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 레슬리 코노프

Barrie Leslie Konicov

배리 레슬리 코노프(Barrie Leslie Konicov, 1939년)는 미국 최면술사, 작가, 한때 자유당 후보였던 미국 의회 의원이다.[1]그는 포텐츠 언리미티드(Predents Unlimited)의 대통령이자 최고 최면술사다.[2]한때 코노프는 1년에 약 100만 개의 자기 최면 테이프를 팔았다.[2]코노노프는 또한 2001년 국세청의 합법적인 정부 기능을 방해, 손상, 방해 및 무찌르고 미국을 사취하려는 음모로 유죄판결을 받은 미국 v 코노노프를 포함한 몇몇 법정 소송에 관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그는 또한 1994년, 1995년, 1996년 연방 소득세 신고서를 고의적으로 제출하지 않은 세 가지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았다.[3][4][5]코노노프는 87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6]이 대서양 잡지는 코노노프를 20세기 가장 큰 10대 조세 사기범 리스트에서 4위로 선정했다.[5]

잠재력 무한 자기 최면술

1977년 코노노프는 뉴저지사우스 오렌지에 있는 윤리 최면 훈련 센터에서 마케팅 학위 외 3개의 주말 과정으로 포텐츠 언리미티드(Predents Unlimited)를 설립했다.[2][7][2][8]코노노프는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스에서 그룹 '체중 손실'과 '흡연 중지' 수업을 진행하고 각 수업마다 테이프를 녹음하는 것으로 최면 경력을 시작했다고 말한다.[7]

배리 코노프의 자조적 자조적 자조적 녹음은 그의 달래는 목소리와[2] 코노노프가 자신의 트레이드마크를 지칭하는 것, 즉 각 녹음을 시작하는 "안녕, 인사, 환영"이라는 말로 구별된다.[9]코노노프는 그 후 200개가 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7][10]코노노프는 1981년에 다른 최면술사들을 훈련시키기 시작했다고 말한다.[7]포텐츠 언리미티드가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품 효능에 대한 주장 때문에 압수수색을 당한 것은 이 시기였다.이것은 잠재력을 무제한으로 이러한 주장을 완화하도록 강요했다.[11][12]코노노프의 딸 스테파니가 마케팅 디렉터가 되어, 결국 뉴욕 타임즈의 비즈니스 섹션에서 엄지손가락 빨기, 하우스키핑을 위한 자조만큼이나 다양한 녹음 파일을 판매했다.[10]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1988년 코노노프를 백만장자로 묘사했다;[8] 1990년까지 코노노프의 음반은 반스 노블과 같은 판매상들을 통해 매년 100만장씩 팔리고 있었다.[2]그의 자기최고의 기록들을 소비자들로부터 칭찬받으면서도,[8] 국가건강사기방지위원회는 코니노프의 승상기록의 근본적인 철학을 사이언톨로지에 비유했다: 전생의 부정적인 경험들이 이 삶에서 끊는 것의 기초가 되기 위해 이전된다는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13]

자유당으로부터 비웃는 법까지

코노노프의 자유주의적 정치적 성향은 결국 1994년 미시간 3지구미국 하원입후보하게 만들었다.그는 현직 공화당원인 버논 엘러스의 압승으로 끝난 경선에서 3위를 차지했다.[1]코니코프는 세수가 재무부가 아닌 개인 소유의 연방준비제도(Fed·연방준비제도)에게 돌아간다는 근거로 연방소득세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저서 '대설직업'을 조세 시위, 디택싱 아메리카(De-Taxing America) 설립, 자기 출판 등을 통해 더 큰 정치적 자유를 추구했다.[3]이로 인해 그의 고객 138명은 정부로부터 330만 달러의 세금을 원천 징수하게 되었다.[5]코노노프는 1994년, 1995년, 1996년에도 자신의 세금을 신고하지 않았다.[3][5]국세청은 코노노프에 대한 고소를 추진하였고, 2001년 6월 22일 코노노프는 미국을 사취하기 위한 음모 1건과 연방 소득세 신고를 고의로 하지 않은 3건의 혐의로 유죄를 선고받았다.[3][5]1981년 FDA의 잠재력(Phillip J. Green) 급습 사건을 총괄한 같은 미 법무관이 기소한 이 재판은 보도자료를 통해 "시민들이 단합하는 이 시기에 모든 납세자가 공정한 몫을 지불해야 한다.연방 기관이 현재 각자와 모든 사람의 안전과 보안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이러한 징수된 세금이다.이번 판결과 선고는 유사한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야 하며 연방 세법에 따르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3]2001년 10월 15일, 코노노프는 연방 교도소에서 87개월의 형을 선고받고 3년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게다가, 판사는 코노노프에게 총 11,311.81달러의 세금을 납부하라고 명령했다.[3][5]

미국의 유산 대 배리 레슬리 코노프 사건

미국 v 코노노프를 둘러싼 상황 때문에, 애틀랜틱 잡지는 코노프를 20세기 10대 세법 중 하나로 선정했다.[5]이후 항소심 재판부는 자신의 대리권과 관련된 사건을 결정하면서 "미국 v 코노노프에서는 피고인이 궐기할 때 재판 도중 자리를 비우고 개회성명 중 거듭된 증언하지 말라는 지시를 무시한 채 재판부에 대한 무의미한 논쟁을 벌였다"고 지적했다.관할권."다만 재판부는 2008년까지만 해도 미발표 상태로 남아 있어 미국 v 코노노프를 전례로 삼을 수 없다는 점도 주목했다.[14]

참조

  1. ^ a b "The 1994 Elections: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New York Times. 1994-11-10.
  2. ^ a b c d e f Kevin Krajik (1990-07-30). "Sound Too Good To Be True? Behind The Boom In Subliminal Tapes". Newsweek.
  3. ^ a b c d e f "Avoid These Tax Protest Scams Like You Would Avoid The Plague". irstaxe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2-11. Retrieved 2012-12-07.
  4. ^ "De-Taxing America Founder Convicted of Tax Evasion". 4 (2). IRS Times and Inquir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8-22. {{cite journal}}: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도움말)
  5. ^ a b c d e f g Christopher Shea (April 2004). "Ten Tax Scofflaws". The Atlantic.
  6. ^ "Examples of Nonfiler Investigations – Fiscal Year 2007". Internal Revenue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5-09. Minguske had obtained the trust through an individual named Barrie Konicov who is currently serving an 87 month prison sentence for violations of the Internal Revenue Laws.
  7. ^ a b c d "Neet Our Hypnotist". Potentials Unlimited. Retrieved 2012-12-07.
  8. ^ a b c Caren Ross (1988-01-28). "Self-Help Tapes: Praised by Users but Derided by Many Experts". Los Angeles Times.
  9. ^ "Potentials Unlimited". Potentials Unlimited. Retrieved 2012-12-07.
  10. ^ a b Lofflin, John (1988-03-20). "What's New in Subliminal Messages: Help From the 'Hidden Persuader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10-04-26.
  11. ^ "Subliminal tapes a booming business". The Pantagraph. 1990-01-29.
  12. ^ Associated Press (1981-01-08). "Feds Seize Tapes, Claim False Info". Ludington Daily News.
  13. ^ "Subliminal tapes criticized". NCAHF Newsletter. 1990-05-01.
  14. ^ 그레이 v 무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