은 앵글로-셀틱 호주인으로 알려진 윤리 집단을 형성하는 초기 정착민들의 후손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다.많은 언어, 역사, 문화, 지리적 특성을 공유한 결과, 호주인들은 특히 뉴질랜드 사람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가 많다.1949년 이전의 호주 시민권은 사회적, 도덕적, 정치적 개념이었다.[30]호주 시민권 도입 이전에 호주인들은 '영국 과목'[31]의 지위를 갖고 있었다.

조상

2016년 호주 인구조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지명된 조상은 다음과 같다.[N 1][32][33]

유럽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유럽계 호주인들은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유럽계 혈통을 가진 호주인이다.유럽계 호주인들은 2016년 전체 인구의 약 76%로 추산되는 호주의 대다수다.[35][32][36]역사적으로 유럽 이민자들은 호주의 역사와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쳐 호주를 서구 국가로 인식하게 되었다.[37][38]1788년 영국 정착이 시작된 직후부터 유럽계 사람들이 호주 인구의 대다수를 형성하고 있다.

유럽계 호주인들의 가장 큰 통계 집단은 영국제도에 조상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기원을 두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인 앵글로-셀틱계 호주인이다.여기에는 영국계 호주인, 아일랜드계 호주인, 스코틀랜드계 호주인, 웨일스계 호주인 등이 포함된다.[34]앵글로-셀틱 호주인들은 국가의 인격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1840년대 중반까지, 자유 이민자들의 수가 죄수들을 앞질렀다.비록 몇몇 관찰자들은 호주의 죄수 역사를 강조하지만, 초기 정착민들의 대부분은 그들 자신의 자유의지로 왔다.[39]죄수보다 훨씬 더 많은 호주인들이 원조 이민자들의 후손이며, 식민지 시대의 정착민 대다수는 영국과 아일랜드인이다.[40]호주인의 약 20%가 죄수들의 후손이다.[41]최초의 호주 정착민 대부분은 런던, 미들랜드, 잉글랜드 북부, 아일랜드에서 왔다.[42][43][44]19세기 내내 도착한 정착민들은 영국과 아일랜드의 모든 지역에서 왔고, 상당수의 정착민들은 영국의 남서부남동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왔다.[45]1888년 호주 인구의 60%가 호주에서 태어났으며, 거의 모든 사람들이 영국 조상의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나머지 40% 중 34%는 영국령 섬에서 태어났으며 6%는 독일과 스칸디나비아를 중심으로 유럽 출신이었다.[46]1840년대에 스코틀랜드 태생의 이민자들은 호주 인구의 12퍼센트를 차지했다.1861년부터 1914년까지 호주로 이주한 영국인은 130만 명으로 이 중 13.5%가 스코틀랜드인이었다. 1789년부터 1852년 사이에 호주 동부로 이송된 죄수의 5.3%가 스코틀랜드인이었다.[47][better source needed]1901년의 인구조사는 98퍼센트의 호주인들이 영-셀틱 조상의 출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8]1939년과 1945년에 여전히 98퍼센트의 호주인들이 앵글로-셀틱 조상의 출신을 가지고 있었다.[49]1947년까지 인구의 대부분은 영국 출신이었다.[50]

독일인들은 19세기 대부분 동안 가장 큰 영국인이 아닌 섬 조상을 형성했다.[51]1901년부터 1940년 사이에 14만 명의 영국인이 아닌 유럽 이민자들이 호주에 도착했다([52]전체 수입의 약 16%)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13.6%가 해외에서 태어났고, 그 중 80%가 영국인이었다.[53]제2차 세계대전에 이어 많은 수의 대륙 유럽인들이 호주로 이민을 왔는데, 전후 시대에는 이탈리아계 호주인그리스계 호주인들이 가장 큰 이민자 집단에 속한다.1950년대 동안 호주는 네덜란드 이민자의 30%가 목적지였고 네덜란드 태생은 숫자상으로 호주에서 두 번째로 큰 비영국인 그룹이 되었다.[54]1971년, 외국 태생의 70%가 유럽 태생이었다.

이탈리아계 호주인은 이탈리아계 호주인으로 호주에서 가장 큰 비 앵글로-셀틱 유럽계 인종을 이루고 있으며 2016년 인구조사에서 이탈리아계 이민자 또는 이탈리아계 유산인 호주에서 태어난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인구(100,013명)의 4.6%를 차지했다.[55][32]호주의 오랜 이탈리아 이민 역사로 이탈리아어 이탈로호주 사투리가 생겨났다.

독일계 오스트레일리아인독일계 조상의 호주인이다.독일 사회는 2016년 인구조사에서 98만2,266명 또는 3.8%의 응답자를 기록하며 호주에서 두 번째로 큰 비앙글로 켈트족이다.독일인들은 20세기까지 호주에서 가장 큰 비영어권 그룹을 형성했다.[56] 루터교도들은 1817년 프러시아 연합에 대응하여 이민을 갔고 자신들 사이에서도 그리고 카벨 프리츠시 시노드와 같은 다른 독일어 화자들과 함께 교회들을 조직했다.[citation needed]비록 몇몇 개인들이 더 일찍 이민을 갔지만,[57] 최초의 대규모 독일군은 1838년 남호주 식민지가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남호주에 도착했다.이들 "오래된 루터교도"들은 브란덴부르크 주(당시 프러시아 지방) 출신으로, 그들의 전통적인 신앙을 보존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아시아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아시아계 호주인들은 아시아 대륙에서 온 조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진 호주인으로 유럽계 호주인 다음으로 호주에서 가장 큰 통계적 조상의 집단을 이루고 있다.2016년 인구조사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통계청이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남아시아의 지리적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한 조상은 3,514,915명이었다.[58]이는 조상을 지명한 사람의 16.15%에 해당한다.[59] 2016년 인구조사에서 266만5814명이 가장 많이 지명된 아시아 6대 조상 중 하나인 중국, 인도, 필리핀, 베트남, 한국, 스리랑카 조상을 지목했다.[60]이들 6개 조계 중 1개 조계만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조계를 지명한 총 인구의 12.25%를 차지했다.[60][B]

중국계 호주인들중국계 조상을 가진 호주인으로, 2016년 인구조사에서 중국계 조상을 지명하는 사람들의 5.6%를 차지하며, 이 나라에서 가장 큰 비 앵글로-셀계 조상을 형성하고 있다.[32]그리고 1,213,903의 번호를 매긴다.[61]중국계 호주인들은 오세아니아에서 가장 큰 해외 중국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는 해외 중국인들의 가장 큰 집단 중 하나로 아시아계 호주인 커뮤니티 중 가장 규모가 크다.1인당, 호주는 아시아 밖의 어느 나라보다 더 많은 중국인 조상을 가지고 있다.많은 중국계 호주인들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뿐만 아니라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에서 이민을 온 반면, 많은 호주인들은 그러한 이민자들의 후손이다.초기 중국계 호주인들의 역사는 중국 남부의 진주강 삼각주 마을, 즉 대부분 광둥어 부분군으로부터의 상당한 이민과 관련이 있었다.보다 최근의 중국 이주자들로는 중국 본토, 대만 등이 있으며, 여기에는 만다린어와 다른 중국 방언이나 형태에서 온 이민자들이 포함된다.잘 알려지지 않은 것은 중국계 호주인들이 어떤 사회로부터 왔는지, 그들이 남긴 가족들 그리고 이주하려는 그들의 의도가 무엇인지 이다.금괴는 많은 중국인들을 호주의 식민지로 유인했다.(19세기 중반부터 중국인들은 호주를 북아메리카에 있는 캘리포니아의 금산 다음으로 새로운 금산이라고 불렀다.)그들은 전형적으로 마을에 있는 가족들에게 돈을 보냈고, 정기적으로 그들의 가족을 방문했고, 오랜 세월 동안 시장 정원사, 가게 주인 또는 캐비닛 제조자로 일하다가 그들의 고향 마을로 은퇴했다.세계의 많은 해외 중국인 단체들이 그렇듯이, 초기 호주로 이주한 중국인 이민자들은 시드니(차이나타운, 시드니), 멜버른(차이나타운, 멜버른, 1850년대 이후)과 브리즈번(차이나타운, 브리즈번), 퍼스(차이나타운, 퍼스)와 같은 주요 도시에 여러 차이나타운을 설립했다.케언스 차이나타운처럼.[62]

인도계 호주인인도계 호주인으로 아시아계 호주계 2위다.인도계 호주인은 2016년 인구조사에서 61만9164명이 인디언 조상을 선포하고, 2019년 인도에서 71만1050명이 출생하는 등 인도 디아스포라 내에서 가장 큰 집단 중 하나이다.[63][18]인도인들은 호주에서 평균 연령(34세)이 가장 어리고 절대수와 백분율 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공동체다.[18]인도인들의 호주로의 이주는 "18세기 유럽 선박에 탑승한 세포이라스카(선원과 선원들)로부터 19세기 이주 노동자들과 20세기의 적대적 정책을 통해 21세기의 새로운 세대의 숙련된 전문 이민자들에 대한...인도는 21세기에 숙련된 이주민의 가장 큰 원천이 되었다."[64]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1981년

호주 원주민들호주 대륙의 원래 거주자들의 후손이다.[65]그들의 조상들은 약 7만년 전에[66]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로 이주하여 약 5만년 전에 호주에 도착한 것으로 여겨진다.[67][68]토레스 해협 섬주민은 멜라네시아 조상의 뚜렷한 민족으로, 파푸아 뉴기니 인근 퀸즐랜드 최북단에 있는 토레스 해협 섬과 본토에 있는 일부 인근 정착촌에 토레스 해협 섬이 원산지다.원주민이라는 용어는 전통적으로 호주 본토태즈메이니아 원주민들에게만 적용되며, 인접한 일부 섬에도 적용된다.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은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 모두를 지칭할 때 사용되는 포괄적 용어, 즉 "제1민족"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 분산되어 고대 민족들은 각각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수백 개의 뚜렷한 집단으로 확장되고 차별화되었다.[69]400명 이상의 뚜렷한 호주 원주민들이 대륙 전역에서 확인되었고, 그들의 조상들의 언어, 방언 또는 독특한 언어 패턴을 지정하는 독특한 이름들로 구분되었다.[70]

1770년 제임스 쿡은 프랑스군에 의해 선제공격을 당했을 것을 우려하여 토레스 해협 소유섬의 언덕 꼭대기의 신호 드릴을 소유의식으로 바꾸면서 호주의 동해안에 대한 영국의 주장을 조작했다.[71]18년 후,동해안은영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후에 서부 해안도 영국에 의해 정착되었다.당시 토착인구는 31만5000~75만 명으로 추정되며,[72]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는 500여[citation needed] 종으로 나뉜다.

2016년 인구조사에서 원주민인 호주 원주민토레스 해협 섬주민으로 확인된 사람은 64만9171명(전체 인구의 2.8%)이었다.[N 4][73]호주 원주민들은 평균적인 수감율과 실업률, 낮은 교육 수준,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기대수명이 비토착 호주인보다 각각 11년과 17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74][75]몇몇 원주민 공동체들은 "실패한 상태"와 같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되어 왔다.[76]

출생국

2019년에는 호주 거주 인구의 30%인 752만9570명이 해외에서 태어났다.[18]

호주 거주 인구는 다음 국가에서 태어난 사람으로 구성된다.

출처: 오스트레일리아 통계청(2019년)[18]
출생지 추정거주인구[C]
총 오스트레일리아 태생 17,836,000
총외국인출신 7,529,570
England 잉글랜드[D] 986,460
Mainland China 중국 본토[E] 677,240
India 인도 660,350
New Zealand 뉴질랜드 570,000
Philippines 필리핀 293,770
Vietnam 베트남 262,910
South Africa 남아프리카 공화국 193,860
Italy 이탈리아 182,520
Malaysia 말레이시아 175,920
Sri Lanka 스리랑카 140,260
Scotland 스코틀랜드[F] 133,920
Nepal 네팔 117,870
South Korea 대한민국. 116,030
Germany 독일. 112,420
Greece 그리스 106,660
United States 미국 108,570
Hong Kong 홍콩 SAR[G] 101,290

이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호주 이민호주 외국인 출생 인구를 참조하십시오.

언어

호주는 공용어가 없지만 영어는 항상 사실상의 국어로 자리 잡고 있다.[77]호주 영어는 독특한 억양과 어휘를 가진 언어의 주요 다양성으로,[78] 문법이나 철자법에서 다른 영어의 여러 종류와는 약간 다르다.[79]일반 오스트레일리아는 표준 방언의 역할을 한다.

호주 통계국(ABS) 2016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72.7%에 가까운 사람들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언어는 영어라고 한다.가정에서 사용되는 다음으로 가장 일반적인 언어는 다음과 같다.[32][14]

1, 2세대 이주민의 상당 부분이 이중언어다.

250개 이상의 호주 원주민 언어가 첫 번째 유럽 접촉 당시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 중 20개 미만의 언어가 여전히 모든 연령대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80][81]약 110명의 다른 사람들은 노인들에 의해 독점적으로 사용된다.[81]2006년 인구조사 당시 원주민 인구의 12%를 차지하는 5만2000명의 호주 원주민들이 가정에서 토착어를 구사한다고 보고했다.[82]호주는 약 5,500명의 청각장애인들의 주요 언어인 아우슬란으로 알려진 수화를 가지고 있다.[83]

종교

호주는 공식적인 종교가 없다; 호주 헌법은 영연방 정부가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거나 설립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84]

호주인들은 다양한 종교와 영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다.2016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기독교인이 과반수(52.1%)로 가장 많았고, 종교가 없는 사람이 30.1%로 가장 많았다.[85]많은 서구 국가들처럼 교회 예배에 대한 적극적 참여의 수준은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밝힌 인구의 비율보다 낮다; 교회 예배에 대한 주당 참석률은 2001년에 약 150만 명으로 [86]그 해 인구의 약 7%(2,150만[87] 명)에 달했다.

인구

현재 호주 거주 인구는 2663만9000명(2022년 3월 20일)으로 추산된다.[88]여기에는 해외에 거주하는 호주인은 포함되지 않는다.2015년에는 호주 인구의 2.15%가 해외에 거주했으며 이는 전세계에서 가장 낮은 비율 중 하나이다.[89]이 비율은 OECD의 많은 다른 나라들보다 훨씬 낮다.

역사인구

이 표의 데이터는 호주[90][91] 통계국에서 소싱한다. 인구 추정치는 1961년 이전의 원주민 인구를 포함하지 않는다.유럽 정착 이전의 원주민 인구 추정치는 30만명에서 100만명까지 다양하며, 고고학적 발견은 75만명 정도의 지속가능한 인구를 보여준다.[92]

참고 항목

메모들

  1. ^ ABS는 비종교 인구조사 해석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설명적 정보"를 제공한다: "종교는 없다"는 '종교적 믿음과 다른 영적 믿음 그리고 종교적인 소속은 없다'와 같다.자세한 내용은 인구주택 조사: 인구조사 사전 (cat. no. 2901.0)"[15]
  2. ^ 이와 같이, 이는 호주 통계국이 정의하는 아시아계 조상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의해 구성되는 호주 인구 중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낸다.
  3. ^ 여기에는 10만 명 이상 국가만 나열돼 있다.
  4. ^ 오스트레일리아 통계청 정보원은 영국,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가 모두 영국의 일부지만 따로 열거하고 있다.이것들은 원천적으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결합되어서는 안 된다.
  5. ^ 호주 통계국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본토대만, 홍콩마카오의 특별행정구역이 별도로 등재돼 있다.
  6. ^ 호주 통계국 정보원은 영국과 스코틀랜드가 모두 영국의 일부지만 따로 열거하고 있다.이것들은 원천적으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결합되어서는 안 된다.
  7. ^ 호주 통계국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본토대만, 홍콩마카오의 특별행정구역이 별도로 등재돼 있다.
  1. ^ 2016년 인구조사에서 조상을 지명한 21,769,209명의 비율이다.호주 인구조사국은 조상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지만 인종이나 민족에 관한 정보는 수집하지 않는다.
  2. ^ 호주 통계국은 "호주인"을 그들의 조상으로 지명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앵글로-셀틱 그룹의 일원이라고 밝혔다.[34]
  3. ^ 모든 조상의.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또는 토레스 해협 섬 주민으로 식별되는 이들을 포함한다.원주민 식별은 호주 인구 조사의 조상 질문과는 별개이며 원주민 또는 토레스 해협 섬사람으로 식별되는 사람들은 어떤 조상을 식별할 수도 있다.
  4.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또는 토레스 해협 섬 주민으로 식별되는 이들을 포함한다.원주민 식별은 호주 인구 조사의 조상 질문과는 별개이며 원주민 또는 토레스 해협 섬사람으로 식별되는 사람들은 어떤 조상을 식별할 수도 있다.

참조

  1. ^ "Australian Demographic Statistics, Sep 2019".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June 2021. Catalogue number - 3101.0 -. Retrieved 7 January 2022.
  2. ^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9), International Migrant Stock 2019, UN database, POP/DB/MIG/Stock/Rev.2019; spreadsheet file: XLSX
  3. ^ "Population of the UK by country of birth and nationality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www.ons.gov.uk.
  4. ^ "Explore Census Data". data.census.gov.
  5. ^ "2018 Census totals by topic – national highlights (updated) Stats NZ". www.stats.govt.nz.
  6. ^ Government of Canada, Statistics Canada (25 October 2017).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Highlight Tables - Immigrant population by place of birth, period of immigration, 2016 counts, both sexes, age (total), Canada, 2016 Census – 25% Sample data". www12.statcan.gc.ca.
  7. ^ "문서뷰어". viewer.moj.go.kr.
  8. ^ "Main Tables 2016 Population By-census". www.bycensus2016.gov.hk.
  9. ^ Statistisches Bundesamt. "Ausländische Bevölkerung Ergebnisse des Ausländerzentralregisters" (PDF). Bevölkerung und Erwerbstätigkeit [Population and employment] [Foreign Population: Results of the Central Register of Foreigners] (Report) (in German).
  10. ^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9 April 2011). "Major Figures on Residents from Hong Kong, Macao and Taiwan and Foreigners Covered by 2010 Population Census". www.stats.gov.cn.
  11. ^ "在留外国人統計(旧登録外国人統計) 在留外国人統計 月次 2019年12月 ファイル 統計データを探す". 政府統計の総合窓口.
  12. ^ "2016 Census QuickStats: Torres Strait Islands". quickstats.censusdata.abs.gov.au.
  13. ^ "2011 Census QuickStats". Censusdata.abs.gov.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November 2015.
  14. ^ a b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8 June 2017). "2071.0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flecting Australia - Stories from the Census, 2016". www.abs.gov.au. No. Cultural Diversity in Australia, 2016. Canberra: Australian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anuary 2022.
  15. ^ "Religion in Australia, 2016: Feature article".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flecting Australia - Stories from the Census, 2016.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16. ^ "Religion in Australia: 2016 CENSUS DATA SUMMARY".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flecting Australia - Stories from the Census, 2016.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anuary 2022. Retrieved 27 June 2017.
  17. ^ "Australi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Cultural and Ethnic Groups (ASCCEG)".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18 December 2019. Retrieved 13 December 2021.
  18. ^ a b c d e "Table 5.1 Estimated resident population, by country of birth(a), Australia, as at 30 June, 1996 to 2019(b)(c)".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Retrieved 4 May 2020.
  19. ^ "The Evolution of Australia's Multicultural Policy". Department of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 and Indigenous Affairs.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February 2006. Retrieved 18 September 2007.
  20. ^ a b "2018-19 Migration Program Report" (PDF). Department of Home Affairs (Australia). p. 19. Retrieved 14 June 2020.
  21. ^ "Face the Facts: Cultural Diversity". Australian Human Rights Commission. Retrieved 21 January 2022.
  22. ^ Jupp1, 페이지 796–802 (
  23. ^ Teo & White 2003, 페이지 118–20
  24. ^ Jupp1, 페이지 808–812, 74–77 (
  25. ^ White, Richard (1 January 1983). "A Backwater Awash: The Australian Experience of Americanisation". Theory, Culture and Society. 1 (3): 108–122. doi:10.1177/026327648300100309. S2CID 144339300.
  26. ^ Davison, Hirst & Macintyre 1998, 페이지 98–99
  27. ^ Teo & White 2003, 페이지 125–27
  28. ^ Princeton University WordNet. "Aussie". Retrieved 4 March 2011.
  29. ^ Oxford Dictionaries Online, 2011. "Antipodean". Retrieved 4 March 2011.
  30. ^ Helen Irving (1999). To Constitute a Nation: A Cultural History of Australia's Constit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3. ISBN 9780521668972.
  31. ^ 아서 콜웰 이민부 장관은 1948년 국적 및 시민권법을 입법예고한 연설에서 '한 사람이 호주인이라고 말하는 것은 당연히 영국인이라는 것을 의심할 여지 없이 보여주는 것'이라고 선언했을 때….해비치, 꿈 돌리기:오스트레일리아의 동화 1950-1970, 2008 페이지 67
  32. ^ a b c d e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8 June 2017). Cultural Diversity in Australia, 2016.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flecting Australia - Stories from the Census, 2016 (Report). Canberra: ABS.gov.au. 2071.0 - 2016 CENSUS ARTIC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ly 2017. Retrieved 29 August 2017.
  33. ^ "2016 Census Community Profiles: Australia". quickstats.censusdata.abs.gov.au.
  34. ^ a b James Jupp (January 1995).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ed.).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in Australia (Feature Article)". Year Book Australia, 1995. ABS Catalogue No. 1301.0. Retrieved 11 December 2016.
  35. ^ Australian Human Rights Commission (2018). Leading for Change: A blueprint for cultural diversity and inclusive leadership revisited. Sydney. ISBN 978-1-921449-89-5.
  36. ^ Brewer, Marilynn B, Karen Gonsalkorale, Andrea van Dommelen."사회적 정체성 복잡성: 다문화 사회의 다수 민족과 소수 민족 집단 구성원 비교"그룹 프로세스 및 그룹 간 관계 16.5(2013): 529–544.
  37. ^ 돈 그랜트, 그레이엄 실, 호주의 세계: 인식과 가능성, 1994, 페이지 365
  38. ^ Brown, Kerry (8 June 2013). "Oz's Reorientation: White papers illustrate the country's new Asia-centered priorities". Beijing Review (24). Retrieved 16 June 2017.
  39. ^ "HISTORICAL RECORDS REVEAL OZ ANCESTORS OF 16 MILLION BRITS". Ancestryeurope.l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17. Retrieved 24 April 2013.
  40. ^ J. Jupp, White Australia에서 Woomera까지:호주 이민 이야기, 2007년, 페이지 16
  41. ^ Sood, Suemedha. "Australia's penal colony roots". BBC.
  42. ^ J. Jupp, The English in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페이지 27
  43. ^ R. 와츠, P.Trudgill, 2002, 페이지 70, Routrege, 영어의 대체 역사
  44. ^ B. 카흐루, Y. 카흐루, C.넬슨, Wiley-Blackwell, 2009년, 페이지 295
  45. ^ C. Meierkord, 영어 간의 상호작용: 지역 및 국제 접촉 상황에서의 언어적 선택(영어에서의 연구),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12, 페이지 37
  46. ^ Prochner, Laurence Wayne (2009). A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anada, Australia, and New Zealand. Vancouver: UBC Press. p. 134. ISBN 9780774816595.
  47. ^ "history essay – Queensland Migration Heritage Hub" (PDF).
  48. ^ Lines, William J. (1991). Taming the great south land: A history of the conquest of nature in Australia. North Sydney, NSW: Allen & Unwin. p. 140. ISBN 9781863730174.
  49. ^ Pike, Jeffery (2004). Australia. Insight Guides (6th; updated ed.). APA Insight Guides. pp. 55, 75. ISBN 978-981-234-799-2.
  50. ^ Dixson, Miriam (1999). The imaginary Australian: Anglo-Celts and identity, 1788 to the present. Sydney: UNSW Press. p. 10. ISBN 978-0868406657.
  51. ^ G. 라이트너, 호주의 많은 목소리:오스트레일리아 영어—내셔널 랭귀지, 2004, 페이지 79
  52. ^ V. Collic-Peisker, 마이그레이션, 클래스 및 초국가적 정체성:오스트레일리아 및 미국의 크로아티아인(Studies of World Migration), 2008년, 페이지 72
  53. ^ J. Abowd, R. Freeman, 이민, 무역 및 노동 시장, 2007, 페이지 386
  54. ^ "Netherlands country profile". Dfat.gov.au.
  55. ^ Cresciani, Gianfranco (27 August 2003). The Italians in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37780 – via Google Books.
  56. ^ G. 라이트너, 호주의 많은 목소리:오스트레일리아 영어 – 국립 언어, 2004, 페이지 181
  57. ^ "09/06/1837-16/10/1837: Solway [Hamburg to Nepean Bay]". Passengers in History. Retrieved 6 December 2019.
  58. ^ "Census Table Builder".
  59. ^ "Fact sheet - Ancestry: Why the Census includes a question about ancestry". ABS.gov.au. 2011.
  60. ^ a b "2016 Census Community Profiles: Australia". Censusdata.abs.gov.au. Retrieved 7 October 2019.
  61. ^ "2016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data.abs.gov.au. Retrieved 29 August 2017.
  62. ^ "99 Grafton St (entry 602511)". Queensland Heritage Register. Queensland Heritage Council. Retrieved 7 July 2013.
  63. ^ "2016 Census Community Profiles: Australia". quickstats.censusdata.abs.gov.au.
  64. ^ 호주와 뉴질랜드의 인도 디아스포라 이야기는 250세, qz.com, 2018년 10월 30일이다.
  65. ^ "About Australia:Our Country". Australian Government. Australia's first inhabitants, the Aboriginal people, are believed to have migrated from some unknown point in Asia to Australia between 50,000 and 60,000 years ago.
  66. ^ Rasmussen, Morten; et al. (7 October 2011). "Science Magazine: Sign In". Science. 334 (6052): 94–98. doi:10.1126/science.1211177. hdl:10072/43493. PMC 3991479. PMID 21940856.
  67. ^ 생명공학 생물과학 연구위원회(BBSRC, Biological and Biological Science Research Council, BBSRC)는 "호주 원주민들이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의 인간에서 내려왔다. DNA 서열이 밝혀진다"고 말했다.
  68. ^ iCommunity Newsletter. "Sequencing Uncovers a 9,000 Mile Walkabout" (PDF). illumina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1 November 2018. Retrieved 26 April 2014.
  69. ^ 루란도스, 해리(1997) "오스트레일리아 선사의 새로운 관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ISBN 0-521-35946-5.
  70. ^ 호튼, 데이비드 (1994년)호주 원주민 백과사전: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머 역사, 사회, 문화, 원주민 연구 출판사 캔버라.ISBN 0-85575-234-3.
  71. ^ Cameron-Asn, M. (2018). Lying for the Admiralty:Captain Cook's Endeavour Voyage. Sydney: Rosenberg. pp. 180–189, 190–196. ISBN 9780648043966.
  72. ^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Population". 1301.0 – Year Book Australia, 2008.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7 February 2008. Retrieved 3 January 2009.
  73. ^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Population".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7 June 2017. Retrieved 27 June 2017.
  74. ^ Lunn, Stephen (26 November 2008). "Life gap figures not black and white". The Australian. Retrieved 7 December 2010.
  75. ^ Gibson, Joel (10 April 2009). "Indigenous health gap closes by five years".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7 December 2010.
  76. ^ Grattan, Michelle (8 December 2006). "Australia hides a 'failed state'". Melbourne: The A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November 2008. Retrieved 17 October 2008.
  77. ^ "다원론자 연합:Pluralist 언어 정책?". 1995년 글로벌 문화 다양성 회의 정책 담론,, 시드니이다.이민과 시민권의.원본에서 12월 202008년 Archived.1월 11일 2009년 Retrieved."영어지만 공용 언어로서의 견고한 것은 전혀 jure 드 상태 사실상의 공식 언어 뿐만 아니라 국가 언어이다.".
  78. ^ Moore, Bruce. "The Vocabulary Of Australian English" (PDF).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 March 2011. Retrieved 5 April 2010.
  79. ^ "맥쿼리 사전" 제4판.맥쿼리 도서관 Pty Ltd, 2005.
  80. ^ "A mission to save indigenous languages". Australian Geographic. 19 August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December 2013. Retrieved 18 March 2016.
  81. ^ a b "National Indigenous Languages Survey Report 2005".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A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9 July 2009. Retrieved 5 September 2009.
  82.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4 May 2010). "4713.0 – Population Characteristics,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Australians, 2006". Canberr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Retrieved 7 December 2010.
  83.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7 June 2007). "20680-Language Spoken at Home (full classification list) by Sex – Australia". 2006 Census Tables : Australia. Canberr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Retrieved 7 December 2010.
  84. ^ "116. Commonwealth not to legislate in respect of religion". Constitution of Australia. Parliament of Australia. Retrieved 31 January 2018.
  85. ^ "Cultural diversity in Australia 2011". 2071.0 – Reflecting a Nation: Stories from the 2011 Census, 2012–2013.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1 Ju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April 2016. Retrieved 27 June 2012.
  86. ^ NCLS는 2004년 2월 28일, 국립 교회 생활 조사, 언론 발표, 교회 출석률의 최신 추정치를 발표한다.
  87. ^ "2011 Census QuickStats - all people - usual residents".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8 March 2013. Retrieved 4 October 2015.
  88. ^ 오스트레일리아 공식 인구 시계.호주 공식 인구 시계는 매일 UTC 00:00에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89. ^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Retrieved 13 May 2016.
  90. ^ 2. 성별, 구역별 인구, 1901년 6월 30일 이후.호주 통계국. 2006년 5월 23일.2008년 3월 8일 검색됨
  91. ^ 1.1. 1788년 12월 31일 이후 성, 주 및 구역별 인구.오스트레일리아 통계국. 2008년 8월 5일.
  92. ^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population". 1301.0 – Year Book Australia, 2002.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 August 2007. Retrieved 21 October 2009.
  • Teo, Hsu-Ming; White, Richard, eds. (2003). Cultural history in Australia. Sydney: UNSW Press. ISBN 978-086840589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