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티누보바 전투
Battle of Cortenuova코르티누보바 전투 | |||||||
---|---|---|---|---|---|---|---|
구엘프스와 지벨리네스의 일부 | |||||||
코르투보바 해전을 묘사한 14세기 미니어처. | |||||||
| |||||||
호전성 | |||||||
![]() 시칠리아 왕국 지벨라인스 | 롬바르드 리그 | ||||||
지휘관과 지도자 | |||||||
프레데릭 2세 | 피에트로 티에폴로 굴리엘모 1세 다 리졸리오 | ||||||
힘 | |||||||
10,000–15,000 2000~3000명의 독일인 (홀리 로마 제국) [1][2] 7,000–1만 사라센스 (시칠리아의 왕) [1][2][3][4] 801 기벨린 (베로나와 롬바르디) [1][2][5] | 8,000–20,000 (롬바르디 콤무스) [1][3][6] | ||||||
사상자 및 손실 | |||||||
알 수 없는 | 수천명이 죽었다. 4,093년 생포 |
코르투메노바 전투(때로는 코르테노바라고 표기하기도 함)는 1237년 11월 27일 겔프스와 지벨린 전쟁 과정에서 전투되었다: 그 속에서 신성로마 황제 프레데릭 2세는 제2차 롬바르 리그를 격파했다.[9]
배경
1235년 프레데릭 황제는 그의 아들 헨리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독일에 있었다. 그해 가을, 그는 롬바르드 공동체를 탄압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는데, 이 공동체는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지지를 받아 그의 권위를 다투고 있었다.[10] 베로나 근처 발레기오에 도착하였고, 에즐리노 3세와 기타 지벨리네 지도자들의 도움으로 비첸차 시를 축출하였다. 이 첫 결과에 만족한 그는 또 다른 독일 왕자들의 반란을 다루기 위해 독일로 돌아왔고, 테우토닉 기사단의 거장 헤르만 폰 살자를 이탈리아에 남겨두고 상황을 감시했다.[9]
1237년 8월, 황제는 다시 이탈리아로 돌아왔고, 이번에는 확실히 제2 롬바르드 리그를 격파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 그는 알프스를 넘어 베로나로 향했고, 여기에 그의 2000명의 기사들은 트레비소, 파두아, 비첸차, 베로나 자체의 병사들을 포함한 에즐리노 3세의 다 로마노 부대와 아르슈타인의 가보드가 이끄는 투스카인 병사들이 합류했다. 이후 시칠리아 왕국의 보병과 기병 6천 명이 왔고, 아풀리아 무슬림 궁수들을 포함했다.[11] 나머지 군대는 크레모나, 파비아, 모데나, 파르마, 레지오 출신의 지벨리인들이 총 1만2천~1만5천 명을 대상으로[10] 결성하였다.
제국군은 먼저 해고를 당하지 않고 항복하기로 한 만투아에 맞서 진군한 다음,[9][12] 정식으로 항복하지 않는 대가로 귀족 평의회가 같은 결정을 내린 베르가모까지 진군했다.[9] 프레데릭은 그 후 브레시아의 영토를 침공하여 고이토와 몽티치아리를 다른 것들 중에서 사로잡았지만, 롬바르드 리그의 대부분의 군대가 브레시아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다.[10] 밀라노의 포데스타이자 베네치아 도지의 아들인 피에트로 티에폴로가 이끄는 2,000나이트와 6,000유방[10] 강군은 [9]마네르비오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였다(1237년 11월). 양군은 기사의 효험을 좌절시키는 습지에 의해 분리되어 싸우지 않고 보름 동안 대치하고 있었다. 군량이 부족해지고 있던 프레데릭은 더욱 유리한 위치를 찾아 진영을 떠났고, 1237년 11월 24일 손시노에서 적의 움직임을 기다리기 위해 북쪽으로 진군하여 오글리오 강을 건넜다.[9][12]
전투
롬바드 족은 황제가 교묘하게 퍼뜨린 소문에 의하면 그가 크레모나로 철수하여 그곳에서 겨울을 보내고 있다고 믿었다.[9] 그래서 그들은 겨울 숙소를 향해 출발했다. 그러나 프레데릭은 시비다테알피아노에 베르가모에서 파견된 사단을 파견했는데, 이 사단은 그에게 연기 신호를 통해 롬바르드의 움직임을 알려 줄 것이었다. 롬바르드군이 폰토글리오와 팔라졸로에서 오글리오를 횡단한 것을 마치자 제국군은 커다란 연기 구름을 보고 현 위치에서 18km 떨어진 코르투보바로 이동했다.[9]
제국주의 선봉에는 철수하는 롬바르드를 가장 먼저 공격하는 부대인 사라센스와 기병들이 포함되었고, 보병대가 그 뒤를 따랐다. 깜짝 놀라 밀라노와 피아센타인은 방어선을 형성하지 못하고 코르투모바로 도망쳤다.[9] 프레데릭과 그의 주력 부대가 전장에 도착했을 때, 그것은 기사나 살해 또는 부상과 함께 흩어져 있었고 그의 통로는 기수 없는 말들에 의해 막혔다.[1][4] 코르투고바에서는 다른 밀라노인들과 알레산드리아에서 온 군대가 그들의 카로치오 주위에 집결하여 롬바드족은 사라센 화살과 테우토닉 전하를 받으며 용감하게[6] 싸웠다. 다른 베르가모 부대가 도착했음에도 불구하고 밀라노 귀족 가문 출신 남성들의 기둥은 해가 질 때까지 남은 군대의 코르투고바 퇴각을 보호할 수 있었다.[9] 군대의 사기를 최대한 높이 유지하기 위해 프레데릭은 자신의 부대에 갑옷을 입은 채 자도록 명령했고, 새벽녘에야 공격하도록 명령했다. 반대편에서는 밀라노의 포데스타가 부대가 또 다른 전투를 견뎌낼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카로치오와 나머지 짐과 함께 마을을 포기하라고 명령했다.[9]
11월 28일 새벽 제국군은 최소한의 저항으로 무너진 성급하게 재생산한 롬바르드를 공격했다.[9] 홍수로 넘치던 오글리오에 많은 사람이 익사했다. 약 5천 명의 롬바드가 포로로 잡혔고, 부상자와 사망자는 수천 명에 달했다. 밀라노인들만 2500명의 군인들을[10] 잃었다. 전쟁터에서, 피에트로 델라 비그나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4]
누가 수많은 시체들과 포로의 수를 설명할 수 있을까? 독일인들은 칼을 피로 물들였다. 다른 주와 함께 충성스러운 크레모네 사람들은 그들의 도끼에 피를 묻히고 사라센 사람들은 그들의 떨림을 비웠다. 어떤 전쟁에서도 이렇게 많은 시체가 쌓여 있지 않았다. 갑자기 밤이 오지 않았다면, 어떤 적도 시저스 손에서 도망치지 않았을 것이다.
여파
롬바르드 리그의 군대는 사실상 전멸되었다. 프레데릭은 연합군 도시 크레모나에서 코끼리에 의해 견인된 카로치오와 티에폴로가 사슬로 묶인 채 승전보를 이루었다.[9] 후자는 처음에는 아풀리아에 억류되었다가 트라니에서 공개 처형되었다. 카로치오는 후에 황제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로마로 보내졌다.[9]
롬바르드 연맹은 해체되었다. 로디, 노바라, 베르첼리, 치에리, 사보나 등이 생포되거나 황제에게 제출되었고, 사보이 아마데우스 4세와 몽페라트의 보니파이스 2세는 지벨린 충성을 확인했다.[9] 밀라노, 브레시아, 피아첸자, 볼로냐 등은 홀로 무기를 들고 있었다.[2] 프레데릭은 이제 기력이 최고조에 달해 밀라노를 포위했다. 그는 무조건 항복을 주장하며 밀라노의 평화 제의를 모두 거부했다. 그러나 밀라노와 다른 다섯 도시는 버티었고, 1238년 10월에는 브레시아의 포위망을 높여야 했다.[9]
그 후 황제는 계속해서 교황국을 침공했고,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 의해 파문되었다.[9]
참조
- ^ a b c d e f Hadank, Karl (1905). Schlacht bei Cortenuova. Kreis Löwenberg.
- ^ a b c d Milman, Henry Hart (1855). History of Latin Christianity Vol. IV. London.
- ^ a b Freiherr von Kausler, Franz Georg (1833). Wörterbuch der Schlachten, Belagerungen und Treffen aller Völker 4. Band. Ulm.
- ^ a b c Kington-Oliphant, Thomas Laurence (1862). History of Frederick II: Emperor of the Romans Vol.II. Cambridge.
- ^ Ersch, Johann Samuel (1832). Allgemeine encyclopädie der wissenschaften und künste. Leipzig.
- ^ a b c Busk, Mrs. William (1856). Mediæval popes, emperors, kings, and crusaders Vol.III. London.
- ^ Schaller, Hans-Martin (1964). Kaiser Friedrich II: Verwandler der Welt. Göttingen.
- ^ Von Arnim, Hans (1923). Kämpfer grosses Menschentum aller Zeiten, Volume 1. Berlin.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Roversi Monaco, Francesca. "Cortenuova, Battaglia di". Federiciana. Enciclopedia Italiana. Retrieved 19 July 2011.
- ^ a b c d e "Battaglia di Cortenuova". ARS Bellica. Retrieved 18 July 2011.
- ^ 피에르 델레 비그에 의하면 이들 부대는 전투가 끝날 때 개입했다.
- ^ a b Carlo, Fornari. "La Battaglia di Cortenuova". Stupor Mund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y 2011. Retrieved 18 July 2011.
원천
- Caproni, Riccardo (1987). La battaglia di Cortenova. Bergamo.
- Fornari, Carlo (2000). Federico II condottiero e diplomatico. Bari: Adda Editore.
- Busk, William (1856). Medieval Popes, Emperors, Kings and Crusaders – Vol. III. London.
- Milman, Henry H. (1855). History of Latin Christianity Vol. IV. Lo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