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라베쇼 반쇼

Bansho Shirabesho
연구소의 부지를 나타내는 표식

시라베쇼 반쇼(蕃ho調ho)는 에도 시대 말기의 외국 서적과 간행물의 번역과 연구를 담당한 일본 연구소였다.

기원

그 연구소는 사무라이 젊은이들을 위해 1856년에 설립되었다.[1] 이전 번역국이었던 요가쿠쇼에서 나왔고, 이전에도 밴쇼와게고요를 대체했다.[2] 새 연구소의 발사는 매튜 C 제독의 지휘 아래 1853년 미국 군함이 방해받지 않고 도착한 것에 대한 반응이었다.페리.[1]외국인들도선물을 가지고 왔는데, 일본 해안 방위의 열등한 상태를 노출하면서 도쿠가와 정권을 당황하게 하고 불안하게 만들었다.[1]

시라베쇼 반쇼도쿠가와 막부의 일종의 지부 역할을 했으며, 일본 신체에 대한 이질감정 부과에서 나온 정치적 책임을 지는 기관으로 간주했다.[3] 반쇼 시라베쇼가 독립된 기관으로 설립된 것도 천문학국에서 민감한 군사 및 정치적 비밀의 번역이 삭제된 데 일부 원인이 있었다.[4] 기관의 활동과 규범은 고용된 번역가의 번역 시책과 교차했다.[4]

이 학교는 결국 막부가 후원하는 서양학문의 주요 기관이 되었다.[4] 네덜란드의 과학 작품과 문서를 연구하는 가장 뛰어난 학자들을 끌어 모았는데, 이들은 후에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문헌을 공부하기도 했다.[4]

후기

1862년에 요쇼 시라베쇼(洋sho調ho, 서양서적 연구를 위한 기관)로 개칭하였고, 1863년에는 가이세이조[ja](開開所)로 개칭하였다. 보신 전쟁 이후 다시 이름을 바꾸어 일본 메이지 정부 때 관리하던 가이세이 각코[ja]( (成学)가 되었다. 가이세이 각코로서, 이 연구소는 도쿄 대학을 형성하기 위해 합병한 전신 기관 중 하나가 되었다.[5]

참고 항목

각주

  1. ^ a b c Duke, Benjamin C. (2009). The History of Modern Japanese Education: Constructing the National School System,1872-1890.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p. 19. ISBN 9780813544038.
  2. ^ Lange, William De (1998). A History of Japanese Journalism: Japan's Press Club as the Last Obstacle to a Mature Press. Surrey: Curzon Press. p. 23. ISBN 978-1-873410-68-4.
  3. ^ Kikuchi, Yoshiyuki (2013). Anglo-American Connections in Japanese Chemistry: The Lab as Contact Zone.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 29. ISBN 9781349297962.
  4. ^ a b c d Ankit, Ahmed; Faiq, Said (2015). Agency and Patronage in Eastern Translatology.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p. 15. ISBN 9781443874168.
  5. ^ "蕃書調所" (in Japanese). kotobank. Retrieved 2017-12-14.

참조

  • Perkins, Dorothy (1997). Japan Goes to War. DIANE Publishing. p. 28. ISBN 078813427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