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네시아인

Melanesians
바누아투에서 온 소녀들

멜라네시아인말루쿠 제도, 동 누사 텐가라, 뉴기니에서 동쪽으로 바누아투피지 섬까지 넓은 지역에 있는 멜라네시아의 지배적이고 토착적인 거주민이다.대부분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많은 언어 중 하나, 특히 오셔날 지부의 언어 중 하나 또는 파푸아어족의 관련 없는 많은 언어 중 하나에서 말을 한다.다른 언어들로는 이 지역의 몇몇 크리올이 있는데, 독피신, 히리 모투, 솔로몬 제도 피진, 비슬라마, 암보네즈 말레이어, 파푸안 말레이어 등이 있다.[1]

기원과 유전학

현재 멜라네시아라는 이름의 섬들의 원래 거주자들은 아마도 오늘날 파푸아 민족의 조상이었을 것이다.그들은 마키라와 아마도 동쪽으로 더 멀리 떨어진 작은 섬들을 포함한 솔로몬 제도의 주요 섬들만큼 동쪽에 있는 이들 섬들을 점령한 것으로 보인다.[2]

특히 뉴기니의 북쪽 해안과 뉴기니의 북쪽과 동쪽의 섬들에서는 3,000여 년 전에 이 지역으로 이주해 온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파푸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이러한 기존 인구들과 접촉하게 되었다.[3]20세기 후반에, 몇몇 학자들은 오랜 기간의 상호작용을 이론화했고, 그 결과 민족들 사이에 많은 복잡한 유전학, 언어, 문화의 변화를 가져왔다.[4]이 지역에서 아주 작은 무리(오스트로네시아어 사용)가 동쪽으로 출발하여 폴리네시아인의 선조가 되는 것이 제안되었다.[5]따라서 원주민인 멜라네시아 인구는 언어, 문화 또는 유전적 조상의 차이를 바탕으로 파푸아어를 사용하는 집단과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집단, 즉 두 개의 주요 집단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6][7]

1870년대 프랜시스 허버트 듀프티(Francis Herbert Dufty)의 사진인 피지안 산악 전사.

이 폴리네시아 이론은 2010년 연구에 의해 뒤집혔는데, 그것은 광범위한 태평양 민족들 사이에서 800개 이상의 유전자 표지에 대한 게놈 스캔과 평가에 기초했다.이 연구는 폴리네시아인도 미크로네시아인도 멜라네시아인과 유전적 관계가 많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두 집단 모두 동아시아인, 특히 대만 원주민과 유전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3]그들의 항해 아웃리거 카누를 발전시킨 폴리네시아인들의 조상들은 동아시아에서 이주하여 가는 길에 멜라네시안 지역을 빠르게 지나 동부 지역으로 계속 이동해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그들은 멜라네시아에 거의 유전적 증거를 남기지 않았고, "그 곳의 원주민들과 아주 적당한 정도로만 섞여 있었다"[6]고 말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여전히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사용하는 멜라네시아 그룹의 절반 이하에서 작은 오스트로네시아 유전적 특징(20% 이하)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파푸아어를 사용하는 그룹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3][6]

이 연구는 멜라네시아 섬 내에 살고 있는 집단들 사이에서 높은 유전적 분화와 다양성의 비율을 발견했는데, 사람들은 그 섬들뿐만 아니라 한 섬의 언어, 지형, 크기에 의해서도 구별된다.그러한 다양성은 처음 정착한 이후, 그리고 더 최근에 폴리네시아의 조상들이 이 섬에 도착한 이후, 수만 년 동안 발전했다.특히 파푸아어를 사용하는 집단이 가장 차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해안선을 따라 있는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집단은 더욱 혼재된 것으로 나타났다.[3][6]

20세기 후반 이후 더 많은 호모 에렉투스 인종이나 아종이 발견됨에 따라 추가적인 DNA 분석이 새로운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스반테 페보는 2010년 발견된 고대 인류인 데니소바 호미니인에 대한 유전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멜라네시아의 고대 인류 조상이 이러한 인간과 아시아에 교배했다고 주장한다.그는 뉴기니 사람들이 게놈의 4%~7%를 데니소반인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이러한 교환을 나타낸다.[8]데니소반인은 네안데르탈인과 사촌으로 여겨진다.두 집단은 현재 네안데르탈인이 유럽으로 진출하고, 데니소반이 약 40만년 전 동쪽으로 향하는 등 아프리카에서 이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는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화석의 유전적 증거에 근거한 것이다.멜라네시아에서 나온 증거는 그들의 영토가 동남아시아로 확장되었고, 그 곳에서 멜라네시아인들의 조상들이 발전했다는 것을 암시한다.[8]

PCA는 유라시아 동부와 오세아니아에서 온 현재와 고대 개인들을 기준으로 계산했다.PC1(23.8%)은 동-유라시아인과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인을 구분하고, PC2(6.3%)는 남북한을 따라 동-유라시아인을 구분한다.
전 세계 인구의 고대 및 현대 개인에 대한 주요 성분 분석(PCA)오세아니아인(오스트레일리아인, 파푸아인)은 동-유라시아인, 서-유라시아인 모두와 가장 차별화된다.

최근 유전자 연구 Carlhoff(알, 2021년까지 노트"인구 구조 모델들 추론한 인구 분할의 조상들의 오세아니아의와 유라시아 그룹 약 58kya는 반면, 파푸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호주 그룹 분리 약 37kya."술라웨시 슬라 탄 주에서[9]A홀로 세의 수렵 채집 견본(Leang_Panninge)"represents 이전에는 알려진 잠수였다.37,000년 전 이 인구들 사이의 분열이 일어날 무렵에 갈라진 인간의 혈통은 동-유라시아인과 오스트랄로-파푸아인 사이에 유전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샘플은 50%의 파푸안 관련 및 50%의 바살-동아시아 관련(안다만어 옹게 또는 톈위안)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10][11]

일부 섬의 멜라네시아인들은 몇 안 되는 비유럽 민족 중 하나로 금발머리로 알려진 호주 밖에 있는 유일한 검은 피부의 사람들이다.금발 성질은 TYRP1 유전자를 통해 개발되었는데, 이는 유럽의 블론드에서 금발을 일으키는 유전자와는 다른 유전자가 된다.[12]

분류이력

초기 유럽 탐험가들은 태평양 섬사람들의 집단들 사이의 신체적 차이점에 주목했다.1756년 샤를 브로세스는 태평양에 '오래된 흑인 민족'이 있었는데, 지금은 폴리네시아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손에 정복당하거나 패배당했으며, 그는 피부가 가벼워졌다고 구분했다.[13]: 189–190 1825년까지 장 침례교 보리 드 생 빈센트는 인간 다양성의 보다 정교하고 15 레이스의 모델을 개발했다.[14]그는 현대 멜라네시아의 거주자들을 오스트레일리아 인종과 그들을 둘러싼 넵투니아 인종(즉 폴리네시아 인종)과는 구별되는 인종 집단인 멜라니엔스라고 묘사했다.[13]: 178

1832년 두몬트 두르빌은 이 초기 작품의 많은 부분을 확장하고 단순화했다.그는 오세아니아 민족을 말레이인, 폴리네시아인, 미크로네시아인, 멜라네시아인의 네 인종 집단으로 분류했다.[15]: 165 두르빌의 모델은 '멜라니엔스'가 아닌 '멜라네시안'을 지칭하는 점에서 보리 드 생 빈센트의 모델과 차이가 있었다.그는 "흑인의 섬"을 뜻하는 그리스 μέας, 검정, islandῆσος 섬에서 멜라네시아라는 이름을 유래했다.

Bory de Saint-Vincent는 Mélaniens를 호주 원주민들과 구별했다.두몽 두르빌은 두 민족을 한 집단으로 결합시켰다.

수어스 (2008)는 미토콘드리아 DNA에 기초하여 동남아시아 섬(ISEA)에서 유래된 홀로세 선달랜드 이전의 오래된 것을 주장해왔다.[16]"대만 외 모델"은 리즈 대학의 연구에 의해 도전을 받았고 분자 생물학과 진화에서 출판되었다.미토콘드리아 DNA 라인에 대한 검사를 통해 그들이 이전에 믿었던 것보다 더 오랫동안 ISEA에서 진화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폴리네시아인들의 조상들은 적어도 6,000년에서 8,000년 전에 파푸아 뉴기니의 비스마르크 군도에 도착했다.[17]

케이서연구진에 의한 부성 Y 염색체 분석.(2000) 또한 폴리네시아인들이 상당한 멜라네시아 유전 혼화물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8]케이서연구원의 후속 연구.(2008) 폴리네시아 자기공명 유전자 풀의 21%만이 멜라네시아 태생이고, 나머지(79%)는 동아시아 태생임을 발견했다.[19]Friedlaender 등의 연구.(2008)은 폴리네시아인들이 유전적으로 멜라네시아인들보다 미크로네시아인들, 대만 원주민들, 동아시아인들과 더 가깝다는 것을 확인했다.이 연구는 폴리네시아인들이 상당히 빠르게 멜라네시아를 통과하여 오스트로네시아인들과 멜라네시안들 사이에 제한된 혼화제만을 허용했다는 결론을 내렸다.[20]따라서 B4a1a1a1의 높은 빈도는 표류의 결과로서 소수의 성공한 동아시아 여성의 후손을 나타낸다.[21]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문화적 특성

오스트로네시아 언어와 문화적 특성은 아마도 3,500년 전에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을 이주시킴으로써 뉴기니의 북쪽과 남동쪽 해안을 따라 그리고 뉴기니의 일부 섬들에 소개되었다.[6]이것은 유전학, 언어, 문화에 많은 복잡한 변화를 초래한 오랜 교류의 결과로 이어졌다.[22]

한때는 이 지역에서 아주 작은 무리(오스트로네시아어를 구사하는)가 동쪽으로 출발하여 폴리네시아 민족의 선조가 되었다고 가정되었다.[23]그러나 이 이론은 폴리네시아인과 미크로네시아인이 멜라네시아인과 유전적 관계가 거의 없다는 템플대학의 연구결과와 모순되었다. 대신, 그들은 멜라네시아 제도 내에 살고 있는 집단들 사이에서 상당한 차이를 발견했다.[24][6]

유전적 연관성이 오세아니아 민족들 사이에 확인되었다.폴리네시아인은 멜라네시아의 소수 혈통인 매크로 하플로그룹 C y-DNA의 한 종류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지배적인 멜라네시안 y-DNA K2b1의 빈도가 매우 낮다.그들 중 상당수는 전형적인 동아시아 남성 하플로그룹 O-M175에 속한다.[18]

일부 최근의 연구는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이외의 모든 인간들이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일부 물려받았으며, 멜라네시아인들은 고대 네안데르탈인의 고대 사촌과 게놈의 4%~6%를 공유하며 데니소바 호민(Denisova Homininin)과 교배한 유일한 현대인이라고 한다.[8]

멜라네시아의 금발 발생률

금발은 유럽과 북아프리카 이외의 토착 인구에서는 드물다.멜라네시아에서 독자적으로 진화했는데,[25] 일부 섬의 멜라네시아인(일부 원주민들과 함께)은 금발 머리를 가진 유럽인의 후손이 아닌 소수 집단 중 하나이다.이것은 이러한 사람들 특유의 TYRP1의 알레르기로 추적되어 왔으며, 유럽인들에게 금발을 일으키는 유전자와는 같지 않다.유럽과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금발과 마찬가지로, 금발 발생률은 성인보다 어린이들에게 더 흔하며, 개인이 성숙함에 따라 머리카락이 어두워진다.

오세아니아의 멜라네시아 지역

멜라네시아 지역의 지도.

오세아니아의 멜라네시아 지역은 주로 동인도네시아의 말루쿠 제도(몰루카스), 동누사 텐가라, 뉴기니 및 주변 섬, 솔로몬 제도, 바누아투, 피지 등이 있다.뉴칼레도니아와 인근 로열티 제도는 역사상 대부분 멜라네시아 인구가 다수였지만 현대 이민을 맞아 그 비율이 43%로 떨어졌다.[26]

가장 크고 인구가 가장 많은 멜라네시아 국가는 파푸아 뉴기니다.멜라네시아에서 가장 큰 도시는 파푸아 뉴기니의 포트 모레스비(Port Moresby)로 약 31만800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멜라네스의 조상이다.[27]

호주의 경우 2016년 6월 30일 현재 멜라네시아인인 토레스 해협 섬주민의 총인구는 토레스 해협 섬주민의 출생지로만 확인된 약 38,700명,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주민의 3만2,200명(총 7만900명)이다.[28]

동인도네시아에는 네덜란드의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이주한 자바인들의 상당한 소수민족이 있지만 뉴기니와 말루쿠 제도 토착인 멜라네시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29]동인도네시아에 사는 멜라네시아인들은 대부분 기독교를 실천하고 있는데, 서부의 말레이계와 자바계 사람들이 대부분 이슬람교를 실천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참고 항목

참조

  1. ^ Dunn, Michael, Angela Terrill, Ger Reesink, Robert A. Foley, Stephen C. Levinson (2004). "Structural Phylogenetics and the Reconstruction of Ancient Language History". Science. 309 (5743): 2072–2075. Bibcode:2005Sci...309.2072D. doi:10.1126/science.1114615. hdl:11858/00-001M-0000-0013-1B84-E. PMID 16179483. S2CID 2963726.{{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2. ^ Dunn, Michael, Angela Terrill, Ger Reesink, Robert A. Foley, Stephen C. Levinson (2005). "Structural Phylogenetics and the Reconstruction of Ancient Language History". Science. 309 (5743): 2072–2075. Bibcode:2005Sci...309.2072D. doi:10.1126/science.1114615. hdl:11858/00-001M-0000-0013-1B84-E. PMID 16179483. S2CID 2963726.{{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3. ^ a b c d 2008년 1월 17일 템플대학교 보도자료 '제노메 스캔스 폴리네시아인은 멜라네시아인과 유전적 관계가 거의 없다'는 제목으로 2015년 7월 19일에 접속했다.
  4. ^ Spriggs, Matthew (1997). The Island Melanesians. Blackwell. ISBN 978-0-631-16727-3.
  5. ^ Kayser, Manfred, Silke Brauer, Gunter Weiss, Peter A. Underhill, Lutz Rower, Wulf Schiefenhövel and Mark Stoneking (2000). "The Melanesian Origin of Polynesian Y chromosomes". Current Biology. 10 (20): 1237–1246. doi:10.1016/S0960-9822(00)00734-X. PMID 11069104.{{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6. ^ a b c d e f Friedlaender J, Friedlaender FR, Reed FA, Kidd KK, Kidd JR (18 January 2008). "The Genetic Structure of Pacific Islanders". PLOS Genetics. 4 (3): e19. doi:10.1371/journal.pgen.0040019. PMC 2211537. PMID 18208337.
  7. ^ Jinam, Timothy A.; Phipps, Maude E.; Aghakhanian, Farhang; Majumder, Partha P.; Datar, Francisco; Stoneking, Mark; Sawai, Hiromi; Nishida, Nao; Tokunaga, Katsushi; Kawamura, Shoji; Omoto, Keiichi; Saitou, Naruya (August 2017). "Discerning the Origins of the Negritos, First Sundaland People: Deep Divergence and Archaic Admixture".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9 (8): 2013–2022. doi:10.1093/gbe/evx118. PMC 5597900. PMID 28854687.
  8. ^ a b c Carl Zimmer (22 December 2010). "Denisovans Were Neanderthals' Cousins, DNA Analysis Reveals". NYTimes.com. Retrieved 22 December 2010.
  9. ^ Carlhoff, Selina; Duli, Akin; Nägele, Kathrin; Nur, Muhammad; Skov, Laurits; Sumantri, Iwan; Oktaviana, Adhi Agus; Hakim, Budianto; Burhan, Basran; Syahdar, Fardi Ali; McGahan, David P. (2021).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Nature. 596 (7873): 543–547. Bibcode:2021Natur.596..543C. doi:10.1038/s41586-021-03823-6. ISSN 0028-0836. PMC 8387238. PMID 34433944.
  10. ^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기니, 캠브리지 대학교, Bergström et al. 2018의 인구 역사에 대한 게놈적 통찰력
  11. ^ Carlhoff, Selina; Duli, Akin; Nägele, Kathrin; Nur, Muhammad; Skov, Laurits; Sumantri, Iwan; Oktaviana, Adhi Agus; Hakim, Budianto; Burhan, Basran; Syahdar, Fardi Ali; McGahan, David P. (2021).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Nature. 596 (7873): 543–547. Bibcode:2021Natur.596..543C. doi:10.1038/s41586-021-03823-6. ISSN 0028-0836. PMC 8387238. PMID 34433944. The qpGraph analysis confirmed this branching pattern, with the Leang Panninge individual branching off from the Near Oceanian clade after the Denisovan gene flow, although with the most supported topology indicating around 50% of a basal East Asian component contributing to the Leang Panninge genome (Fig. 3c, Supplementary Figs. 7–11).
  12. ^ Kenny, Eimear E.; Timpson, Nicholas J. (4 May 2012). "Melanesian Blond Hair Is Caused by an Amino Acid Change in TYRP1". Science. 336 (6081): 554. Bibcode:2012Sci...336..554K. doi:10.1126/science.1217849. PMC 3481182. PMID 22556244.
  13. ^ a b Tcherkézoff, Serge (2003). "A Long and Unfortunate Voyage Toward the 'Invention' of the Melanesia/Polynesia Distinction 1595–1832". Journal of Pacific History. 38 (2): 175–196. doi:10.1080/0022334032000120521. S2CID 219625326.
  14. ^ "MAPS AND NOTES to illustrate the history of the European "invention" of the Melanesia / Polynesia distinction". Retrieved 7 March 2013.
  15. ^ Durmont D'Urville, Jules-Sébastian-César (2003). "On The Islands of the Great Ocean". Journal of Pacific History. 38 (2): 163–174. doi:10.1080/0022334032000120512. S2CID 162374626.
  16. ^ Martin Richards. "Climate Change and Postglacial Human Dispersals in Southeast Asia". Oxford Journals. Retrieved 28 March 2017.
  17. ^ 폴리네시아의 이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DNA
  18. ^ a b Kayser, M.; Brauer, S.; Weiss, G.; Underhill, P.A.; Roewer, L.; Schiefenhövel, W.; Stoneking, M. (2000). "Melanesian origin of Polynesian Y chromosomes". Current Biology. 10 (20): 1237–1246. doi:10.1016/s0960-9822(00)00734-x. PMID 11069104. Current Biology, 제11권, 제2권 141~142페이지(2001년 1월 23일)의 수정을 참조하십시오.
  19. ^ Kayser, Manfred; Lao, Oscar; Saar, Kathrin; Brauer, Silke; Wang, Xingyu; Nürnberg, Peter; Trent, Ronald J.; Stoneking, Mark (2008). "Genome-wide analysis indicates more Asian than Melanesian ancestry of Polynesians". 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82 (1): 194–198. doi:10.1016/j.ajhg.2007.09.010. PMC 2253960. PMID 18179899.
  20. ^ Friedlaender, Jonathan S.; Friedlaender, Françoise R.; Reed, Floyd A.; Kidd, Kenneth K.; Kidd, Judith R.; Chambers, Geoffrey K.; Lea, Rodney A.; et al. (2008). "The genetic structure of Pacific Islanders". PLOS Genetics. 4 (1): e19. doi:10.1371/journal.pgen.0040019. PMC 2211537. PMID 18208337.
  21. ^ Krista Erin Latham [1] Wayback Machine보관된 2015-07-13에 의한 남태평양 Y-크롬 변화 평가
  22. ^ Spriggs, Matthew (1997). The Island Melanesians. Blackwell. ISBN 978-0-631-16727-3.
  23. ^ Kayser, Manfred, Silke Brauer, Gunter Weiss, Peter A. Underhill, Lutz Rower, Wulf Schiefenhövel and Mark Stoneking (2000). "The Melanesian Origin of Polynesian Y chromosomes". Current Biology. 10 (20): 1237–1246. doi:10.1016/S0960-9822(00)00734-X. PMID 11069104.{{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24. ^ Friedlaender, Jonathan (17 January 2008). "Genome scan shows Polynesians have little genetic relationship to Melanesians" (Press release). Temple University.
  25. ^ Sindya N. Bhanoo (3 May 2012). "Another Genetic Quirk of the Solomon Islands: Blond Hair".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 May 2012.
  26. ^ "Synthèse N°35 –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2014" (pdf). Nouméa, Nouvelle Calédonie: Institut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ues (ISEE). 26 August 2014. p. 3. Retrieved 15 June 2016.
  27. ^ "About PNG". Canberra, Australia: High Commission of the Independent State of Papua New Guinea. Retrieved 15 June 2016.
  28. ^ "3238.0.55.001 - Estimates of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Australians, June 2016".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18 September 2018. Retrieved 1 January 2020.
  29. ^ "Indonesia - Ethnic groups Britann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