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nded-protected article

차윈다 전투

Battle of Chawinda
차윈다 전투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Sculpture showing Indo-Pak war.jpg
인도-파키스탄 전쟁을 보여주는 조각품
차윈다와 주변 환경
날짜.1965년 9월 14일
1965년 9월 18일-19일
(1일)[1][2][3][4][5]
위치
파키스탄 펀자브 , 차윈다
32°23°03°N 74°43°30°E/32.38417°N 74.72500°E/ 32.38417, 74.72500
결과미결정[6]
교전국
파키스탄 인도
지휘관 및 리더
관련 유닛
파키스탄 1군단
기병 부대:
  • 제10기병대(44배속 M48패턴)
  • 제11기병대(44배속 M48패턴)
  • 제22기병대 (M48패턴 44배)
  • 제25기병대 (M48패턴 44배)
  • 33번째 TDU Sqdn (15x 셔먼)
  • 19번째 랜서 (M48 Pattons 44배)
인도 1군단
기병 부대:[7][8]
  • 보병 30,000 ~50,000
  • 탱크 132대(및 보강)[9]
  • 80,000 ~ 150,000 보병
  • 탱크 260대[10]
사상자 및 손실
  • 탱크 손실:
    • 중립 클레임: 60[11]
    • 인도 청구: 155[12]
      (11명 아웃, 11명 생포)
    • 파키스탄의[13] 주장: 44
  • 탱크 손실:
    • 중립 클레임: 100[11]
    • 인도[12] 클레임: 70
      (파괴 29건, 파손 41건)
    • 파키스탄의 주장: 120[13]
Chawinda is located in Punjab, Pakistan
Chawinda
차윈다
Chawinda is located in Pakistan
Chawinda
차윈다

차윈다 전투제2차 카슈미르[b] 전쟁에서 시알코트 캠페인의 일환으로 파키스탄과 인도 사이의 주요 교전이었다.그것은 2차 [14]세계대전에서 소련나치 독일 사이에 벌어진 쿠르스크 전투 이후 역사상 가장 큰 탱크 전투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차윈다에서의 초기 충돌은 필로라 전투와 동시에 일어났으며, 필로라에서 파키스탄군이 후퇴하자 이곳의 교전은 더욱 치열해졌다.전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1965년 전쟁의 [15][16]적대관계를 공식적으로 종식시킬 즉각적인 휴전을 명하기 직전에 끝났다.

시알콧 캠페인

Sialkot 캠페인은 인도가 파키스탄의 잠무와 카슈미르(J&K)[10] 진출에 대항하기 위해 고안한 리포스테 전략의 일부였다.그것은 마랄라-라비 [17][18][c]운하를 따라 시알코트를 포위할 목적으로 삼바(J&K)나 데라 바바 나낙(인도 펀자브)에서 진격하여 잠무를 구원할 것을 요구했다.

이 운하는 J&K와 파키스탄 접경지역인 체나브강의 마라라 본사에서 출발해 시알코트의 서쪽과 남쪽을 지나 나랑만디 마을 인근 라비강으로 흘러들어간다.

GOC 서부 사령부 장군입니다.Harbakhsh Singh는 제1기갑사단을 이용하여 Dera Baba Nanak에서 작전을 개시하는 것을 선호했다.그러나 그는 육군참모총장 J. N. 차드후리에 의해 무시당했고, 차드후리는 팻 던 중장의 지휘 하에 새로운 1군단을 창설했다.그것은 [22]삼바에서 운영될 것이다.

던 대장은 여러 부대를 배치받았다.라진더 싱 소장이 지휘하는 제1기갑사단과 더불어 그는 다음과 같은 [23][24]임무를 수행했다.

  • S. K. 콜라 소장이 지휘하는 제6 산악 사단
  • 란지트 싱 소장이 지휘하는 제14보병사단과
  • M. L. 타판 소장이 지휘하는 26 보병 사단

1965년 9월 교전이 발발했을 때 새로운 군단은 여전히 편성 중이었다.일부 부대는 다른 [25]곳에 병력을 묶어 전력이 부족했다.인도의 공식 역사에 따르면, 그 군대는 11개의 보병 여단과 6개의 탱크 [26][d]연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파키스탄 방위

인도군의 공격에 반대하는 파키스탄군은 바흐티아르 라나 중장이 이끄는 파키스탄 1군단의 일부였다.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27]

  • 아바르 후세인 소장이 지휘하는 제6기갑사단,
  • 준위 휘하의 제4포병단암자드 알리 칸 초두리 (제6기갑사단 소속)
  • 준위 휘하의 제15보병사단에스엠 이스마일

제15보병사단은 각각 4쌍의 여단과 기갑연대로 구성된 보병 및 기갑병력이 혼합된 부대였다.하지만, 인디언 작전이 [27]시작되었을 때, 4쌍 중 1쌍만이 분쟁 지역에 있었다.그들은 차윈다와 그 주변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제24여단은 Brig가 지휘했다.압둘 알리 말릭과 25 기병대는 중령이 이끌었다.니사르 아흐메드 칸.[28]

제6기갑사단은 보통 구즈란왈라에 주둔하고 있었으며,[29] 전쟁에 대비해 파스루르로 이동했다.그것은 3개의 기병 연대를 가지고 있었다: 10 기병 연대 (가이드 기병이라고도 불린다), 22 기병 연대 그리고 11 [30][31]기병 연대.제11기병대는 제4포병단과 함께 작전 개시 당시 그랜드슬램 작전의 일환으로 챔브에 있었다.그 부대는 9월 8일까지 필로라 근처에 회수되어 배치되었다.

나중에 증원된 부대에는 제8보병사단과 제1기갑사단이 [citation needed]있었다.

배틀

기자들이 차윈다에 버려진 인디언 백부장을 조사하다

인도 1군단의 주요 타격 부대는 제1기갑사단으로, 제14보병사단과 제6산악사단의 지원을 받았다.인도군은 1965년 9월 7일 국경 지역을 점령했다.그 후 자소란에서 짧은 교전이 벌어졌고, 파키스탄인들은 약 10대의 탱크 형태로 손실을 입었고, 결과적으로 시알코트-파스루르 [32][failed verification]철도에 대한 인도의 완전한 지배권을 확보했다.

시알코트에서 인도인들의 심각한 위협을 인식한 파키스탄인들은 파키스탄 제7보병사단을 지원하기 위해 참브, 인도령 잠무, 카슈미르(현재는 파키스탄령 아자드 잠무와 카슈미르)에서 시알코트 지역으로 6기갑사단의 2개 연대를 급파했다.독립 전차 구축함대의 지원을 받은 이들 부대는 M47과 M48 패튼 24대, M36B1 15대, 나머지 셔먼 등 약 135대의 탱크에 달했다.미국 패튼의 대다수는 니사르 아흐메드 칸 중령이 지휘하는 새로운 25 기병대에 속했고, 이 기병대는 차윈다로 파견되었다.인도 제1기갑사단과 파키스탄 제25기병연대 사이의 가드고르 마을 주변에서의 격렬한 교전으로 인해 인도군의 진격이 [citation needed]중단되었다.

인도의 계획은 시알코트와 파키스탄 제6기갑사단 사이에 쐐기를 박는 것이었다.당시 이 지역에는 파키스탄 연대가 1개밖에 없었고, 43로리 보병 여단이 이끄는 인도 제1기갑사단의 돌격과 탱크 연대가 Gat을 공격하면서 전멸했다.인도 제1기갑여단의 대부분은 필로라 쪽으로 내던졌다.파키스탄의 공습으로 인디언 탱크 부대가 큰 피해를 입었고 트럭 부대와 보병 부대가 큰 피해를 입었다.이 지역의 지형은 라호르 주변 지역과는 매우 달랐고, 먼지가 상당히 많았으며, 따라서 인도군의 공격은 차와-필로라 [citation needed]도로의 증가하는 먼지 기둥으로 인해 파키스탄 25 기병대에 분명했다.

인도군은 1965년 9월 10일 여러 군단 규모의 공격으로 공세를 재개해 파키스탄군을 차윈다 기지로 밀어내는 데 성공했고, 인도군의 진격은 결국 중단됐다.필로라에서의 파키스탄의 반격은 큰 손실과 함께 격퇴되었고, 그 후 파키스탄은 방어 태세를 갖추었습니다.이 시점에서 파키스탄인들의 상황은 매우 위험했다; 인도인들이 그들보다 10대 [citation needed]1로 우세했다.

그러나 파키스탄의 상황은 증원군이 도착함에 따라 개선되었고, 카슈미르에서 독립한 두 여단인 제8보병사단, 그리고 더 결정적으로 제1기갑사단으로 [clarification needed]구성되었다.이후 며칠간 파키스탄군은 차윈다에 대한 인도의 공격을 격퇴했다.9월 18일 인도 제1기갑사단과 제6산악사단이 참여한 인도군의 대규모 공격은 격퇴되었고, 인도군은 큰 손실을 입었다.그 후, 9월 21일, 인디언들은 원래 [where?]교두보 부근의 방어 위치로 철수했고, 인도의 진격하는 사단이 후퇴하면서, 그 [33]전선에 대한 모든 공격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파키스탄 장교들은 인디언들의 후퇴에 비추어 "감는 작전"이라고 불리는 반격 계획에 거부권을 행사했다.파키스탄 총사령관에 따르면, "양측 모두 탱크 손실이 컸고... 전략적으로 중요하지 않았을 것"과 "결정이..."으로 인해 작전은 취소되었다.당시 파키스탄 정부는 휴전과 외국이 후원하는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정치적 동기가 있었다.[10]

결과

이 전투는 [34]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큰 탱크 전투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왔다.1965년 9월 2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양국[15][35]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휴전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전쟁은 다음날 끝났다.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두 나라에 대한 국제적인 군사 및 경제적 원조는 중단되었다.파키스탄[5]유엔 휴전을 수용한 아살 우타르와 차윈다 전투에서 군사력의 쇠퇴와 심각한 후퇴를 겪었다.

9월 23일 1965년 교전 중단에 이어인도 영토의 시알코트 부문(비록 중립 분석에 460km2에(180평방미터의 mi를 기록해))에, Phillora, 데올리, Bajragarhi, Suchetgarh, Pagowal, Chaprar, Muhadpur과 Ti의 도시와 마을을 포함한 파키스탄 영토에 대해 518km2(200sq mi)개최되지 주장했다.(1966년 [36][37][2]1월 타슈켄트 선언에 서명한 후 모두 파키스탄으로 반환되었다.

공개된 계정

다큐멘터리

차윈다 전투 - 1965년 인도 박 전쟁 - 아데시르 타라포르 중령 (2018년)은 디스커버리 [38][39]인디아에 의해 비어에서 초연된 인도의 TV 다큐멘터리이다.

메모들

  1. ^ [아브라 후세인]은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고 젊은 육군 중위로서의 용감함으로 MBE를 수상했다.이후 1965년 시알코트의 차윈다에서 인도군과 유명한 탱크 전투를 벌여 파키스탄 [citation needed]영토에 침입한 인도군의 전진을 저지한 제6기갑사단의 일원으로 보병여단을 이끈 공로로 용맹상 힐랄-이-주라트를 받았다.
  2. ^ 그것은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이라고도 불린다.
  3. ^ 파키스탄군은 오랫동안 인도의 목표가 와지라바드의 그랜드 트렁크 로드(Grand Trunk Road)를 끊는 것이라는 이론을 고수해왔다.그랜드 트렁크 로드는 예를 들어 이슬라마바드와 [19][20]라호르를 연결하는 남북 주요 고속도로입니다.일부 서방 군사 분석가들도 이 [21]이론을 재현하고 있다.
  4. ^ 그러나 역사에는 4개의 말, 16개의 캐브, 17개의 말, 2개의 랜서, 62개의 [25]캐브 등 5개의 탱크 연대만 나열되어 있다.

레퍼런스

  1. ^ Jogindar Singh (1993). Behind the Scene: An Analysis of India's Military Operations, 1947-1971. Lancer Publishers. pp. 217–219. ISBN 1-897829-20-5. Retrieved 12 January 2015.
  2. ^ a b 차크라보티 1992a.
  3. ^ Abrar Hussain (2005). Men of Steel: 6 Armored Division in the 1965 War. Army Education Publishing House. pp. 36–52. ISBN 969-8125-19-1.
  4. ^ 나와즈 2008, 페이지 227-230.
  5. ^ a b 크리슈나 라오 1991년
  6. ^ 교착 상태를 평가하는 출처:
    • 마누스 나Midlarsky(2011년).정치 극단주의의 원인:미사 폭력은 20세기와 비욘드에.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p. 256.아이 에스비엔 9781139500777.:"몇몇 주요 탱크 전투, 한 Khem 카란 펀자브에서 대규모 파키스탄의 패배를 굴복과 다른 Chawinda 시점에 결과가 완료되지는 않았지만 600여대의 탱크와 관련된 싸울 것이다.".
    • Clodfelter, 마이클(2017년).Warfare과 무력 충돌:관한 통계적 백과 사전 Casualty과 다른 그림, 1492–2015, 4판맥팔 랜드. 600p..아이 에스비엔 9781476625850.:"최대 600명에 탱크들은 그 전투에서 참여한 것처럼 주로 Phillora과 Chawinda, 9월 11–12를 올렸으나, 큰 이유가 어느 쪽도 제대로 보병 부대와 함께 그들의 갑옷을 뒷받침하는 결과, 우유부단하고들과 싸웠다.".
    • Hasan, Zubeida (Fourth Quarter 1965), "The India-Paktstan War — A summary account", Pakistan Horizon, 18 (4): 344–356, JSTOR 41393247: "양측이 서로에게 큰 손실을 입혔다고 주장하는 며칠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전쟁은 이 전선에서 교착상태에 이르렀다."
  7. ^ 잘로가 1980, 19페이지
  8. ^ 바루아 2005, 191페이지
  9. ^ Philip, Snehesh Alex (12 August 2019). "How Pakistani Lt Col Nisar Ahmed won over Indian peers after stalling their advance in 1965". ThePrint. Retrieved 28 November 2020.
  10. ^ a b c Amin, Major A.H. "Battle of Chawinda Comedy of Higher Command Errors". Military historian. Defence journal(pakist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11. Retrieved 12 July 2011.
  11. ^ a b Clodfelter, Micheal (2017).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4th ed. McFarland. p. 600. ISBN 9781476625850.
  12. ^ a b 차크라보티 1992a, 페이지 221
  13. ^ a b 잘로가 1980, 페이지 35
  14. ^ Michael E. Haskew (2 November 2015). Tank: 100 Years of the World's Most Important Armored Military Vehicle. Voyageur Press. pp. 201–. ISBN 978-0-7603-4963-2.
  15. ^ a b Pradhan 2007.
  16. ^ "Indo-Pakistan War of 1965". GlobalSecurity.org. Retrieved 2 June 2012.
  17. ^ 바루아 2005, 190페이지
  18. ^ 2013년 싱 제1부 32~33항
  19. ^ Bajwa 2013, 페이지 254–255.
  20. ^ 크리슈나 라오 1991, 페이지 129
  21. ^ Zaloga 1980, 페이지 22-23.
  22. ^ Pradhan 2007, 49-50페이지.
  23. ^ Pradhan 2007, 50페이지
  24. ^ 바좌 2013, 페이지 252~253.
  25. ^ a b 차크라보티 1992a, 194페이지
  26. ^ 차크라보티 1992a, 페이지 223
  27. ^ a b 바좌 2013, 페이지 253-254.
  28. ^ 나와즈 2008, 페이지 224, 225
  29. ^ 나와즈 2008, 페이지 224: "인도의 공격 소식이 전해졌을 때, 그는 1군단의 예비군으로서 9월 6일/7일 밤에 군대를 파스루르로 이동시키라는 지시를 받았다.이사는 야간에 일어났다.그리고 자정에 사단 직원들은 9월 7일 05시까지 구즈란왈라 주변의 이전 위치로 돌아가라는 지시를 받았다.GHQ는 상당히 독단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30. ^ 히긴스 2016, 페이지 46
  31. ^ 바좌 2013, 페이지 253-254.바좌는 제11기병대를 제6기갑사단의 일원으로 등록하지 않았다.그러나 그것은 9월 8일부터 그 지휘하에 들어갔다고 한다.
  32. ^ Gupta, Hari Ram (1946). India-Pakistan war, 1965, Volume 1. Haryana Prakashan, 1967. pp. 181–182 – via archive.org.
  33. ^ Barua 2005, 192페이지
  34. ^ Bhattacharya, Brigadier Samir (19 December 2013). Nothing But! Book Three What Price Freedom. p. 490. ISBN 9781482816259. Retrieved 19 December 2014.
  35. ^ Midlarsky, Manus I. (2011). Origins of Political Extremism: Mass Viol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1st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56. ISBN 978-0521700719.
  36. ^ 차크라보티 1992b.
  37. ^ Singh, Lt. Gen.Harbaksh (1991). War Despatches. New Delhi: Lancer International. p. 159. ISBN 81-7062-117-8.
  38. ^ "Battle of Chawinda -Indo Pak War 1965 - Lieutenant Colonel Ardeshir Tarapore". Veer by Discove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December 2021. Retrieved 6 May 2018.
  39. ^ "This R-Day, get ready for Discovery channel's 'Battle Ops'". The Hindu. 25 January 2018. Retrieved 22 April 2018.

참고 문헌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