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14°1'8 ″N 38°58'24 ″E/14.01889°N 38.97333°E/ 14.01889; 38.97333(아드와 전투)
Page semi-protected

아드와 전투

Battle of Adwa
아드와 전투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의 일부

'다보르미다의 마지막 집회' 영국 삽화
날짜.1896년 3월 1일; 127년 전 (1896-03-01)
위치14°1'8 ″N 38°58'24 ″E/14.01889°N 38.97333°E/ 14.01889; 38.97333(아드와 전투)
결과에티오피아 승리
호전적인 사람들
에티오피아 이탈리아
지휘관과 지도자
Ethiopian Empire 메넬리크 2세
Ethiopian Empire 타이투 베툴
Ethiopian Empire 라스 마코넨
Ethiopian Empire 테클 헤이마노
Ethiopian Empire 미카엘
Ethiopian Empire 멩게샤 요하네스
Kingdom of Italy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Kingdom of Italy 비토리오 다보르미다
Kingdom of Italy 주세페 아리몬디
이탈리아 왕국 마테오 알베르톤(POW)
73,000–100,00014,519–17,770[1][2]
사상자 및 손실자
3,886–7,000명 사망~6,000명 사망
3,865명 포착
Battle of Adwa is located in Ethiopia
Battle of Adwa
에티오피아 내 위치

아드와 전투 (암하라어: የዐድዋ ጦርነት; 티그리니야어: ውግእ ዓድዋ; 이탈리아어: 바타글리아 아두아, 아도와라고도 불림)는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의 절정의 전투입니다.에티오피아군은 1896년 3월 1일 일요일 아드와 마을 근처에서 이탈리아 침공군을 물리쳤습니다.결정적인 승리는 아프리카의 뿔에서 식민지 제국을 확장하려는 이탈리아 왕국의 작전을 좌절시켰습니다.[3]19세기 말까지 유럽 강대국들은 베를린 회담 이후 아프리카의 거의 모든 지역을 분할했습니다. 에티오피아와 라이베리아만이 여전히 독립을 유지했습니다.[4]아드와는 범아프리카주의의 두드러진 상징이 되었고 40년 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까지 에티오피아의 주권을 확보했습니다.[5]

배경

1889년 이탈리아는 당시 쉐와의 메넬리크 왕우찰레 조약을 맺었습니다.이탈리아의 에리트레아 점령 이후 체결된 이 조약은 해안 식민지에 대한 이탈리아의 주장을 인정했습니다.그 안에서, 이탈리아는 또한 재정적인 지원과 군수품을 제공할 것을 약속했습니다.이후 두 버전의 문서 해석을 놓고 공방이 벌어졌습니다.분쟁 중인 조약 제17조의 이탈리아어 버전은 에티오피아 황제가 이탈리아 당국을 통해 모든 외교 업무를 수행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여 에티오피아를 사실상 이탈리아 왕국의 보호국으로 만들었습니다.그러나 암하라어판 기사는 황제가 원한다면 외국과의 관계에서 이탈리아 왕국의 좋은 관직을 이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하지만, 이탈리아 외교관들은 원래의 암하라 문서에 이 조항이 포함되어 있고 메넬리크 2세가 조약의 수정본에 고의로 서명했다고 주장했습니다.[6]

이탈리아 정부는 에티오피아가 이탈리아판 조약을 준수하도록 강제하기 위한 군사적 해결책을 결정했습니다.그 결과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는 대립하게 되었고, 이는 후에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1894년 12월, 바타 하고스는 당시 이탈리아가 지배하고 있던 에리트레아의 아켈레 구자이에서 이탈리아인들에 대한 반란을 이끌었습니다.피에트로 토셀리 소령이 지휘하는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장군의 부대는 반란을 진압하고 바타를 죽였습니다.그리고 이탈리아 군대는 티그라얀의 수도 아드와를 점령했습니다.1895년 1월, 바라티에리의 군대는 코아티 전투에서 라스 멩게샤 요하네스를 격파하고, 멩게샤를 남쪽으로 후퇴시켰습니다.

1895년 말, 이탈리아 군대는 에티오피아 영토 깊숙이 진격했습니다.1895년 12월 7일, 메넬리크의 선봉대로 구성된 에티오피아군을 지휘하는 라스 마코넨 월데 미카엘, 피타와리 게베예후, 라스 멩게샤 요하네스는 암바 알라기 전투에서 소규모 이탈리아 부대를 섬멸했습니다.그 후 이탈리아군은 티그레이 주에서 더 방어가 가능한 위치로 철수할 수 밖에 없었고, 그곳에서 두 주요 군대는 서로 대치했습니다.1896년 2월 하순까지 양측의 물자가 부족했습니다.이탈리아군의 지휘관인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장군은 에티오피아군이 이 땅에서 떨어져 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지역 농민들의 보급품이 고갈되면 메넬리크 2세 황제의 군대는 녹기 시작했습니다.하지만, 이탈리아 정부는 바라티에리 장군이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드와의 풍경

2월 29일 저녁, 새로운 총독 발디세라 장군이 바라티에리를 대신하여 그의 장군 마테오 알베르톤, 주세페 아리몬디, 비토리오 다보르미다, 주세페 엘레나를 만나 다음 조치에 대해 논의했습니다.그는 부정적인 분위기로 회의를 시작했고, 5일 이내에 식량이 고갈될 것임을 여단장들에게 밝히고, 아마도 아스마라까지 후퇴할 것을 제안했습니다.그의 부하들은 이 시점에서 후퇴하는 것은 사기를 악화시킬 뿐이라고 주장하며 공격을 강력히 주장했습니다.[7]다보르미다는 "이탈리아는 불명예스러운 퇴각보다 2, 3천 명의 병사를 잃는 것을 선호할 것입니다."라고 외쳤습니다.바라티에리는 막판 정보를 기다려야 한다며 몇 시간 더 결정을 미뤘지만 결국 다음날 아침 9시에 공격이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8]그의 군대는 자정이 조금 지난 직후부터 출발 지점으로 진군을 시작했습니다.

전투순서

1890년대 이탈리아의 아드와 지도.작은 화살표는 북쪽이 오른쪽임을 나타냅니다.

에티오피아군

메넬리크 휘하의 에티오피아군의 추정치는 73,000명에서 100,000명 이상으로 이탈리아군보다 5배 이상 많습니다.[10][11]군대는 메넬리크 황제, 타이투 베툴 황후, 라스 웨일 베툴, 라스 멩게샤 아티켐, 라스 멩게샤 요하네스, 라스 알룰라 엔기다 (아바 네가), 월로의 라스 미카엘, 라스 마코넨 월데 미카엘, 피타와리 합테 기요르기스, 피타와리[nb 1] 게베예후, 네구스[nb 2] 테클레 헤이마노 테셈마로 나뉘었습니다.[12]게다가, 수세기 동안 그랬던 것처럼, 군대에 공급하는 비슷한 수의 캠프 추종자들이 군대를 뒤따랐습니다.[13]대부분의 군대는 소총병들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그들 중 상당한 비율이 메넬리크의 예비군에 속해 있었습니다. 그러나 또한 상당수의 기병들과 보병들이 창으로 무장하고 있었습니다(창을 가진 사람들은 창을 든 하인들이라고 불림).[13]일부 이탈리아 외교관들에 따르면, 에티오피아인들은 N. S. 레온티에프가 이끄는 쿠반 코사크 연대의 지원을 받았다고 하지만, 역사학자 리처드 코크는 레온티에프가 전투에 참여한 것은 아니며,[14] 오히려 1895년 1월에 비공식적으로 에티오피아를 방문했고, 그 후 8월에 러시아의 대표로서 공식적으로 방문했다고 주장했습니다.1895년 아드와 전투 이후에야 귀환했습니다.[14][15]

에티오피아군의 민족 구성

아드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 전역의 전사들은 전투 중에 서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투 장소를 차지하고 대의를 위해 모였습니다.전투에 참가한 군대로는 테클레 하이마노암하라 보병과 기병, 라스 멩게샤의 티그라얀 군대, 라스 미카엘의 오로모 기병, 암하라와 구라게 보병과 오로모 기병으로 구성된 라스 마코넨의 하라르 군대, 와그와 라스타의 와그숨 관굴의 아게우와 암하라 보병이 있습니다.피타와리 테클은 웰레가 오로모 기병대를 이끌었고 라스 구사 올리에의 군대는 세미엔과 콰라 출신의 암하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태후 타이투 비툴은 자신의 베젬더 암하라와 예주 전투원들을 이끌었습니다.보통 고급 경비대의 지도자였던 피타와리의 군대는 피타와리 게베예후가 지휘했습니다.메할세파리 또는 중앙 전투 부대는 대부분 셰완 암하라 보병과 메카 툴라마 오로모 기병을 포함했습니다.그러므로 아드와에 있는 에티오피아 군대는 공동의 민족적 대의를 위해 북쪽으로 진군하는 다양한 민족과 부족들의 모자이크였습니다.[16][17][18]

이탈리아군

아드와 전투 직전, 이탈리아군은 29,700명의 이탈리아군과 14,000명의 아스카리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하지만, 해럴드 마커스가 지적한 바와 같이, 후방의 통신선을 지키려면 "수천 명"의 병사들이 필요했습니다.따라서 그는 아드와에 있는 이탈리아 군대가 겨우 14,519명의 유효한 전투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합니다.[19]그런데, 데이비드 L.루이스는 이탈리아군이 4개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총 17,770명의 병력과 56개의 포병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했습니다.[20]알베르톤 장군 휘하의 1개 여단은 이탈리아 장교들이 이끄는 에리트레아 아스카리로 구성되었습니다.[21]나머지 3개 여단은 다보르미다(Dabormida), 엘레나(Ellena), 아리몬디(Arimondi)가 지휘하는 이탈리아 부대였습니다.여기에는 정예 부대인 베르살리에리알피니 부대가 포함되어 있지만, 병력의 대부분은 최근 이탈리아의 대도시 연대에서 아프리카에서 복무하기 위해 새로 구성된 "다아프리카" 대대로 징집된 경험이 부족한 징집병들이었습니다.또한 아프리카에 영구적으로 복무하는 부대와 이탈리아 정착민들로부터 모집된 부대인 카치아토리 다아프리카에서 온 병력도 제한적이었습니다.[22][23]

역사학자 크리스 프라우티에 의하면:

그들은 불충분한 지도, 구식 총, 형편없는 통신 장비, 바위투성이의 지면을 위한 열등한 발 장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새로운 카르카노 모델 91 소총은 경제성이 부족한 바라티에리가 오래된 탄약통을 다 써버리기를 원했기 때문에 발행되지 않았습니다.)퇴역 군인들이 향수병을 앓고 있고, 새로 온 군인들은 경험이 부족해서 어떤 부대도 가질 수 없었습니다.노새와 안장이 부족했습니다.[24]

에리트레아의 이탈리아 작전단은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장군의 지휘 하에 있었습니다.참모장은 자치노 발렌자노 중령이었습니다.

  • 오른쪽 열: (소총 4,833정/대포 18문)[2] 제2보병여단 (장군 비토리오 다보르미다);[25]
    • 제3아프리카보병연대 ([26]Col.오타비오 라그니)
      • 제5아프리카보병대대 (Maj. Luigi Giordano)
      • 제6아프리카보병대대 (Maj. Leopoldo Prato)
      • 제10아프리카보병대대 (Maj. Gennaro De Fonseca)
    • 제6아프리카보병연대체사레 아이라기)
      • 제3아프리카보병대대 (Maj. Luigi Branchi)
      • 제13아프리카보병대대 (Maj. Alberto Rayneri)
      • 제14아프리카보병대대 (Maj. Secondo Solaro)
    • 원주민 기동 민병대 대대 (Maj. Lodovico De Vito)
    • 아스마라 치텟[27] 원주민 회사 (Cpt).알베르토 세르마시)
    • 제2포병여단 (Maj. Alberto Zola)
      • 제5산포병포대[28] (Cpt)주세페 모티노)
      • 제6산포병포대[28] (Cpt)주세페 레가찌)
      • 제7산포병대[28] (Cpt)비토리오 지슬라)
  • 중앙기둥: (소총 3,324정/대포 12문)[2] 제1보병여단 (주세페 아리몬디 장군);[25]
    • 제1아프리카 베르살리에리 연대[29] (Col.프란체스코 스테바니)
      • 제1아프리카 베르살리에리 대대 (마테오 데 스테파노 소령)
      • 제2아프리카 베르살글리에리 대대 (Maj. Lorenzo Compiano)
    • 제1아프리카보병연대우고 브루사티)
      • 제2아프리카보병대대 (Maj. Flaciano Viancini)
      • 제4아프리카보병대대 (Maj. Luigi De Amicis)
      • 제9아프리카보병대대 (Maj. Giuseppe Baudoin)
    • 원주민 제5대대 1중대 (Cpt)피에트로 파베시)
    • 제8산포병대[28] (Cpt)빈센조 로페레도)
    • 제11산포병대[28] (Cpt)조칸니 프란치니)
  • 좌측 열: (소총 4,339정/대포 14문)[2] 원주민 여단 (장군 마테오 알베르톤);[25]
  • 예비군열: (소총 3,032정/대포 12문)[2] 제3보병여단 (주세페 엘레나 장군);[25]
    • 제4아프리카보병연대지오반니 로메로)
      • 제7아프리카보병대대 (Maj. Alberto Montechi)
      • 제8아프리카보병대대 (Maj. Achille Violante)
      • 제11아프리카보병대대 (Maj. Sebastiano Manfredi)
      • 제12아프리카보병대대 (Maj. Rinaldo Amatutci)
    • 제5아프리카보병연대루이지 나바)
      • 제15아프리카보병대대 (Maj. Achille Feraro)
      • 제16아프리카보병대대 (Maj. Bugenio Vandiol)
      • 제1아프리카알피니대대 (중령)다비데 메니니)
    • 제3원주민대대 (중령)주세페 갈리아노)
    • 1차 속사포 포대 (Cpt.지오반니 아라뇨)
    • 2차 속사포 포대 (Cpt)도멘시오 마니아)
    • 사퍼스사

예산 제한과 공급 부족으로 인해 아프리카로 파견된 이탈리아 지원군에게 지급된 소총과 포병은 구식 모델인 반면 의류와 기타 장비는 종종 표준 이하였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최근 이탈리아에서 도착한 징집병대의 수송과 훈련은 에리트레아에 주둔한 경험이 풍부한 식민지 군대에 비해 열악했습니다.[32]

전투

2월 29일 밤과 3월 1일 새벽, 3개의 이탈리아 여단이 좁은 산길을 넘어 아드와를 향해 별도로 진격했고, 4개 여단은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33]다비드 레버링 루이스(David Levering Lewis)는 이탈리아군의 전투 계획에 따라 세 개의 기둥이 세 개의 산꼭대기(오른쪽 다보르미다, 왼쪽 알베르토네, 그리고 중앙의 아리몬디)로 평행하게 진군하는 것이 요구되었다고 말했습니다.각각의 기둥이 다른 기둥들에게 줄 수 있는 지지적인 십자포화는 다른 병사들을 면도칼처럼 치명적으로 만들었습니다.알버톤의 여단은 다른 사람들을 위해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었습니다.그는 키다네 메흐레트로 알려진 정상에 자신의 입지를 다질 예정이었습니다. 이는 이탈리아인들에게 에티오피아인들을 만날 수 있는 고지를 제공할 것입니다.[34]하지만, 이탈리아의 3개 여단은 밤새 행군하는 동안 분리되었고, 새벽이 되자 매우 어려운 지역의 수 마일에 걸쳐 퍼져나갔습니다.그들의 개략적인 지도는 알베르톤이 한 산을 키다네 메레트로 착각하게 만들었고, 정찰병이 그의 실수를 지적하자 알베르톤은 바로 에티오피아 진지로 진격했습니다.

아드와 전투에서 메넬리크 2세

바라티에리 장군이 모르는 사이, 메넬리크 황제는 그의 군대가 지역 농민들을 지원할 능력을 다 써버렸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다음날(3월 2일) 캠프를 떠날 계획이었습니다.황제는 라스 알룰라의 스파이들이 이탈리아군이 진격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을 때 일찍 일어나 신성한 지도를 위한 기도를 시작했습니다.황제는 귀족들의 군대를 따로 소집하고, 태후 타이투 베툴을 곁에 두고, 그의 군대를 전진시키라고 명령했습니다.네구스 테클 하이마노는 고잠에서 온 병력으로 우익을, 라스 멩게샤는 티그레이에서 온 병력으로 좌익을, 라스 마코넨은 병력으로 중앙을, 라스 미카엘은 월로 오로모 기병대를 이끌었습니다.아드와 바로 서쪽 언덕에 있는 보호구역에는 메넬리크 황제와 타이투 황후, 라스 올리에와 바그숨 관굴의 전사들이 있었습니다.[35][34]에티오피아군은 아드와 계곡이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위치해 있었고, 노출되어 있고 십자포화에 취약한 이탈리아군을 맞이할 수 있는 완벽한 위치에 있었습니다.[13]

알베르톤의 아스카리 여단은 06:00 에 에티오피아인들의 돌진을 처음으로 접했습니다.AM, 키데인 메렛 근처.엔다 키다네 메레트 언덕의 비탈에 위치한 알베르토네의 진격 지점에 가장 근접한 에티오피아 부대가 먼저 공격을 개시했습니다.알베르톤과 교전한 첫 번째 집단은 라스 멩게샤와 라스 알룰라가 지휘하는 티그레이 군대였습니다.그들은 즉시 네구스 테클 하이마노, 라스 마코넨, 라스 미카엘 휘하의 군대와 합류했고, 바그숨 광굴과 라스 올리에의 군대는 곧이어 올라왔기 때문에 에티오피아 군대의 상당 부분이 알베르톤의 고립된 아스카리 여단에 집중되었습니다.[36]처음에 이탈리아 포병은 발차 사포가 이끄는 에티오피아인들 중 일부가 아바 게리마 산 아래쪽에 신속한 하치키스 포를 배치할 때까지 에티오피아인들에게 많은 사상자를 입혔습니다.포 사격에서 알베르톤의 우위는 사라졌고, 그의 포병들이 에티오피아 포병들에게 학살당하면서 그의 총은 조용해졌습니다.[37][38]알베르톤이 수적으로 우세했던 아스카리스는 알베르톤이 항복할 때까지 2시간 동안 자리를 지켰고, 에티오피아의 압력으로 생존자들은 아리몬디의 여단으로 피신했습니다.아리몬디의 여단은 메넬리크가 25,000 셰완의 예비군을 풀어주고 이탈리아 수비군을 압도할 때까지 3시간 동안 이탈리아군의 진지를 계속해서 공격해 온 하라르, 티그레이, 월로, 곤다르, 라스타.아리몬디의 여단은 이제 부서져 도망쳤고, 장교들과 그들과 함께 남아있던 몇 명의 아스카리들은 곧 압도당했습니다.같은 순간 도착한 베르살리에리의 두 회사는 어쩔 수 없이 잘려 나갔습니다.[1]

아드와 전투를 기념하는 에티오피아 그림

바라티에리 장군은 전투에서 패배한 것을 깨닫고, 총후퇴를 명령했습니다.그는 엘레나 장군이 이끄는 이탈리아 예비군 부대의 마지막 미 투입 부대를 퇴각 지역으로 이동시키려고 했습니다.그러나 그들이 형성되기도 전에, 그들의 전선은 도망치는 이탈리아 병사들의 홍수로 인해 끊어졌습니다.예비군은 일관성 있는 방어를 할 기회가 없었고 몇 분 만에 압도당했습니다.[39]정오가 되자 이탈리아의 중앙은 완전히 무너졌고, 셰와와 월로에서 온 에티오피아 기병대는 도망치는 이탈리아인들을 무자비하게 추격했는데, 버클리는 목격자들의 말에서 "열정에 불타는 아비시니아인들이 죽음과 손실을 무릅쓰고 그들에게 달려들었다"고 기록했습니다.아리몬디 장군의 노새는 혼란 속에서 도망쳤고 아리몬디는 물론 거의 모든 장교들이 잘려 나갔습니다.[40]

다보르미다의 이탈리아 여단은 알베르톤을 지원하기 위해 이동했지만 제 시간에 그와 연락할 수 없었습니다.이탈리아군과 단절된 다보르미다는 바라티에리로부터 어떠한 연락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이탈리아군이 전멸되었다는 것을 알지 못했습니다.아리몬디 장군과 엘레나의 여단을 물리친 에티오피아군은 이제 다보르미다의 여단을 후방에서 포위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었습니다.4시30분까지다보르미다 총리는 아직도 나머지 군대의 참패를 모르고, 이제 포위망을 벗어나 북쪽으로 서둘러 철수하려는 필사적인 시도를 시작했습니다.그러나 그는 무심코 라스 미카엘 휘하의 월로 오로모 기병대가 그의 여단을 사실상 전멸시킨 좁은 계곡으로 자신의 지휘부를 행진시켰습니다.다보르미다의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이 지역에 사는 한 할머니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은 이탈리아 장교인 "총수, 안경과 시계를 가진 위대한 남자, 그리고 금빛 별들"에게 물을 주었다고 말했습니다.[41][42]

에티오피아 기병대가 추격을 포기하기 전에 바라티에리 휘하의 퇴각하는 부대는 9마일 동안 함락되었고, 가장 높은 언덕 꼭대기에 불을 붙여 지역 농민들에게 이탈리아군과 아스카리 족을 공격하라는 신호를 보냈습니다.바라티에리의 패배한 군대는 밤새 후퇴를 계속하여 벨레사 강을 건너 3월 4일까지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에 도달했습니다.전장으로 돌아온 에티오피아인들은 "모우여, 부드러운 풀을 베어내라!"라고 외치며 축하하고 있었습니다.티그레에 뿌려진 이탈리아의 옥수수는 메넬리크가 수확해서 새들에게 줬습니다!"[43]

즉각적인 여파

아드와 전투 후 이탈리아 생존자 2명
아드와 전투 후 아도 시움 코헤나에 있는 다보르미다 장군의 무덤

조지 버클리는 이탈리아군 사상자가 대략 6,100명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261명의 장교, 2,918명의 백인 NCO와 일병, 954명의 영구실종자, 그리고 약 2,000명의 아스카리가 있었다고 합니다.또 다른 1,428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는데, 이탈리아군 470명(31명 포함)과 아스카리 958명이 부상을 당했습니다.이탈리아인 1,865명과 아스카 2,000명을 포로로 잡았습니다.[44][45]리처드 코크는 사망한 이탈리아인의 수는 장교 300명, 이탈리아 계급 4,600명, 아스카리 1,000명으로 총 5,9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그리고 부상자들 중 1,000명이 탈출했고 최소 2,000명이 붙잡혔습니다.코크 대변인은 당시 수치를 인용해 에티오피아군의 사망자는 3,886명, 부상자는 6,000명이라고 밝혔습니다.[46]반면 버클리 대학은 에티오피아인의 사망자가 7,000명, 부상자가 10,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33][47]에리트레아로 가는 비행기에서 이탈리아인들은 그들의 포병과 11,000정의 소총은 물론 수송기의 대부분을 남겨두었습니다.[47]폴 B로서.헨제는 "메넬리크의 군대가 전투력으로서 온전한 동안 바라티에리의 군대는 완전히 전멸되었고 도망치는 이탈리아인들로부터 수천 개의 소총과 많은 장비를 얻었다"고 언급합니다.[48]

에티오피아인들에 의해 반역자로 간주된 800명의 에리트리아인 아스카리가 그들의 오른손과 왼발이 절단되었고, 일부는 거세되기도 했습니다.[49][50]아우구스투스 와일드는 전투 몇 달 후 전장을 방문했을 때, 잘린 손발 더미가 여전히 눈에 띄었는데, "무서운 잔재 더미"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51]게다가, 많은 아스카리들은 처벌에서 살아남지 못했고, 와일드는 아드와 근처가 어떻게 갓 죽은 시체로 가득 차 있는지에 대해 썼습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개울 강둑으로 기어갔고, 그곳에서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방치되어 있었고 죽음이 그들의 고통을 끝낼 때까지 악천후에 노출되었습니다."[52]

몇몇 학대 사례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포로들은 일반적으로 에티오피아인들에 의해 더 나은 대우를 받았습니다.포로 중에는 알베르톤 장군도 있었는데, 크리스 프루티는 알베르톤이 태후의 개인군 사령관 아자즈 자마넬의 보살핌을 받았고, "자신에게 텐트를 치고 말과 하인들을 데리고 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53][54]그러나 바샤 아보예의 죽음에 대한 보복으로 이탈리아 포로 70여명이 학살당했는데 학살 책임자가 메넬리크에 의해 수감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55][56]

이탈리아의 여론은 분노했습니다.[57]Chris Prouty는 이 뉴스에 대한 이탈리아의 반응을 대략적으로 소개합니다.

이탈리아에 재앙 소식이 전해졌을 때, 대부분의 주요 도시에서 거리 시위가 있었습니다.로마에서는 이러한 폭력 시위를 막기 위해 대학들과 극장들이 문을 닫았습니다.경찰은 크리스피 총리 관저 앞에 돌멩이를 살포하기 위해 출동했습니다.크리스피는 3월 9일 사임했습니다.나폴리에서의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가 소집되었습니다.파비아에서는 군중들이 기차가 역을 떠나지 못하도록 철길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했습니다.로마, 토리노, 밀라노, 파비아의 여성 연합은 아프리카의 모든 군대의 복귀를 요구했습니다.장례 미사는 알려진 사망자와 알려지지 않은 사망자들을 위해 축약되었습니다.가족들은 아드와 이전에 받은 신문에 편지를 보내기 시작했는데, 그들의 남자들은 그들의 열악한 생활 환경과 그들이 직면할 군대의 규모에 대한 두려움을 묘사했습니다.움베르토 국왕은 자신의 생일(3월 14일)을 애도의 날로 선포했습니다.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이탈리아인 공동체. 페테르부르크, 런던, 뉴욕, 시카고, 부에노스아이레스, 예루살렘은 사망자 가족들과 이탈리아 적십자를 위해 돈을 모았습니다.[58]

잔상

1897년 3월 송환을 기다리는 이탈리아 전쟁 포로들

메넬리크 황제는 패배한 이탈리아인들을 식민지에서 몰아내려고 시도함으로써 그의 승리를 따르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승리한 황제는 그의 요구를 우찰레 조약의 폐기 이상으로 제한했습니다.지배적인 세력 균형 속에서 황제의 중요한 목표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지키는 것이었습니다.게다가 에티오피아는 이제 막 길고 잔인한 기근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했습니다. 해럴드 마커스는 군대가 식량이 부족한 전장에서 오랫동안 복무한 것에 대해 긴장하고 있었고, 모든 이동을 기어들어가게 만들 짧은 비가 곧 내리기 시작할 것임을 상기시켜 주고 있습니다.[59]당시 메넬리크는 도망치는 병사들을 해치울 기병마가 부족하다고 주장했습니다.크리스 프라우티는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 모두 메넬리크의 신경 장애를 주장했다"고 지적했습니다.[60]루이스는 "바라티에리의 완전한 섬멸과 에리트레아로의 소탕이 이탈리아 국민들로 하여금 엉망이 된 식민지 전쟁을 국가적인 십자군 전쟁으로 바꾸도록 강요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오랜 안목에 의한 확신이었다"[61]고 믿고 있으며, 이는 그의 손을 막아냈습니다.

전투의 직접적인 결과로 이탈리아는 아디스아바바 조약을 체결하고 에티오피아를 독립 국가로 인정했습니다.거의 40년 후인 1935년 10월 3일 국제 연맹이 아비시니아 위기에 약한 대응을 한 후, 이탈리아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인 베니토 무솔리니의 지지를 받은 새로운 군사 작전을 시작했습니다.이번에 이탈리아군은 화학전뿐만 아니라 탱크와 항공기와 같은 매우 뛰어난 군사 기술을 사용했고, 에티오피아군은 1936년 5월에 패배했습니다.전쟁이 끝난 후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5년(1936-41) 점령한 뒤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영제국 군대와 에티오피아 아르베그노흐 게릴라에 의해 쫓겨났습니다.[62]

의의

헨제는 "아드와에서의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의 대립은 에티오피아 역사의 근본적인 전환점이었다"고 말합니다.[63]비슷한 관점에서 에티오피아의 역사학자인 바루 주드는 "아드와에서의 승리와 마찬가지로 현대 시대에 에티오피아를 전 세계의 주목을 받게 한 사건은 거의 없다"고 말했습니다.[64]

식민지 강국의 패배와 그에 따른 아프리카 주권 인정은 이후의 아프리카 민족주의자들과 범아프리카 운동의 활동가들과 지도자들에게 그들의 탈식민화 투쟁의 집결지가 되었습니다.[5]아프로센트릭 학자 몰레페 아산테의 설명에 따르면,

1896년 이탈리아에 승리를 거둔 후,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인들과 흑인들 모두의 눈에 특별한 중요성을 갖게 되었고, 이는 공개 전투에서 유럽의 식민지 강국을 성공적으로 물리친 유일한 생존 아프리카 국가였습니다.그들을 열등한 야만족으로 여겼던 이탈리아 정부는 무릎을 꿇었고, 그 결과 아프리카 국가인 에티오피아를 동등한 존재로 인정해야 했습니다.아도와 이후,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의 용맹과 저항의 상징이 되었습니다.유럽 정복의 완전한 충격을 경험하고 있었고 똑같이 끔찍한 불의를 겪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출신의 사람들을 향한 범아프리카주의의 강한 감각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흑인 열세에 대한 신화에 대한 답을 찾기 시작했던 수천 명의 아프리카인들에게 위신과 희망의 보루.그 당시와 수 세기 [65]전에

다른 한편으로, 많은 작가들은 이 전투가 이탈리아 군대에게 얼마나 굴욕적인 것이었는지를 지적했습니다.이탈리아 역사학자 트리포디는 이탈리아에서 파시즘의 발흥의 뿌리 중 일부는 이 패배로 돌아갔고 이탈리아 왕국의 군사적, 민족주의적 집단에 존재하기 시작한 패배를 "복수"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1936년 5월 이탈리아군이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했을 때 같은 무솔리니아두아 에벤디카타(Adua è vendicata, 아드와는 복수했습니다)를 선언했습니다.

실제로, 에티오피아 역사학의 한 학생인 Donald N. Levine은 이탈리아인들에게 Adwa는 "낙하산 지도자들이 복수하기 위해 애쓴 국가적 트라우마가 되었다"고 지적합니다.1935년 이탈리아의 부흥운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데도 적지 않은 역할을 했습니다."레빈은 또한 이번 승리가 "에티오피아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고립주의자들과 보수주의자들에게 격려를 주었고, 메넬리크와 하일레 셀라시 모두가 싸워야 할 저항인 현대 서구로부터 수입된 기술을 채택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사람들의 손을 강화시켰다"고 언급했습니다.[4]

아드와의 오늘날의 기념행사들

공휴일

아드와 승리의 날은 에티오피아 전역의 모든 지역 주와 전세 도시에서 공휴일입니다.보건시설을 제외한 모든 학교, 은행, 우체국, 관공서는 문을 닫습니다.일부 택시 서비스와 대중교통은 이날 운행을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가게들은 평소에는 문을 열지만 대부분 평소보다 일찍 문을 닫습니다.[66]

공식행사

아드와의 승리는 공휴일로 공공장소에서 기념됩니다.아디스아바바에서는 메넬리크 광장에서 정부 관계자, 애국자, 외교관, 일반 대중이 참석한 가운데 아드와의 승리를 기념합니다.에티오피아 경찰 오케스트라는 메넬리크 광장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애국 노래를 연주합니다.[67]

대중들은 에티오피아의 전통적인 애국적인 복장을 하고 있습니다.남성들은 종종 Jodhpurs와 다양한 종류의 조끼를 입습니다; 그들은 에티오피아 국기와 다양한 애국적인 현수막과 플래카드, 그리고 쇼텔이라고 불리는 에티오피아 전통 방패와 칼을 가지고 다닙니다.여성들은 암하라어로 Habesha kemis라고 알려진 수공예 에티오피아 전통 의상의 다양한 패턴으로 옷을 차려 입습니다.어떤 사람들은 전체적으로 검은 가운을 입고, 다른 사람들은 머리에 왕관을 씁니다.여성들의 복장은 남성들의 복장과 마찬가지로 에티오피아 애국 여성들의 전통적인 복장을 모방합니다.특히 주목할 것은 이러한 기념 행사 동안에 Taytu Betul 황후의 지배적인 존재입니다.[66][67]

황제 메넬리크 2세의 사랑 받고 영향력 있는 부인인 태후 타이투 베툴은 아드와 전투 동안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종종 간과되곤 했지만, 수천 명의 여성들이 아드와 전투에 참여했습니다.일부는 간호사로 훈련을 받아 부상자들을 돌보기도 했고, 주로 병사들에게 음식과 물을 끓여 공급하며 부상자들을 위로하기도 했습니다.[67]

아디스아바바 외에도 바히르 다르, 데브레 마르코스, 전투가 벌어진 아드와 마을 등 에티오피아의 다른 주요 도시들도 공공행사에서 아드와 승리를 자축합니다.[66]

기호

아드와 전투를 기념하는 동안, 녹색, 금색, 빨간색 에티오피아 국기, 메넬리크 2세 황제와 타이투 베툴 황후의 이미지, 그리고 고잠의 테클 헤이마노 , 월로의 미카엘 왕, 데자즈마흐 발차 사포, 그리고 당시의 유명한 왕들과 전쟁 장군들을 포함한 여러 이미지들과 상징들이 사용됩니다.피타와리 합테 기요르기스 디나그데, 피타와리 게베예후 등이 있습니다.살아남은 에티오피아 애국대대원들은 각기 다른 전장에서 참전을 위해 모은 다양한 메달을 착용합니다.젊은이들은 종종 메넬리크 2세 황제, 타이투 황후,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와 에티오피아 왕정의 다른 유명 인사들이 장식한 티셔츠를 입습니다.대중적이고 애국적인 노래들은 종종 앰프로 연주됩니다.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에지가예후 시바보의 아드와 전투에 헌정된 발라드테디 아프로의 인기곡 "티쿠르 세"인데, 이 곡은 문자 그대로 "흑인 또는 흑인"으로 번역되는데, 이것은 메넬리크 2세 황제가 유럽인들을 상대로 아프리카에서 거둔 결정적인 승리와 황제의 어두운 피부 안색에 대한 시적인 언급입니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메모들

각주

  1. ^ 선봉대 사령관과 맞먹습니다
  2. ^ 대략 킹과 맞먹습니다.

인용문

  1. ^ a b Mclachlan, Sean (20 September 2011).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p. 20. ISBN 978-1-84908-457-4.
  2. ^ a b c d e Abdussamad H. Ahmad and Richard Pankhurst (1998). Adwa Victory Centenary Conference, 26 February – 2 March 1996. Addis Ababa University. pp. 158–62.{{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3. ^ Woldeyes, Yirga Gelaw (29 February 2020). "The battle of Adwa: an Ethiopian victory that ran against the current of colonialism". The Convers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ne 2021. Retrieved 4 June 2021.
  4. ^ a b "'역사적' 사건으로 아드와 전투" 2009년 3월 5일 웨이백 머신, 에티오피아 리뷰, 2009년 3월 3일 보관 (2009년 3월 9일 검색)
  5. ^ a b Kinfe Abraham 교수, "아도와의 승리가 범아프리카와 범흑의 반식민지 투쟁에 미친 영향", 에티오피아 연구소, Addis Ababa University, 2006년 2월 8일 연설
  6. ^ Piero Pastoretto. "Battaglia di Adua" (in Ital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y 2006. Retrieved 4 June 2006.
  7. ^ Harold G. Marcus, The Life and Times of Menelik II: Ethiopia 1844-1913, 1975 (Lawrenceville: Red Sea Press, 1995), p. 170
  8. ^ David Levering Lewis, The Race for Fashoda (뉴욕: Weidenfeld & Nicolson, 1987), 페이지 116. ISBN 1-5584-058-2
  9. ^ a b c d e f g h i McLachlan, Sean (2011).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Osprey Publishing. p. 42.{{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10. ^ Mclachlan, Sean (20 September 2011).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p. 22. ISBN 978-1-84908-457-4.
  11. ^ Pankhurst는 다음과 같은 추정 자료를 한 권 출판하였습니다. 에티오피아의 경제사 (Addis Ababa:Haile Selassie University, 1968), pp. 555-57.울리그, 지그버트, 에드 참조.Aethiopica 백과사전: A–C.비스바덴:Harrassowitz Verlag, 2003, 페이지 108.
  12. ^ 페트리데스(Pétridès, Pankhurst)는 다음과 같이 부대의 수를 (추정치로 100,000명 이상) 줄였습니다: 메넬리크 황제 휘하의 35,000명의 보병 (총병 25,000명과 창병 10,000명)과 8,000명의 기병; 타이투 황후 휘하의 5,000명의 보병; 라스 웨일 휘하의 8,000명의 보병 (총병 6,000명과 창병 2,000명).라스 멩게샤 아티켐 휘하의 소총수와 3,000명), 라스 멩게샤 요하네스와 라스 알룰라 엔기다 휘하의 소총수 5,000명, 기병 3,000명, 월로의 라스 미카엘 휘하의 소총수 6,000명, 창수 5,000명, 오로모 기병 5,000명, 라스 마코넨 휘하의 셰완 소총수 15,000명, 피타와리 게베예후 고라 휘하의 암하라 보병 8,000명, 소총수 5,000명.n, 고잠의 네구스 테클 헤이마노 휘하의 창병 5,000명, 기병 3,000명, 폰 울리그, 백과사전, 109쪽.
  13. ^ a b c 울리그, 지그버트, 에드.Aethiopica 백과사전: A–C(위스바덴:Harrassowitz Verlag, 2003), 페이지 108.
  14. ^ a b Richard Caulk, "하이에나의 사이": 에티오피아의 외교사 (1876–1896), p. 563
  15. ^ 레이먼드 조나스, "아드와 전투"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pp. 648
  16. ^ Paulos Milkias, Getachew Metferia 아드와 전투: 유럽 식민주의에 맞선 에티오피아의 역사적 승리에 대한 성찰 Google Books" 2023년 3월 16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2005. p. 53.
  17. ^ Paulos Milkias, Getachew Metferia 아드와 전투: 유럽 식민주의에 맞선 에티오피아의 역사적 승리에 대한 성찰 Google Books" 2023년 3월 16일 Wayback Machine: 2005. p. 77.
  18. ^ Molla Tikuye, Yaju 왕조의 흥망성쇠 1784-1980, p.
  19. ^ 마커스, 메넬릭 2세, 173쪽
  20. ^ Lewis, Fashoda, pp. 116f.그는 그들의 숫자를 10,596명의 이탈리아 장교와 군인 그리고 7,104명의 에리트레아 아스카리스로 분류합니다.
  21. ^ Thomas Pakenham, p. 481 The Scramble for Africa, ISBN 0-349-10449-2
  22. ^ 조지 Fitz-Hardinge Berkley Adowa의 캠페인과 런던 메넬릭의 부상:1901년 순경.
  23. ^ Raffaele Ruggeri, p. 82 르 게레 콜로니얼리 이탈리아어 1885/1900, Editrice Militare 이탈리아어 1988
  24. ^ Prouty, Chris (1986). Empress Taytu and Menilek II. Trenton: The Red Sea Press. p. 155. ISBN 0-932415-11-3.{{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25. ^ a b c d Voghera, Enrico (1896). Annuario militare del regno d'Italia: Anno 1896 (in Italian). Vol. 1. Rome: Giornale Milita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23. Retrieved 21 September 2022.
  26. ^ 이탈리아 국가 부대는 식민지에서 복무하기 위해 육군의 정규 보병 연대에서 선발된 인원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7. ^ 원주민 봉건 부담금.
  28. ^ a b c d e 라이트 75mm 동소총 6발, 브레이크 로딩 마운틴 호이저 Mod.75B
  29. ^ 식민지에서 복무하기 위해 결성된 이탈리아 국가 부대는 육군의 정규 베르살리에리 연대에서 선발된 인원으로 구성되었습니다.
  30. ^ a b c 6대의 가벼운 75mm 청동 소총이 산탄총 Mod.75B.
  31. ^ 가벼운 75mm 청동 라이플 2발, 산속 호이저 Mod.75B
  32. ^ Mclachlan, Sean (20 September 2011).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pp. 40–41. ISBN 978-1-84908-457-4.
  33. ^ a b Uhlig, 백과사전, 109쪽.
  34. ^ a b Lewis, Fashoda, 117쪽
  35. ^ "Sean McLachlan,page 15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The Italian Disaster in Ethiopia""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18. Retrieved 2 March 2019.
  36. ^ Berkeley, George (1902). The Campaign of Adowa and the Rise of Menelik. University of California. p. 281.{{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37. ^ Milkias, Paulos; Metaferia, Getachew (2005). The Battle of Adwa: Reflections on Ethiopia's Historic Victory Against. Algora. p. 286. ISBN 9780875864150.
  38. ^ Berkeley, George (1902). The Campaign of Adowa and the Rise of Menelik. University of California. p. 281.{{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39. ^ Mclachlan, Sean (20 September 2011).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p. 22. ISBN 978-1-84908-457-4.
  40. ^ Milkias, Paulos (2005). The Battle of Adwa Reflections on Ethiopia's Historic Victory Against European Colonialism. Algora. pp. 60 and 62. ISBN 9780875864150.
  41. ^ George Fitz-Hardinge Berkeley, Campaign of Adowa (1902), Lewis, Fashoda, p. 118에서 인용.
  42. ^ Milkias, Paulos (2005). The Battle of Adwa Reflections on Ethiopia's Historic Victory Against European Colonialism. Algora. pp. 60 and 62. ISBN 9780875864150.
  43. ^ Mclachlan, Sean (20 September 2011).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p. 22. ISBN 978-1-84908-457-4.
  44. ^ Berkeley, George. The Campaign of Adowa and the rise of Menelik. p. 345.
  45. ^ Mclachlan, Sean (20 September 2011).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p. 22. ISBN 978-1-84908-457-4.
  46. ^ Caulk, Richard (2002). "Between the Jaws of Hyenas": A Diplomatic History of Ethiopia (1876-1896). Harrassowitz Verlag, Wiesbaden. pp. 563, 566–567.{{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47. ^ a b 팬크허스트.에티오피아인들, 191-92쪽.
  48. ^ Henze, 시간의 층들: 에티오피아의 역사 (뉴욕: Palgrave, 2000), p. 170.
  49. ^ "Photo of some of the Eritrean Ascari mutilat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18. Retrieved 3 March 2019.
  50. ^ McLachlan, Sean (20 September 2011).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p. 23. ISBN 978-1-84908-457-4.
  51. ^ 아우구스투스 B와일드, 현대 아비시니아 (런던:Methuen, 1901), 페이지 213.
  52. ^ Wilde, Modern Abysinia, 페이지 214
  53. ^ McLachlan, Sean (20 September 2011).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p. 23. ISBN 978-1-84908-457-4.
  54. ^ Prouty, Chris. Empress Taytu and Menilek II. Ravens Educational & Development Services. p. 169.
  55. ^ Ilg, Alfred (2000). Tafla, Bairu (ed.). Ethiopian records of the Menilek era: selected Amharic documents from the Nachlass of Alfred Ilg, 1884-1900. p. 460. ISBN 9783447042581. ISSN 0170-3196. {{cite book}}: work=무시됨(도움말)
  56. ^ Richard Caulk, "하이에나의 사이": 에티오피아의 외교사 (1876–1896), p. 568
  57. ^ Giuseppe Maria Finaldi, 이탈리아 국가 정체성 아프리카 쟁탈전: 국가 건설 시대의 이탈리아 아프리카 전쟁, 1870-1900 (2010)
  58. ^ 프라우티, Taytu 황후, pp. 159f.
  59. ^ 마커스, 메넬릭 2세, 176쪽.
  60. ^ 프라우티, 타이투 황후, 161쪽.
  61. ^ 루이스, 파쇼다, 120쪽.
  62. ^ Roberts, A.D. (1975).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 7.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40. ISBN 0-521-22505-1.
  63. ^ Henze, Layers of Time, p.180
  64. ^ Bahru Zewde, 현대 에티오피아의 역사 (런던: James Currey, 1991), p. 81.
  65. ^ 몰레페 아산테, 로드니 워렐, 바베이도스 범아프리카주의에서 인용, (뉴 아카데미아 출판: 2005) p. 16
  66. ^ a b c "Ethiopia Celebrates Victory of Adow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y 2019. Retrieved 3 March 2019.
  67. ^ a b c "Adwa victory 122 anniversary colorfully celebrated in Addis Ababa". 2 March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9. Retrieved 3 March 2019.

참고문헌

  • Berkeley, G.F.-H. (1902) Adowa의 캠페인과 Menelik의 부상, 웨스트민스터: A.콘스터블, 403쪽, OCLC 11834888
  • Brown, P.S. and Yirgu, F. (1996) Adwa 1896, Chicag 1896, Chicago:Nyala Publishing, 160 pp, ISBN 978-0-9642068-1-6
  • Bulatovich, A.K. (nd) Menelik II 군대와 함께: Richard Seltzer 옮김, OCLC 454102384, 에티오피아에서 루돌프 호수까지의 탐험기
  • Bulatovich, A.K. (2000) 러시아의 눈으로 본 에티오피아: 전환의 나라, 1896–1898, Richard Seltzer 옮김, 로렌스빌, N.J.: Red Sea Press, ISBN 978-1-5690211-7-0
  • Henze, P.B. (2004) 시간의 층: 에티오피아의 역사, 런던:Hurst & Co., ISBN 1-85065-522-7
  • 요나스, R.A. (2011) 아드와 전투: 제국 시대의 아프리카 승리, 하버드 대학 출판부 벨냅 출판, ISBN 978-0-6740-5274-1
  • Lewis, D.L. (1988) 파쇼다를 향한 경주: 아프리카 쟁탈전에서의 유럽 식민주의와 아프리카 저항, 1sted., 런던:블룸스베리, ISBN 0-7475-0113-0
  • 마커스, H.G. (1995) 메넬릭의 삶과 시대 II: 에티오피아, 1844-1913, 로렌스빌, 뉴저지:홍해 프레스, ISBN 1-56902-010-8
  • Pankhurst, K.P. (1968) 에티오피아 경제사, 1800-1935, 아디스아바바:Haile Sellassie I University Press, 772 pp, OCLC 65618
  • Pankhurst, K.P. (1998) The Ethiians: A History, The People of Africa Series, 옥스포드: Blackwell Publishers, ISBN 0-631-22493-9
  • Rosenfeld, C.P. (1986) Taytu 황후와 Menelik II: Ethiopia 1883–1910, 런던: Ravens Educational & Development Services, ISBN 0-947895-01-9
  • Uhlig, S. (ed.) (2003) Aethiopica 백과사전, 1 (A-C), 비스바덴:Harrassowitz, ISBN 3-447-04746-1
  • Worrell, R. (2005) 바베이도스의 범아프리카주의: 워싱턴 DC 바베이도스의 20세기 범아프리카 주요 지층의 활동 분석: New Academy publishing, ISBN 0-9744934-6-5
  • Zewde, Bahru (1991) 현대 에티오피아의 역사, 1855–1974, 동아프리카 연구 시리즈, 런던:Currey, ISBN 0-85255-066-9
  •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 2세 군대와 함께 www.samizdat.com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