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톨로뮤 로이드

Bartholomew Lloyd
라요드 바르톨로뮤 사진

바르톨로뮤 로이드 (1772년–1837년)는 아일랜드의 수학자 겸 학술가로,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에서 전 경력을 보냈다.그곳에서 에라스무스 스미스의 수학 교수로서 미적분학 교수법의 도입 등 상당한 커리큘럼 개혁을 추진하였다.후에 그는 그 대학의 프로보스트로 일했다.

인생

1772년 2월 5일 웩스포드 카운티의 뉴 로스에서 태어난 그는 험프리 로이드의 아들로 뉴 로스 애비 하우스의 바르톨로뮤 로이드 목사의 아들이었다.그의 아버지는 그가 아직 소년이었을 때 돌아가셨고, 펜스와 킬브라이드의 감독인 삼촌 존 로이드 목사 또한 곧 돌아가셨기 때문에 그는 자신을 위해 투쟁하도록 남겨졌다.그는 1787년 연금수령자로 트리니티 대학 더블린에 입학했다.1790년에 그는 대학의 학자로 선출되었고, 1792년에 B.A.를 졸업했으며, 1796년에 후배 펠로우쉽을 얻었다.같은 해 M.A., 1805년 B.D., 1808년 D.D.를 졸업하였다.[1]

1813년 로이드는 윌리엄 마기의 사임으로 에라스무스 스미스의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822년에는 윌리엄 데이븐포트의 뒤를 이어 에라스무스 스미스의 자연·실험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2]두 의자 모두에서 그는 가르치는 방법에 급진적인 변화를 일으켰고, 미적분학을 포함한 프랑스 수학 혁신을 트리니티 칼리지에 처음으로 도입했다.[3]

1821년과 1823년과 1825년에 다시 대학에서 그리스어의 레지우스 교수로 선출되었고, 1823년과 1827년에 다시 킹 대주교의 신학 강사로 선출되었다.1831년 그는 코크와 로스의 주교가 된 사무엘 카일의 뒤를 이어 대학의 프로보스트로 선출되었다.[1]

트리니티의 자기 관측소는 로이드의 영향을 받아 설립되었다.1835년 로열 아일랜드 아카데미 회장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더블린에서 열린 영국 협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그의 취임사는 주로 "과학의 대상과 신의 계시를 일치시키는 것"[1]을 다루었다.

로이드는 1837년 11월 24일 갑자기 중풍으로 사망하여 대학 예배당에 안장되었다.로이드 전시회는 그의 기억 속에 1839년 구독에 의해 설립되었다.토마스 커크가 그린 그의 대리석 흉상이 트리니티 칼리지의 도서관에 서 있었다.[1]

작동하다

1835년판기계철학 기초논문』의 도안

과학 논문 외에도 로이드는 다음과 같은 저자의 저자였다.[1]

가족

로이드는 엘리너 맥러플린과 어린 나이에 결혼했는데, 이 결혼으로 10명의 자녀와 4명의 아들, 6명의 딸이 있었다.가장 큰 사람은 험프리 로이드였다.[1]외교관 찰스 달튼 클리퍼드 로이드(Charles Dalton Clifford Loyd)는 로버트 클리퍼드 로이드 대령과 애니 새비지의 아들인 손자였다.[4]

레거시

2018년 과학기술기념패전국위원회가 주관한 뉴로스 주 툴셀에 로이드에게 주는 명판이 세워졌다.그것은 트리니티 프로보스트, 패트릭 캐런더가스트 교수가 공개했다.[5]

참조

  1. ^ a b c d e f Lee, Sidney, ed. (1893). "Lloyd, Bartholomew" .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Vol. 33. London: Smith, Elder & Co.
  2. ^ 에라스무스 스미스의 TCD 수학 교수
  3. ^ 맥튜터 수학 기록 보관소의 바르톨로뮤 로이드
  4. ^ Agnew, Sinéad. "Lloyd, Charles Dalton Clifford".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16824.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5. ^ Keane, Brendan (7 July 2018). "New plaque honours professor". New Ross Standard. Retrieved 10 December 2020.{{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귀인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학무실
선행자 트리니티 대학교 더블린 교구
1831–1837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