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고스 전투

Battle of Lagos
라고스 전투
7년 전쟁의 일부
an oil painting showing several 18th-century warships fighting. The British flagship, HMS Namur
영국 왕실 해군이 라고스 전투에서 프랑스 지중해 함대를 격파하다
리처드 패턴에 의해
날짜1759년 8월 18~19일
위치
지브롤터와 포르투갈 라고스 사이의 대서양
36°18°N 7°18°W/36.3°N 7.3°W/ 36.3; -7.3
결과영국의 승리
호전성
영국 프랑스.
지휘관과 지도자
에드워드 보스코웬 장프랑수아 드 라 콤브르 사브란
선로15척
프리깃함 10개
슬루프 2개
화선 2척
선로12척
프리깃 3개
사상자 및 손실
252명 사망 및 부상1000명 사망 및 부상
2척의 배가 파괴되었다.
3척의 함선 포획

라고스 해전 7년전쟁한창이던 1759년 에드워드 보스코웬 경이 지휘한 영국 함대와 장프랑수아 라 콤브르 사브란 휘하의 프랑스 함대 사이에서 이틀에 걸쳐 벌어졌다.이들은 8월 18일 카디스 만 서쪽과 8월 19일 포르투갈의 작은 항구인 라고스의 동쪽에서 전투를 벌였고, 이후 전투 이름이 붙여졌다.

라 클루프는 보스코웬을 피해서 프랑스 지중해 함대를 대서양으로 들여오려고 시도하고 있었다. 가능하면 전투를 피하려고 했다. 그는 당시 서인도 제도로 항해하라는 명령을 받고 있었다.보스코웬은 프랑스군의 대서양 침입을 막고, 프랑스군이 대서양으로 침입하면 추격하고 싸우라는 명령을 받고 있었다.8월 17일 저녁 프랑스 함대는 성공적으로 지브롤터 해협을 통과했으나 대서양에 진입한 직후 영국 함선에 의해 목격되었다.영국 함대는 인근 지브롤터에 있어 대대적인 재장착 작업을 하고 있었다.그것은 큰 혼란 속에 항구를 떠났고, 대부분의 배들은 많은 지연과 2중대 항해로 인해 그들의 개조를 완료하지 못했다.그가 쫓기는 것을 알고, La Cellbe는 그의 계획을 변경하고 항로를 바꾸었다; 그의 배 절반은 어둠 속에서 그를 따라가지 못했지만, 영국은 그렇게 했다.

영국은 지난 18일 프랑스군을 따라잡으며 치열한 전투가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여러 척의 배가 심하게 파손되고 한 척의 프랑스 선박이 나포됐다.나머지 6척의 프랑스 배를 크게 앞지른 영국인들은 8월 18~19일 달빛이 비치는 밤을 통해 이들을 추격했고, 그 동안 프랑스 선박 2척이 추가로 탈출했다.지난 19일 프랑스 함대의 잔해들은 라고스 인근 중립적인 포르투갈 해역에 은신하려 했으나 보스코웬이 그 중립성을 어겨 프랑스 함선 2척을 추가로 나포하고 나머지 2척을 파괴했다.

배경

18세기 프랑스와 영국 사이의 고질적인 악감정은 1754년과 1755년에 공개전으로 바뀌었다.1756년 7년 전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이 유럽 전역에 발발하여 프랑스, 오스트리아, 러시아가 영국과 프로이센에 대항하였다.프랑스는 프로이센에 대항한 육상운동에서 오스트리아와 러시아를 지원했고, 영국에 대한 해양 및 식민지 공세에 주력했다고 본 것을 개시했다.[1]

1759년 초에 이르러서는 어느 동맹도 육해공군에서나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했으며, 두 동맹 모두 전쟁 자금 조달에 심각한 문제를 겪고 있었다.1759년 프랑스 수입의 60% 이상이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갔고,[2] 이로 인해 수많은 부족을 초래했다.특히 프랑스 해군은 해군[3] 장관 니콜라스 레네 베리에 전 경찰청장이었던 그의 무능함을 입증하지 못한 경험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어 일관성 있는 독트린의 부족에 시달렸다.[4]한편, 1757년 초까지 영국의 전쟁 노력은 유럽, 북미, 인도와 바다에서 좌절과 함께 실패했었다.[5]6월부터 그것은 남부 부서 (외무부 장관)의 주장적인 신임 국무장관 윌리엄 피트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그는 조정된 전략을 시행했다.그것은 북아메리카에서 프랑스인들을 추방하고 그들의 해상 무역을 망치려는 해군과 식민주의적인 노력으로 구성되었고,[6] 유럽의 프로이센과 싸우며 프랑스의 광범위한 해외 소유권을 방어하려고 시도했다.1759년 초에 이것은 열매를 맺기 시작했다.[7]

영국의 성공에 대응하여, 프랑스의 왕 루이 15세의 장관들은 영국에 대한 직접적인 침공을 계획했는데, 만약 성공했다면, 전쟁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결정했을 것이다.[8]브리타니의 남동쪽에 있는 반즈에서 1만 7천 명의 군대가 모였고, 퀴버론 만 근처에는 거의 100척의 수송선이 집결되었다.[9]프랑스의 계획은 최종적인 형태에서 이 수송수단을 프랑스 해군의 호위를 받도록 요구하였다.그러나, 기껏해야 프랑스인들은 숙련된 선원과 함께 그들의 전함대를 승무원으로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육지인들은 사용할 수 있었지만, 심지어 작은 배 처리 부족도 전투에서는 눈에 띄는 핸디캡으로 번역되었다.전쟁 3년 후, 수천 명의 프랑스 선원들이 영국에 포로로 잡혔고, 더 많은 사람들이 투기적이고, 때로는 수익성이 있고, 사생활을 영위하는 직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리고 불건전한 조건, 부담스러운 선상 기강과 늦은 임금, 봉급을 받는, 봉사에 대한 강한 서비스 불능화였다.수송에는 적어도 숙련된 사관 생도들이 필요했다.[10]

프랑스군은 73척의 함선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최대 규모였으며, 해외 30척과 국내 43척의 함선이었다.후자는 대서양 항구인 브레스트(22척)[11]와 지중해 항구인 툴롱(Toulon) 사이에 분할되었고, 비스케이 만(Biscay Bay)의 두 항구에 소수만이 있었다.로오리엔트로슈포르.모두 합쳐서 이 배들은 약 2만 5천 명의 총 보병을 필요로 했다; 그들은 이것보다 9천 명 이상 부족했다.[12]영국인들은 본국 해역에 40척의 배를 가지고 있었고, 지브롤터를 본거지로 하는 지중해 함대에 15척의 배를 더 가지고 있었다.[13]

서곡

An oil painting of a man in 18th-century attire against a background of the sea
에드워드 보스코웬 경

1759년 5월 에드워드 보스코웬은 지중해에서 영국 함대를 지휘했다.[14]그는 또한 15척의 라인과 더불어 12척의 프리깃함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라인의 배들보다 작고 빠른 것으로 주로 급습, 정찰, 메시지 전달을 목적으로 했다.[14]그는 프랑스군을 괴롭히고, 영국 상선을 보호하며, 지브롤터의 영국 전초기지 및 해군기지의 안전을 보장하는 임무를 맡았다.[15]7월 말 영국 함대의 선박들은 적군의 공격으로 일부 선박이 파손된 바다에서 오랜 기간을 보낸 후 물량이 부족하고 정비가 시급한 상황이었다.[15]함대는 지브롤터로 퇴역하여 8월 4일에 도착했다.[16]그곳에서 그들은 배의 밑바닥을 까는 어려운 과정을 바나클과 해초로부터 벗어나고, 그들의 고정을 수리하고 교체하고, 스파르를 교체하는 작업을 시작했다.[15]이 개조가 진행되는 동안, 새로운 명령이 도착하여, 프랑스 지중해 함대가 아마도 브레스트에 있는 그들의 대서양 함대와 연합하려고 시도할 가능성을 보스코웬에게 경고하고, 그것을 막으라고 지시했다.[15]그는 처음 두 동족에게 지중해가 지브롤터 해협 병목지대로 좁혀진 동쪽까지 순찰을 할 준비를 하라고 명령하여 프랑스군이 탈출을 시도할 경우 경고하도록 했다.[17]

올해 초, 영국 전략의 한 측면은 서인도 제도에서 발휘되었다.지난 2월 4000명의 영국군이 프랑스령 서인도령 과들루프의 소유지에 상륙했다.이 섬의 엄청난 설탕 생산량은 모든 영국 리워드 제도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다.[18]그들을 바다에 대비시키는 데 큰 어려움이 있은 후, 막시민 봄파르트 휘하의 9척의 프랑스 선박을 파견하여 섬을 구원하였다.[16]그들은 5월 1일 프랑스 총독이 영국에 항복한 다음 날 도착했다.[19]

이 재난에 대한 소식은 다시 파리로 전해졌고, 심의를 거쳐 지중해 함대와 함께 봄파트의 병력을 증강하기로 결정했다.7월 말에 출항 명령이 사령관 장 프랑수아 라 콤프 사브란 제독에게 이르렀고, 8월 5일 툴롱을 떠났다.[18]이 선은 12척의 배와 3척의 프리깃으로 구성되어 있었다.[20]라 클루프는 지중해에서 그가 없는 것을 모르는 영국인들을 붙잡아두기 위해 밤까지 지브롤터 해협을 지날 작정이었다.그는 이것이 그의 함대를 흩어지게 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그는 그의 배들에게 스페인 항구인 카디즈에서 랑데부하라고 명령했었다.[17]8월 17일 늦은 저녁 동안 프랑스인들은 해협을 통과했지만, 직후 영국 호위함 지브롤터에 의해 관측되었다.프랑스인들은 그들이 목격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지금쯤 영국 함대가 지브롤터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신속한 추격을 기대했다.[20][21]

A map showing the locations of the main named locations near where the battle took place

적이 목격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그녀의 총을 쏘는 지브롤터의 접근은 영국인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21]진척되기 위해 한바탕 난투가 벌어졌다.대부분의 선장과 많은 선원들이 해변에 있었다; 보스코웬을 포함한 몇몇 선원들은 수 마일 떨어진 곳에서 식사를 하고 있었다.[16]대부분의 배들은 선장 없이 항해했고, 일부는 하급 장교들의 지휘를 받았다.그들의 선배들은 그들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했다 – 주력함인 HMS 나무르는 3명의 선장과 제독을 태우고 항해했고, 가능한 상황에 따라 그들 스스로를 정리했다.많은 장교들과 남자들이 해안가에 남겨져 있었다.[22]몇 척의 배는 간신히 항해할 수 있었다.당시의 대형 군함의 돛대에 배를 맞추는 과정, 즉 '바운딩'하는 과정은 복잡한 과정이었고, 대부분의 영국 선박들은 어둠 속에서, 하층민으로, 그리고 소수의 장교들과 함께 진군하면서 이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몇몇은 또한 스파를 맞추거나 심지어 그들의 윗부분을 밟고 있었다.배에는 정박할 재료와 포장되지 않은 상점이 어지럽게 널려 있었다.HMS Prince는 그녀의 총 갑판 중 하나에 너무 많은 통들을 가지고 있어서 그 갑판의 총들을 조작할 수 없었다; HMS America의 승무원들은 많은 양의 느슨한 물질을 배 밖으로 던졌다.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브롤터가 출현한 지 3시간도 채 되지 않은 오후 11시가 되자 영국 선적의 8척의 배가 항구에서 뒤틀려 대서양을 향하고 있었다.몇 척의 배가 토머스 브로드릭 부통령 휘하에 남겨져 있었고, 그 배들이 바다에 적합하게 만들어지는 대로 항해하라는 명령도 있었다.[16][23]

밤에 항해하는 배들은 충돌하지 않고 배들이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통 그들의 흉골과 돛대에 있는 등불을 전시했다.가능한 한 눈에 띄지 않길 바라는 프랑스 선박들은 아마도 이런 관행을 따르지 않았을 것이다.[24]프랑스 선박들은 모두 지브롤터 해협을 통과할 때 개항하라는 밀봉된 명령을 받았으며, 이 명령들은 그들에게 함대가 카디즈에서 랑데부하도록 지시하였다.[16]그들이 영국인들에 의해 관찰되었다는 것을 알고, La Lember는 그의 계획을 바꾸었다.영국군에 의해 쉽게 봉쇄될 수 있다고 우려한 카디즈로 향하는 대신, 그는 케이프 가를 정리하기 위해 더 서쪽으로 항해하기로 결심했다. 빈센트는 북대서양으로 향한다.그러나 프랑스 해군은 야간 신호 전달의 효과적인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그래서 자정쯤 라 콤브스는 그의 기함인 오케안을 데리고 그녀의 근엄한 랜턴에 불을 붙이고 좌현(좌, 또는 서쪽으로)으로 방향을 틀고 속도를 줄였다.보통 그런 행동은 주목을 끌기 위해 대포를 쏘는 것과 동반될 것이다.해군 역사학자 샘 윌리스는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전투를 피하라는 명령을 받은 라 콤브가 전체 함대가 비교적 가깝다는 것을 알고 영국에 그의 기동력을 광고하고 싶지 않다는 것을 알고 이를 생략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16][25]

전투

바다에서

an oil painting showing several 18th-century warships fighting
라고스 전투
토머스 루니에 의해

프랑스 함대의 15척 중 8척은 카디즈로 계속 나아갔다.[16]이것이 기함의 변화를 제대로 관찰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는지, 함의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는지, 아니면 새로 연 명령이 우선이라고 느꼈기 때문인지는 분명치 않다.8월 18일 새벽에 라 콤플렉스는 다른 배 6척만 볼 수 있었다.그는 그들에게 기함 위에서 집결하도록 명령하고 나머지 함대의 예상 출격을 기다리고 있다.[26]오전 6시경 한 무리의 대형 선박들이 시야에 들어왔고 라 콤브는 그들이 그의 선단의 없어진 부품이라고 믿으며 정지해 있었다.[27][28]브로드릭 휘하의 스트래글러 9척의 영국 함대 상단이 더 멀리까지 목격되었을 때 비로소 이 배들이 모두 영국 함선이라는 것을 깨달았다.[29]

7척의 프랑스 배는 가장 느린 멤버인 수베레인의 속도로 항해했다.보스코웬은 그의 배들에게 대형을 유지하라고 명령했고, 그의 가장 빠른 배들이 개별적으로 프랑스 함대에 접근하여 전투에 참가하고 세부적으로 패배하는 것을 피했다.영국 선박들은 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변덕스러운 바람에 약간 편애되어 8월 18일 오후까지 프랑스 선박을 점차 정비할 수 있었다.보스코웬은 그의 배들에게 "더 빠른 속도를 내라"[28][30]는 신호를 반복해서 보냈다.영국 선박들 중 몇 척은 새로이 뒤틀린 돛이 갈라지거나, 새로 장착한 첨탑이 헐거워져서, 프랑스인을 잡으려는 선원에 의해 과도하게 구속되었다.[31]오후 1시에 프랑스 선박들은 그들의 전투함정을 띄우고 장거리 사격에 나섰다.그 선의 배들은 대부분의 총기를 옆구리에 장착하여 브로드사이드를 발사할 수 있도록 했지만, 적은 수의 더 가벼운 총기를 그들의 흉골에 장착하여 그들의 총에 발사할 수 있었다.그런 배들 앞에서 효과적으로 포격을 할 수는 없었다.따라서 프랑스인들은 점점 가까워지면서 영국인들을 향해 발포할 수 있었던 반면, 영국인들은 많은 대답을 할 수 없었다.프랑스는 영국 선박의 돛과 고정을 무력화시키려 했지만 별 효과가 없었다.[32][33]

An oil painting of a large 18th-century warship
영국의 대표주자인 HMS 나무르

오후 2시 30분, 영국 컬로덴호는 가장 뒤쪽에 있는 프랑스 선박 센타우르호와 교전했다. 그들은 고르게 일치했고, 각각 양쪽에 37발의 중포를 장착했다.[34][35]이때쯤 프랑스는 주력함을 중심으로 전방 대형을 형성하고 있었다.[36]보스코웬은 자신이 이끄는 배들이, 그래서 그의 가장 빠른 배들이 그들이 처음 마주친 프랑스 배들과 교전하기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나서, 다음 영국 배가 도착하자, 다음 프랑스 배를 공격하기 위해 이 싸움을 우회하여 줄에 서 있는 프랑스 배를 공격하라.[28]어떤 프랑스 함선이라도 브로드릭의 함대에 안전하게 맡겨질 수 있다고 그는 믿고 있었다.[28][34][36]그러나 자신의 주력함만이 이 접근법을 채택했고, 7척의 프랑스 선박 중 4척만이 교전하고 있었다.[36]센타우어는 영국 선박 5척의 공격을 받아 5시간 동안 싸웠고 영국 추격을[18][36] 심각하게 지연시킨 뒤 난파선에 맞아 승무원 3분의 1 이상이 사망하거나 부상한 뒤 투항했다.[34]

한편 보스코웬은 프랑스 함대 내 최대 함선인 라콤의 주력함인 80군 오케안과 교전하기로 작정한 90군 기함에서 압박을 가했었다.[34]나무르는 3척의 프랑스 배를 통과해 각각으로부터 넓은 측면을 받았다; 보스코웬은 사상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원들을 눕히면서, 회항하지 말 것을 명령했다.오후 4시가 되자 나무르오케안과 충분히 가까워져 포문을 열었고 짧고 날카로운 싸움이 전개되었다.[34][36]Océan은 거의 200명의 남자들을 죽이거나 다치게 했고, La Cerble은 후자 중에 있었다. 반면 Namur는 그녀의 세 개의 돛대 중 하나를 총으로 쏘았다. 그리고 두 개의 돛대의 윗부분 야드와 함께.나무르가 기동을 할 수 없게 되자, 오케안 역시 심하게 피해를 입은 채 도망쳤다.보스코웬은 자신의 깃발을 뉴어크에게 양도했다.[28][37]

해가 저물자 살아남은 6척의 프랑스 함정은 북쪽 서쪽으로 계속 피난을 갔고, 그 영국 함선들은 가까운 전투 피해로 속도를 늦추지 않았다.비록 가장 빠른 두 척의 프랑스 배인 수베랭게리에가 밤중에 대서양으로 슬그머니 사라지기는 했지만 영국 배들이 계속 연락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달빛이 있었다.[38]해군 역사학자 니콜라스 트레이시는 라 콤브가 잘못된 항로를 항해해 케이프 세인트의 풍랑을 헤쳐나가지 못했다고 주장했다.빈센트,[39] 해변에 갇혔어중상을 입은 라 클루브는 이제 레두타블, 테메라이어, 모데르데의 3척의 다른 함선들 위에만 지휘권을 가지고 있었을 뿐, 아직 그 어느 것도 교전되지 않았다.탈출에 절망한 그는 포르투갈 라고스 서쪽의 작은 강으로 함대 잔당들을 이끌었다.[40]포르투갈은 중립적이었고 보스코웬이 그곳에서 그를 공격하는 것은 불법일 것이다.또한 정박지를 내려다보는 포르투갈의 작은 요새가 있었고 라 클루브는 이것이 어떤 억제책이 되기를 바랐을지도 모른다.[38]

오프 라고스

a simplistic image of an 18th-century warship wreathed in gunsmoke
레두타블 호선의 프랑스 선박

뉴어크에서 보스코웬이 접근하자 포르투갈군은 사격을 개시했고 그는 대포 사정권 밖으로 나아가 여러 척의 함정을 골라 "중립의 법칙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프랑스군을 공격했다.[41]영국미국은 오케안을 공격하여 단거리에서 브로드사이드를 발사하고 항복을 요구하였다.배를 버리는 과정에 있던 프랑스인들이 발칵 뒤집혔다.[41][note 1]영국인들은 오케안이 이를 막기 위해 어느 정도 힘으로 해안으로 밀려나 있었기 때문에 그를 끌어낼 수 없었다.그래서 그들은 선원들의 남은 사람들을 대피시키고 그녀에게 불을 질렀고, 몇 시간 후 자정 무렵에 불이 그녀의 잡지에 닿았고 그녀는 폭발했다.[43]

브로드릭의 후방 편대에서 레두터블을 따라 3척의 배가 투입되었다.HMS Prince는 반복적으로 그녀에게 총을 쏘고 나서 그녀에게 승선했다.그녀는 또한 단호하게 타일렀고 그래서 오케안처럼 횃불에 휩싸였고, 몇 시간 후에 폭발하기도 했다.[41]OcéanRedoutable이 출항하는 것을 보고 그들을 향해 항해하는 HMS Jersey를 본 머데스의 선원들은 도망치거나 항복했고 그녀는 거의 손상되지 않은 채 영국 함대로 견인되었다; 이 작전 중에 Jersey는 포르투갈 군인들에게 발포되었다.마지막 프랑스 함선인 테메라이어는 오후 2시 45분 워스파이트의 공격을 받았지만 선원들은 항복을 거부했다.워스파이트는 프랑스군이 반격을 거의 할 수 없는 테메라이어 후미에 발포할 수 있도록 기동했고, 1시간 후 테메라이어도 자신의 색깔을 때리고 견인되었다.[35][44]

여파

프랑스인들은 영국인 56명 사망자와 196명의 부상자를 낸 500명의 사상자를 냈다.[44]중상을 입은 La Cellbe는 영국군이 도착하기 전에 해안으로 옮겨져 살아남았고,[45] 5년 후 그는 중장으로 진급되었다.[46]그 전투는 영국을 침공하려는 프랑스의 계획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47]전투를 피해 탈출한 프랑스 함선 두 척은 결국 로슈포트에 도착했다.[48]카디즈에 있던 5척의 프랑스 배는 보스코웬의 2인자인 브로드릭 제독에 의해 봉쇄되었다.[46]그들은 브레스트에서 함대를 보강할 목적으로 이 봉쇄를 뚫을 수 있다면 프랑스 대서양 항구로 향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그러나 그들이 1760년 1월 겨울 폭풍 때 브로드릭을 피했을 때쯤, 프랑스 대서양 함대는 퀴버론 만 전투에서 파괴되었고, 대신 툴롱으로 돌아왔다.[47]

승리 소식을 듣고 긴장한 것으로 악명 높은 영국 수상 뉴캐슬 공작은 "지금까지 침략이 두려웠다"[49]고 말했다.보스코웬의 포르투갈 중립 위반은 그의 정부가 전적으로 지지했는데, 이는 보스코웬의 일반 추격 명령의 우발적인 결과라고 포르투갈인들을 설득함으로써 포르투갈인들을 진정시켰다.[50]3년 후, 스페인과 프랑스 정부는 포르투갈에 전쟁을 선포하고 침공하기 위한 구실 중 하나로 이 중립 위반을 이용했다.[51]Boscawen, 그의 선장들, 그리고 그들의 선원들은 영국에서 체포되었다.중단된 리피트를 마친 보스코웬의 승전함 몇 척은 브레스트에서 떨어진 에드워드 호크 제독의 함대로 옮겨졌고,[52] 5척은 호크가 11월 퀴버론 만에서 브레스트 함대를 파괴할 때 함께 있었다.[53][54]

역사학자 사라 킨켈은 라고스 전투를 "정의적인" 승리라고 묘사한다.[55]역사학자 제프리 블레인은 보스코웬을 18세기의 가장 성공적인 해군 사령관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바다에서의 결론 없는 전투가 보통이었을 때"[56]이다.이 전투는 1759년 영국의 연이은 승리 중 하나로 한 해를 아누스 미라빌리스('이상한 해' 라틴)로 알려지게 했다.[57]

나포된 세 척의 프랑스 함선은 영국 해군에서 HMS 센타우르,[58] 모데르테[59], 테메레어로 복무했다.[note 2]오케안에 하급 장교로 승선했던 피에르 안드레 서프렌은 나중에 인도양에서 프랑스 함대를 이끄는 제독으로 명성을 얻었다.[60][61]나중에 영국에서 저명한 폐지론자가 될 올라우다 에키아노라는 젊은 노예가 영국 쪽의 약혼에 참여했다.그는 그의 자서전인 "올라우다 에키아노삶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에 이 전투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시켰다.[62]

전투순서

영국

프랑스.

전투에 참가한 선박:[64]

선박:

Centaure 74 – 8월 18일 생포

Océan 80 (flag) – 좌초되고 8월 19일 연소
레드아웃 가능 [fr] 74 – 좌초되어 8월 19일 연소
테메라이어 74 – 8월 19일 생포
Modeste 64 – 8월 19일 캡처

Souverain 74 – 탈출
게리에 74 – 탈출

밤에 분리되어 카디즈로 항해한 배들:[65]

선박:

트리톤 64
사자[fr] 64
판타스크 64
피에르 50
오리플람메 50

프리깃스:
미니저브 26
치메르 26
그레이시우스 26

주석, 인용문 및 출처

메모들

  1. ^ 국기 또는 전투함인 배의 "색"은 배가 항복했음을 나타내기 위해 그녀의 돛대, 즉 "풍선"에서 끌어내려진다.[42]
  2. ^ J. M. W. 터너의 "The Fighting Temerire"에 실린 HMS Temererire는 나중에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배였다.[44]
  3. ^ 각각의 배 뒤의 숫자는 그것이 운반하도록 등급이 매겨진 총의 수를 나타낸다.

인용구

  1. ^ 2007년, 페이지 17–18.
  2. ^ 맥린 2008, 페이지 65.
  3. ^ 샬린 2011, 페이지 17.
  4. ^ 젠킨스 1973, 페이지 148.
  5. ^ 앤더슨 2001, 페이지 211–212.
  6. ^ 미들턴 1988.
  7. ^ 샬린 2011, 페이지 18.
  8. ^ 2003, 페이지 9.
  9. ^ 2003, 페이지 11.
  10. ^ 맥린 2008년 232페이지
  11. ^ 맥린 2008, 페이지 236.
  12. ^ McLynn 2008, 232–233 페이지.
  13. ^ 트레이시 2010, 페이지 24.
  14. ^ a b 맥린 2008, 페이지 248.
  15. ^ a b c d Willis 2009, 페이지 747.
  16. ^ a b c d e f g 트레이시 2010, 페이지 116.
  17. ^ a b 윌리스 2009 페이지 749.
  18. ^ a b c 로저 2004, 페이지 277.
  19. ^ 앤더슨 2001, 페이지 314–315.
  20. ^ a b 맥린 2008, 페이지 249.
  21. ^ a b 윌리스 2009, 750페이지.
  22. ^ Willis 2009, 페이지 751.
  23. ^ Willis 2009, 페이지 751–753.
  24. ^ Willis 2009, 페이지 748–749, 754.
  25. ^ Willis 2009, 페이지 753–754.
  26. ^ 윌리스 2009, 페이지 754.
  27. ^ 젠킨스 1973, 페이지 131.
  28. ^ a b c d e 트레이시 2010, 페이지 117.
  29. ^ Willis 2009, 페이지 754–755.
  30. ^ 윌리스 2009, 페이지 755.
  31. ^ 윌리스 2009, 페이지 753.
  32. ^ Willis 2009, 페이지 756–757.
  33. ^ 트레이시 2010, 페이지 56.
  34. ^ a b c d e 맥린 2008, 페이지 251.
  35. ^ a b c d e Troude 1867, 페이지 373.
  36. ^ a b c d e 윌리스 2009, 페이지 757.
  37. ^ McLynn 2008, 페이지 251–252.
  38. ^ a b 2009년 760페이지.
  39. ^ 트레이시 2010, 페이지 118.
  40. ^ 모나크 2017, 페이지 86-87.
  41. ^ a b c 윌리스 2009, 761페이지.
  42. ^ 빌헬름 1881 페이지 148.
  43. ^ 2008년 맥린 페이지 252.
  44. ^ a b c 2009년 762페이지.
  45. ^ 로저 2004, 페이지 278.
  46. ^ a b 2008년 맥린 페이지 253.
  47. ^ a b 트레이시 2010, 페이지 135.
  48. ^ 2009년, 페이지 83.
  49. ^ 1993년 롱메이트 178페이지
  50. ^ 켐프 1976, 페이지 400.
  51. ^ 프랜시스 1985, 페이지 136–137.
  52. ^ 윌리스 2009 페이지 763.
  53. ^ 트레이시 2010, 페이지 128.
  54. ^ Troude 1867, 페이지 373, 385.
  55. ^ 킨켈 2013 페이지 1451.
  56. ^ 블레인 1988 페이지 191–192.
  57. ^ 2009년 모노드, 페이지 167.
  58. ^ 윈필드 2007, 페이지 70.
  59. ^ 윈필드 2007, 페이지 96.
  60. ^ 모나크 2017, 페이지 86, 88.
  61. ^ 마한 1890, 페이지 416.
  62. ^ 윌리스 2009, 페이지 756.
  63. ^ 클로우즈 1898, 페이지 212.
  64. ^ Troude 1867, 페이지 372–373.
  65. ^ 맥린 2008, 페이지 250.

원천

  • Anderson, Fred (2001). Crucible of War: The Seven Years' War and the Fate of Empire in British North America, 1754–1766. London: Faber and Faber. ISBN 978-0571205653.
  • Blainey, Geoffrey (1988). The Causes of War. Basingstoke, Hampshire: MacMillan. ISBN 0-333-46215-7.
  • Chaline, Oliver (2011). "Quiberon Bay, 20 novembre 1759". Les cahiers du Pays de Guérande (in French). Société des Amis de Guérande (53): 17–29. ISSN 0765-3565.
  • Clowes, William Laird (1898). The Royal Navy, A History from the Earliest Times to Present. London: Sampson Low, Marston. OCLC 1084577790.
  • Dull, Jonathan R. (2009). The Age of the Ship of the Line: The British and French Navies, 1650–1815. Barnsley, South Yorkshire: Pen & Sword Books. ISBN 978-1848325494.
  • Francis, Alan David (1985). Portugal 1715–1808: Joanine, Pombaline and Rococo Portugal as Seen by British Diplomats and Traders. Colección Támesis (A ed.). London: Tamesis. p. 137. ISBN 978-0729301909.
  • Jenkins, E.H. (1973). A History of the French Navy : From Its Beginnings to the Present Day. London: Macdonald and Jane's. ISBN 978-0356041964.
  • Kemp, Peter, ed. (1976). The Oxford Companion to Ships and the Sea.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2820842.
  • Kinkel, Sarah (2013). "Disorder, Discipline, and Naval Reform in Mid-Eighteenth-Century Britain".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128 (535): 1451–1482. doi:10.1093/ehr/cet273. JSTOR 24473894.
  • Longmate, Norman (1993). Island Fortress: The Defence of Great Britain, 1603–1945. London: Grafton. ISBN 978-0586208465.
  • McLynn, Frank (2008). 1759: the Year Britain Became Master of the World. London: Vintage. ISBN 978-0099526391.
  • Mahan, Alfred Thayer (1890). The Influence of Sea Power upon History, 1660–1783. London: Sampson, Low, Marston. OCLC 782063369.
  • Middleton, Richard (1988). "Naval Administration in the Age of Pitt and Anson, 1755-1763". In Black, Jeremy & Woodfine, Philip (eds.). The British Navy and the Use of Naval Power in the Eighteenth Century. Leicester: Leicester University Press. pp. 109–127. OCLC 572510434.
  • le Moing, Guy (2003). La Bataille navale des Cardinaux: 20 novembre 1759 (in French). Paris: Economica. ISBN 978-2717845037.
  • Monaque, Rémi (2017). "Le Bailli Pierre-André De Suffren: A Precursor of Nelson". In Harding, Richard; Guimerá, Agustín (eds.). Naval Leadership in the Atlantic World: The Age of Reform and Revolution, 1700–1850. London: University of Westminster Press. pp. 85–92. ISBN 978-1911534082.
  • Monod, Paul Kléber+-+++++++++++++++++ (2009). Imperial Island: A History of Britain and Its Empire, 1660–1837. Malden, Massachusetts: Wiley-Blackwell. ISBN 978-1405134446.
  • Rodger, N.A.M. (2004). The Command of the Ocean: A Naval History of Britain 1649–1815. London: Penguin. ISBN 0-713-99411-8.
  • Szabo, Franz A. J. (2007). The Seven Years' War in Europe 1756–1763. Harlow, Essex: Longman. ISBN 978-0582292727.
  • Tracey, Nicholas (2010). The Battle of Quiberon Bay, 1759: Hawke and the Defeat of the French Invasion. Barnsley, South Yorkshire: Pen & Sword. ISBN 978-1848841161.
  • Troude, Onesime-Joachim (1867). Batailles navales de la France, Volume 1 (in French). Paris: Libraire Commissionaire de la Marine. OCLC 757299734.
  • Wilhelm, Thomas (1881). A Military Dictionary and Gazetteer. Philadelphia: L. R. Hamersly & Co. OCLC 1872456.
  • Willis, Sam (2009). "The Battle of Lagos, 1759". The Journal of Military History. 73 (3): 745–765. doi:10.1353/jmh.0.0366. ISSN 0899-3718. S2CID 162390731.
  • Winfield, Rif (2007). British Warships in the Age of Sail 1714–1792: Design, Construction, Careers and Fates. Barnsley, South Yorkshire: Seaforth Publishing. ISBN 978-1844157006.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