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신경
Axillary nerve축신경 | |
---|---|
![]() 브라키알플렉스(축신경은 중앙 부근 회색에서 볼 수 있다.) | |
![]() | |
세부 사항 | |
보낸 사람 | 후줄(C5, C6) |
이너바테스 | 델토이드 티어스 단조 |
식별자 | |
라틴어 | 신경성 액실라리스 |
TA98 | A14.2.03.059 |
TA2 | 6440 |
FMA | 37072 |
신경조영술의 해부학적 용어 |
차축신경 또는 원곡신경은 인체의 신경으로, 차축(아크피트)의 레벨에서 브라키알 플렉서스(상부 몸통, 후부분절, 후부줄)에서 발원하며 C5와 C6에서 신경섬유를 운반한다.[1][2][3]차축신경은 후륜구동맥과 정맥이 있는 사각공간을 통과하여 델토이드와 티레스 마이너를 내측한다.
구조
신경은 처음에는 축동맥 뒤,[4] 그리고 첨두근 앞에 놓여 있고,[1] 그 근육의 아래쪽 테두리까지 아래로 지나간다.
그때 전방에서 상완의 목에, 사각형의 공간(위의 둥근 미성년자, 아래의 대 원근, 삼두근 brachii의 긴 머리 medially고, humerus의 수술 목 측면에 의해 경계로)[1]을 통해 선행 상박 회선 artery,[2]과 함께 posterior기로 갈라지곤 한다. anteri또는 삼두근 브라치이 가지의 긴 머리에 대한 후두부와 부차적인 가지.
- 앞 가지(상부 가지)는 후두막 원곡선 혈관과 함께 델토이드 근육 아래인 [5]후두막의 외과적 목 둘레를 감는다.그것은 운동 내경을 제공하기 위해 델토이드의 전방 경계까지 계속된다.앞쪽 가지도 몇 개의 작은 피하 가지를 내는데, 이 가지들은 오버레이된 피부의 근육과 공급원을 뚫는다.
- 후분지(하분지)는 소분지(소분지)와 델토이드 후분지(후분지)를 공급한다.[2]후부는 깊은 근막을 뚫고 팔의 상부(또는 상부) 측피신경으로 계속되는데, 팔의 상부(또는 상부) 측피신경으로 델토이드의 후측 경계를 쓸고 이 근육의 후부의 2/3를 넘어 피부를 공급하며, 삼두근의 긴 머리를 덮는 신경도 있다.
- 삼두근 브라치i의 긴 헤드의 모터 분기는 평균적으로 후방 코드 종단부의 단자 분할에서 6 mm(범위 2-12 mm)의 거리에 발생한다.[6]
- 차축신경의 줄기는 어깨관절로 들어가는 관절 필라멘트를 발한다.
변형
전통적으로 차축신경은 델토이드와 티레스 소량만을 공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시체들에 대한 여러 연구는 삼두근 브라치이의 긴 머리가 차축 신경의 한 가지에 의해 내향된다는 것을 지적했다.[7][6][8]
함수
차축신경은 팔의 세 가지 근육을 공급하는데 델토이드(어깨의 근육), 삼두근(긴 머리), 티레스(회전근근 중 하나)이다.
축신경도 어깨관절에서 감각정보를 전달한다.연대 배지 부위로 알려진 델토이드 근육의 열등 부위를 덮고 있는 피부도 내복한다.[9]이것은 차축신경의 상부 횡경피신경 가지가 내장을 한다.
브라키알 플렉서스의 후측줄은 광합성 관절보다 열등하게 갈라져 상완골의 외과적 목을 감싸는 축신경과 상완골을 전방으로 감싸고 횡경계를 따라 내려가는 방사신경까지 생겨난다.
임상적 유의성
어깨관절의 전측이탈, 목발로 축대를 압박하거나 상완골의 외과 목뼈가 골절되는 경우 축신경이 부상을 입을 수 있다.도축신경의 부상의 예로는 도축신경마비가 있다.신경이 손상되면 다음이 발생한다.
- 티레스 경근과 델토이드가 마비되어 팔의 유괴(15~90도), 약한 굴곡, 연장, 어깨 회전 등이 발생한다.델토이드가 마비되고 경미한 근육이 마비되면 평평한 어깨 기형이 발생한다.
- 연대 [9]배지 부위의 피부 감각 상실
신경에 대한 직접적인 외상은 마비나 감각 상실로 이어질 수도 있다.[10]
추가 이미지
참고 항목
참조
이 기사는 20일자 934페이지의 공공영역의 텍스트를 통합하고 있다. 그레이스 아나토미 (1918)
- ^ a b c Rea, Paul (2016-01-01), Rea, Paul (ed.), "Chapter 3 - Neck", Essential Clinically Applied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the Head and Neck, Academic Press, pp. 131–183, doi:10.1016/b978-0-12-803633-4.00003-x, ISBN 978-0-12-803633-4, retrieved 2020-10-25
- ^ a b c Pezeshk, Parham (2015-01-01),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eds.), "Chapter 13 - Imaging of Entrapped Peripheral Nerves", Nerves and Nerve Injuries, San Diego: Academic Press, pp. 167–171, doi:10.1016/b978-0-12-410390-0.00014-7, ISBN 978-0-12-410390-0, retrieved 2020-10-25
- ^ Ryan, Monique M.; Jones, H. Royden (2015-01-01), Darras, Basil T.; Jones, H. Royden; Ryan, Monique M.; De Vivo, Darryl C. (eds.), "Chapter 14 - Mononeuropathies", Neuromuscular Disorders of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Second Edition), San Diego: Academic Press, pp. 243–273, doi:10.1016/b978-0-12-417044-5.00014-7, ISBN 978-0-12-417044-5, retrieved 2020-10-25
- ^ Kretschmer, Thomas; Heinen, Christian (2015-01-01),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eds.), "Chapter 36 - Iatrogenic Injuries of the Nerves", Nerves and Nerve Injuries, San Diego: Academic Press, pp. 557–585, doi:10.1016/b978-0-12-802653-3.00085-3, ISBN 978-0-12-802653-3, retrieved 2020-10-25
- ^ Voight, M. L. (2017-01-01), Placzek, Jeffrey D.; Boyce, David A. (eds.), "Chapter 39 - Shoulder Instability", Orthopaedic Physical Therapy Secrets (Third Edition), Elsevier, pp. 335–341, doi:10.1016/b978-0-323-28683-1.00039-4, ISBN 978-0-323-28683-1, retrieved 2020-10-25
- ^ a b de Sèze MP, Rezzouk J, de Sèze M, Uzel M, Lavignolle B, Midy D, Durandeau A (2004). "Does the motor branch of the long head of the triceps brachii arise from the radial nerve?". Surg Radiol Anat. 26 (6): 459–461. doi:10.1007/s00276-004-0253-z. PMID 15365769. S2CID 10052988.
- ^ Rezzouk, J; Durandeau, A; Vital, JM; Fabre, T (October 2002). "Long head of the triceps brachii in axillary nerve injury: anatomy and clinical aspects". Revue de Chirurgie Orthopédique et Réparatrice de l'Appareil Moteur. 88 (6): 561–564. PMID 12447125.
- ^ Komala, Nanjundaiah; Shashanka, MallasandraJayadevaiah; Sheshgiri, Chowdapurkar (16 April 2012). "Long head of triceps supplied by axillary nerve". International Journal of Anatomical Variations. 5: 35–37. Retrieved 26 January 2018.
- ^ a b Jacob, S. (2008-01-01), Jacob, S. (ed.), "Chapter 2 - Upper Limb", Human Anatomy, Churchill Livingstone, pp. 5–49, doi:10.1016/b978-0-443-10373-5.50005-1, ISBN 978-0-443-10373-5, retrieved 2021-01-11
- ^ Neal, Sara (2015-01-01),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eds.), "Chapter 33 - Peripheral Nerve Injury of the Upper Extremity", Nerves and Nerve Injuries, San Diego: Academic Press, pp. 505–524, doi:10.1016/b978-0-12-802653-3.00082-8, ISBN 978-0-12-802653-3, retrieved 2020-10-25
외부 링크
- Duke University Health System의 정형외과 프로그램에서의 Axillary_ne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