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질 번스타인

Basil Bernstein

바질 베르나르 번스타인(Basil Bernard Bernstein,[1] 1924년 11월 1일 ~ 2000년 9월 24일)은 교육 사회학 분야의 연구로 유명한 영국의 사회학자였다. 그는 사회언어학, 그리고 말하는 방식과 사회조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했다.[1]

전기

번스타인은 1924년 11월 1일 런던 이스트엔드에서 유대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2] 한동안 사회사업을 가르치고 한 후, 1960년에 번스타인은 대학원 공부를 시작했다. 그는 런던대학에 입학하여 언어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2] 그 후 그는 런던 대학교교육 연구소로 옮겨갔고 그곳에서 남은 경력을 쌓았다. 는 칼 만하임 교육 사회학 연구소 소장이 되었다.

1983년 6월 4일, 번스타인은 오픈 대학(영국 밀턴 케인스)으로부터 명예학위 "대학 박사"를 받았다.[3]

언어 코드 이론

번스타인은 언어 사용에서 발견되는 사회적 계급에 기초한 불평등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그의 사회언어적 언어 코드 이론으로 의사소통 연구에 큰 공헌을 했다.[4] 그 이론은 더 넓은 범주의 언어 코드 안에 정교하고 제한된 코드가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 의사소통의 이론(2002년)의 스티븐 리틀존이 정의한 '사회단체 구성원들이 고용한 언어 뒤에 있는 일련의 조직원리'(2002년)라는 용어는 번스타인의 이론이 사람들이 일상 대화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어떻게 특정 사회의 가정을 반영하고 형성하는지를 보여준다는 것을 시사한다.al group.[4] 더욱이, 사회 집단 내에서 확립된 관계는 집단이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과 사용되는 언어의 종류에 영향을 미친다. 언어는, 번스타인에게 있어서, 문화 전달의 일반 이론에서 사회 구조의 중개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판적이다.[5]

제한적이고 정교한 언어 코드의 구조는 1960년대에 번스타인에 의해 도입되었다.[6] 그는 교육자로서, 노동계 학생들이 수학 과목에서 중산층 학생만큼 높은 점수를 얻고 있을 때, 언어 기반 과목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는데 관심이 있었다. 그의 이론에서 번스타인은 사회 계층과 언어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를 주장한다.

Class, Code and Control(1971)의 Bernstein에 따르면:

학습 과정에서의 구어 형태는 환경과의 특별한 형태의 관계를 시작, 일반화 및 강화하며, 따라서 개별적인 특정한 형태의 중요성에 대해 생성한다(p.76).

즉, 특정 사회 계층 내에서 언어가 사용되는 방식은 사람들이 말하는 것에 의미와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리틀존(2002)은 이에 동의하며 "사람들은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 코드 덕분에 세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배운다"고 말한다. 한 사람이 사용하는 코드는 실로 그들의 사회적 정체성을 상징한다(Vernstein, 1971

번스타인의 코드 이론에 대한 가장 확장된 실증 실험은 루카이야 하산이 맥쿼리 대학에서 실시한 10년 프로젝트였다. 하산은 두 곳의 사회적 위치에서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상호 작용의 일상적인 맥락에서 데이터를 수집했는데, '더 높은 자치 전문가'(주요 소득자가 근무일 동안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 가정)와 '더 낮은 자치 전문가'(주요 소득자가 자치권이 없거나 거의 없는 가정)로 지정되었다. 그들의 근무일에 관하여. 하산은 이들 가족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서 상당한 차이를 발견했고, 윌리엄 라보프에게 '대적 변이'의 존재, 즉 다른 의미 방식에 대한 결과들을 말하는 다른 방법들을 보여주었다.[7] 그녀는 1970년대에 번스타인이 처음 주목한 중산층과 노동자 계층 아동들 사이의 교육 성취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은 관련성에 대한 이러한 지향의 차이였다고 주장한다.

상세 코드 및 제한된 코드

언어 코드의 두 종류는 정교하게 만들어진 코드와 제한된 코드다. 제한된 코드는 주제에 대한 가정과 이해를 공유하는 내부자에게 적합한 반면, 정교한 코드는 청취자가 이러한 가정이나 이해를 공유한다고 가정하지 않고, 따라서 더 명확하고, 더 철저하며, 청취자가 행간을 읽을 필요가 없다. 애서튼(2002년)에 따르면

그 구별의 본질은 그 언어가 무엇에 적합한가에 있다. 제한된 코드는 스피커 그룹에 공유되고 수집된 지식이 많은 상황에서 정교한 코드보다 더 잘 작동한다. 그것은 경제적이고 풍부하며, 방대한 양의 의미를 몇 마디 단어로 전달하는데, 각각의 단어들에는 복잡한 함축이 있고, 말 하지 않은 훨씬 더 많은 정보를 귀담아 들게 하면서 색인처럼 행동한다.

제한된 코드 안에서 화자는 배경지식과 공유된 이해를 활용한다. 이런 종류의 코드는 어떤 집단에 소속된 느낌인 포용의식을 만들어낸다. 제한된 코드는 친구들, 가족들, 그리고 다른 친밀하게 짜여진 그룹들 사이에서 발견될 수 있다.

반대로 애더튼(2002년)에 따르면, "구체화된 코드는 모든 것을 기술하는데, 그것은 그것이 더 좋기 때문이 아니라,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황상 화자가 응축할 수 없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교하게 짜여진 코드는 사전이나 공유된 이해와 지식이 없는 상황에서 더 철저한 설명이 필요한 상황에서 잘 작동한다. 만약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사람에게 새로운 말을 한다면, 그들은 가장 확실히 정교한 암호로 의사소통을 할 것이다.

제한된 코드와 정교한 코드를 구분할 때, 정교한 코드는 "자신이 서 있다"고 할 수 있고, 완전하고 세부적인 코드로 가득 차 있으며, 대부분의 대화를 엿듣는 것은 그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한된 코드는 더 짧고 압축적이며 배경 정보와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 제한된 코드로 가득 찬 대화를 엿듣는 사람은 완전히 길을 잃을 것이다. 그것은 쉽게 "내조자" 대화로 식별될 수 있을 것이다. 번스타인(1971년)에 따르면, "분명히 하나의 코드가 다른 코드보다 나은 것은 아니다; 각각의 코드는 자신만의 미적, 자신만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회는 다른 코딩 시스템을 통해 도출, 유지 및 점진적으로 강화되는 경험의 순서에 다른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135 페이지)

그룹 단위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정교하거나 제한된 코드가 사용되므로, 주목되는 개방성의 정도가 있다. 밀폐 롤 시스템과 오픈 롤 시스템이 있다. 폐쇄적인 역할 시스템에서는 역할이 정해지며, 이러한 역할의 관점에서 사람들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역할에 따라 행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방형 역할 시스템에서 역할은 설정되거나 단순하지 않으며 유동적이고 변화무쌍하다(리틀존, 2002).

시스템 내에서 정교하거나 제한된 코드를 개발하는 데 기여하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 그것들은 시스템 내의 가치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존재하는 사회화 기관(가족, 동료 그룹, 학교, 직장)의 특성이다. 사회화 기관이 잘 정의되고 구조화되면 당신은 제한된 코드를 발견하게 된다. 반대로 기관들이 순응할 수 있는 곳에서는 정교한 코드가 발견된다. 개성을 중시하는 사회에서는 정교한 코드를, 좁은 사회에서는 제한된 코드를 발견한다(리틀존, 2002). 번스타인(1971년)에 따르면, "이러한 코드에 대한 지향은 전적으로 사회적 관계의 형태에 의해, 또는 더 일반적으로 사회 구조의 질에 의해 지배될 수 있다."(135 페이지)

번스타인은 사회 계층과 정교하거나 제한된 코드 사용 사이의 상관관계를 제안한다. 그는 노동자 계층에서는 제한된 코드를 사용하는 반면, 중산층에서는 제한된 코드와 정교한 코드를 모두 사용하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연구는 노동 계급 개인들이 사회화 과정에서 배운 것, 즉 제한된 코드에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기서 "가치와 역할 시스템 모두 제한된 코드를 강화한다." (리틀존, 2002 hg) 그러나, 더 지리적으로, 사회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이동하기 쉬운 중산층은 제한된 코드와 정교한 코드 둘 다에 접근할 수 있다. (Atherton, 2002). 제한된 코드는 이해를 확인하기 위해 생각의 중간이나 끝에 삽입되는 짧은 문구로 덜 형식적이다. 예를 들어, "알고 있잖아", "맞지?" 그리고 "생각 안 해?"와 같은 말이다. 정교하게 만들어진 코드는 비범한 단어와 생각을 사용하는 더 길고 복잡한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정교한 코드에는 패딩이나 필러가 없고, 오직 완전하고 잘 정돈된 생각만이 있으며, 청취자의 입장에서 사전 지식이 필요하지 않으며, 즉 필요한 세부 사항이 제공될 것이다. 번스타인(1971년)에 따르면, 노동자 계급 사람은 그들이 자란 조건과 사회화 과정의 결과로 제한된 코드로 의사소통한다. 정교하게 짜여진 코드에도 노출된 것을 제외하면 중산층도 마찬가지다. Atherton(2002)이 지적한 것처럼, 두 그룹 모두 어느 시점에서는 제한된 코드를 사용한다. 자기만의 언어가 없었던 아주 특이하고 차가운 가정일 것이다."

[이번에 제시된 사회 수업과 언어 코드의 상관관계는 앞에서 언급한 노동자 계층 학생들의 언어 기반 과목에서의 저조한 수행에 대해 설명한다.

비록 번스타인의 '제한된 코드'와 '해외된 코드'에 대한 사회언어적 연구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것은 그의 가장 초기 작품만을 나타낸다. 이 초기 작품은 상당한 오해와 논란의 대상이었다. 번스타인은 '코드'는 사투리가 아니며 코드 이론은 중산층 연설에 대한 부르주아 알리바이도 아니고 노동자 계급 언어의 폄하하는 적자 계좌도 아니라고 강조했다.

교육사회학에서의 코드이론

교육의 사회학에서 번스타인의 '코드 이론'은 1970년대 초반부터 상당한 발전을 거쳤으며, 현재는 특히 체계적 기능 언어학 사이에서 교육과 언어학 양면에서 큰 영향력을 누리고 있다. 마톤 앤 뮬러(2007)는 번스타인이 어떻게 특수화 정도 측면에서 이해한 사회 내 다른 포지션들이 이러한 집단의 학교에서의 성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사용 패턴이 다르다고 주장했는지를 기술한다. 이러한 사회적 입장은 나중에 그가 말했듯이 '학교가 차별적으로 평가한 의사소통의 다른 형태와 그 안에서 차별적으로 효과적이며, 학교의 가치, 실천 방식, 그리고 다른 지역사회와의 관계 때문에'를 만들어낸다(1996: 91). 그 개념은 분류가 문맥이나 범주 사이의 관계를 규제하는 힘의 관계를 개념화하고, 프레임을 짜는 "분류"와 "프레밍"[8]이라는 관점에서 먼저 성문화되었다. 이러한 개념은 교육 맥락과 실천요강, 그리고 다른 사회집단에 의해 교육에 도입되는 처분(또는 코딩 오리엔테이션)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개념들은 교육 지식의 다른 형태가 어떻게 구성되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번스타인은 그 원인으로 페다고그 장치를 가리켰다(Maton & Muller 2007 참조). 이것은 그가 다음에 대해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 사회의 가치 있는 지식 저장소의 순서 규정 및 배포(유통 규칙 집합에 의해 결정됨)
  • 교육적 담론으로 변환, 교육적 전달에 부합하는 형태(특정화된 재텍스트화 규칙 집합에 의해 결정됨)
  • 이 교육적 담론을 달성해야 할 기준 표준 집합으로 추가 변환(특정화된 평가 규칙 집합에 의해 결정됨)

번스타인의 개념화에서 이러한 각 규칙은 특정 활동 분야와 관련된다.

  • '새로운' 지식이 구성되고 배치되는 생산 분야
  • 생산 분야의 담론을 선별, 전용 및 재배치하여 '철저한' 지식으로 만드는 재텍스트화 분야
  • 교육학 실습이 이루어지는 재생산 분야

이 세 가지 규칙과 관련 분야가 함께 교육 지식의 구성 방식을 사회 집단이 지배하려고 하는 교육적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갈등과 투쟁의 '아레나'를 구성한다.

그룹들은 특정 코드 형식의 구성에 의해 자신의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장치를 적절하게 하려고 시도한다. 따라서 기기나 기구는 도전, 저항, 갈등의 초점이 된다(Vernstein 1996: 193).

무어 & 마톤(2001)이 기술한 바와 같이, 교육적 지식의 본질을 분석한 후, 지식 생산의 분야에서 지식이 선택되어 교육적 지식으로 재조정되고 재텍스트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음 질문은 지식 생산의 이 분야들의 특성은 무엇인가? 번스타인은 이것을 '지식구조'의 관점에서 개념화한다. 번스타인은 '위계적 지식 구조'를 '정연하고 명시적이며 체계적으로 정리된 원칙적 구조'로 정의하는데, 이 구조는 '지식을 낮은 수준에서 통합하는 매우 일반적인 명제와 이론을 창조하려고 시도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명백한 차이점들의 확장된 범위에 걸쳐 근본적인 균일성을 보여준다.nt 현상' (기호: 161, 162)과 같은 것. "수평적 지식구조"는 인문사회과학의 각 분야와 같이 '특화된 형식의 질문 및 지문의 구성과 유통을 위한 기준을 갖춘 일련의 전문 언어'(1999: 162)로 정의된다.

번스타인의 코드 이론은 내외부 교육 및 지식 생산, 교수, 학습 전반에 걸친 다방면의 지식으로 연구 범위가 확대되는 기초를 형성했다(예: Christie & Martin eds 2007; Maton 2000 참조). 그의 아이디어에 기반을 둔 작업은 '사회 구성주의'와 대조적으로 '사회 현실주의'로 알려지게 되었다(Maton & Moore eds 2011 참조). 사회 현실주의의 중심 틀은 합법화 코드 이론[1] (Maton 2014)으로, 번스타인의 코드 이론으로부터 핵심 개념을 확장하고 통합한다.

작동하다

  • 클래스, 코드 제어: 제1권 언어사회학을 향한 이론적 연구 (1971)
  • 클래스, 코드 제어: 제2권 언어사회학을 위한 응용연구 (1973)
  • 선택 통제 Walter Brandis함께 유아학교(1974년) 아동의 교사 등급
  • 클래스, 코드 제어: 제3권 교육적 전송 이론을 향하여(1975; 1977 2판)
  • 클래스, 코드 제어: 제4권 페다고그 담론의 구조 (1990)
  • 도로시 헨더슨과의 사회 계층, 언어커뮤니케이션
  • 교육학, 상징적 통제 정체성 (1996; 2000 2판)

참조

  1. ^ a b Charap, John M. (27 September 2000). "Obituary: Basil Bernstein". the Guardian. Retrieved 29 April 2018.
  2. ^ a b Sadovnik, Alan R. (1 December 2001). "BASIL BERNSTEIN (1924–2000)" (PDF). Prospects: the quarterly review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XXXI, no. 4, December 2001, p. 687-703. UNESCO: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Retrieved 29 April 2018.
  3. ^ 영국 오픈 대학교 명예 졸업생.
  4. ^ a b Clark, Urszula (2013). Language and Identity in Englishes. Oxon: Routledge. p. 113. ISBN 978-1-135-90480-7.
  5. ^ Moore, Rob (2013). Basil Bernstein: The Thinker and the Field. Oxon: Routledge. p. 24. ISBN 978-0-415-57703-8.
  6. ^ Chandler, Daniel (2004). Semiotics: The Basics. Oxon: Routledge. p. 154. ISBN 0-415-35111-1.
  7. ^ 하산, R. 의미론적 변화. 루카이야 하산 수집 작품 제2권 런던과 뉴욕: 컨티넘.
  8. ^ Chappell, P. (2014). Group Work in the English Language Curriculum: Sociocultural and Ecological Perspectives on Second Language Classroom Learning. Hampshire, UK: Springer. p. 4. ISBN 9781349435814.

원천

  • 앳킨슨, P.(1985) 언어, 구조재생: 바질 번스타인의 사회학에 대한 소개. 런던, 메투엔.
  • 앳킨슨, P, 델라몬트, S&Davies, B.(1995) (eds) 담화재생: 바질 번스타인을 기리는 수필. 크레스킬, NJ, 햄튼 프레스
  • 크리스티, F. (1999) (ed) 교육학과 의식의 형성: 언어학사회적 과정. 런던, 컨티넘.
  • 크리스티, F. & 마틴, J. (2007) 언어, 지식교육학: 기능적 언어학적, 사회학적 관점. 런던, 컨티넘.
  • 마톤, K. (2000) 교육학 담화 회복: 교육학 지식의 사회학, 언어학 및 교육학 11(1), 79–98에 대한 번스타인의 접근방식.[2]
  • Maton, K. (2014) 지식지식인: 교육의 현실주의 사회학을 지향한다. 런던, 루트리지.[3]
  • 마톤, K. & Moore, R. (2010) (eds) 사회적 사실주의, 지식교육의 사회학: 마음의 연합. 런던, 컨티넘.[4]
  • Maton, K. & Muller, J. (2007) 지식 전달을 위한 사회학, Christie, F. & Martin, J. (eds) 언어, 지식교육학. 런던, 컨티뉴엄, 14-33[5]
  • 무어, R, 아르노, M, 벡, J. & 다니엘스, H. (eds)(2006) 지식, 권력교육 개혁: 바질 번스타인의 사회학을 응용한다. 런던, 루트리지.
  • 무어, R. & Maton, K.(2001) 지식의 사회학 설립: 바질 번스타인, 지적 분야 및 인식론적 장치, 모라이스, A, 네브스, I, 데이비스, B. & 다니엘스, H. (Eds) 교육학의 사회학을 위하여. 뉴욕, 피터 랭 153 대 182
  • 모라이스, A, 네브스, I, 데이비스, B. & 다니엘스, H. (2001) 교육학의 사회학을 향한: 바질 번스타인이 연구에 기여한 것. 뉴욕, 피터 랭
  • 뮬러, J, 데이비스, B. & 모라이스, A. (2004) 레딩 번스타인, 리서치 번스타인. 런던, 루트리지 팔머.
  • 사도브닉, A.R. (ed) (1995) 지식교육학: 바질 번스타인의 사회학. 노우드, NJ, 캐블렉스
  • 반 크리켄, R, 스미스, P. 하비비스, B, 스미스, P, 허친스, B, 마틴, G. & Maton, K. (2010) 사회학: 주제와 관점. 제4판. 시드니, 피어슨 5장을 참조하십시오.

일차 출처

  • 바질 번스타인의 개인 논문은 런던 교육 연구소의 기록 보관소에서 열린다[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