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체버 전투
Battle of Lochaber로체버 전투 | |||||||
---|---|---|---|---|---|---|---|
스코틀랜드 종족 전쟁의 일부 | |||||||
로체버 역사 지구 | |||||||
| |||||||
교전국 | |||||||
![]() | ![]() 도날드 클랜 클랜 캐머런 클랜 매킨토시 | ||||||
지휘관 및 리더 | |||||||
제임스 1세[1] | 알렉산더 맥도널드 도널드 캐머런 | ||||||
힘 | |||||||
알 수 없는 | 알 수 없는 | ||||||
사상자 및 손실 | |||||||
알 수 없는 | 알 수 없는 |
로체버 전투는 1429년 스코틀랜드 고지대에서 제3대 섬 영주이자 도날드 씨족장 도날드의 군대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그것은 카메라온들 사이에서 분할 동맹 전투로 알려져 있다.이는 왕에 대항해 봉건영주를 옹립할 것을 우려해 탈영한 것이나 양쪽에 다른 파벌들이 일렬로 늘어선 것으로 설명된다.
배경
올버니 공작 로버트 스튜어트는 그의 아버지 로버트 2세의 통치 말기에 스코틀랜드 북부를 효과적으로 지배했고, 그의 무능한 형 로버트 3세의 통치 기간(1390–1406) 동안 그의 권력은 증가했다.제임스 1세가 영국에 포로로 잡혀 있는 동안 그는 섭정이 되었다.1420년 알바니가 죽은 후 스코틀랜드인들은 제임스를 석방하기 위해 몸값을 지불했다.제임스는 1424년에 그의 왕국을 굴복시키기로 결심하고 돌아왔다; 그의 첫 번째 행동 중 하나는 대부분의 올버니의 후계자들을 처형하는 것이었다.알바니의 손자 제임스 모르는 반란을 일으켜 덤바튼을 공격하고 던도날드의 왕의 삼촌 존 스튜어트를 죽였지만 아일랜드로[2] 추방당해 1429년 [3]사망했다.
15세기 내내, 섬의 제왕들은 에딘버러에 있는 스코틀랜드 왕들을 희생시키면서 스코틀랜드 본토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늘리려고 시도했다.특히, 두 번째 영주 도날드는 로스 백작부인 마리오타(마가렛)와의 결혼을 통해 로스 백작령을 주장했다.그는 1411년에 이 광대한 영토를 무력으로 점령하려 했지만, 인버루리 근처의 하를로 전투에서 무산되었다.마거릿의 조카 유페미아는 1402년에 작위를 물려받았으나 1415년 알바니의 아들 부칸 백작 존 스튜어트에게 작위를 물려주도록 설득당했다.
마거릿은 이양을 무시하고 1424년 에우페미아가 사망했을 때 자신이 그 작위를 물려받았다고 주장했고, 같은 해 부칸의 죽음은 그의 사촌인 제임스 왕에게 "매우 의심스러운 주장"[3]을 주었다.하지만 1424년 제임스는 마거릿을 [1]로스 백작 부인으로 인정했다.1429년 마가렛이 죽고 그녀의 아들 알렉산더가 그의 어머니로부터 상속을 받아 그 작위를 주장했다.
제임스는 1428년 [4]8월 말 인버네스 성에서 의회를 소집하여 알렉산더, 마가렛, 그리고 '거의 모든 북부의 저명한 사람들'을 [5]체포하였다.일설에 따르면 제임스는 알렉산더를 삼촌 존 모어로 대체하고 싶었지만 1429년[6] 존이 죽거나 존이 협상하기 전에 설정한 전제조건으로 알렉산더를 석방해야 했다.어떤 소식통들은 알렉산더가 몇 [2]주 동안 투옥되었다고 말하기도 하고, 다른 소식통들은 1년 동안 투옥되었다고 말하기도 하고, 다른 세 명의 추장이 [7]처형되었다고도 한다.
캠페인
이것은 존의 아들 도널드 발록이 1429년 아버지의 [3]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반란을 일으켰다는 암시로 이어진다.그러나 알렉산더는 아내의 죽음 이후 로스에서 무력시위를 하고 싶었을 것이고, 인버네스에 수감된 것은 그에게 그 마을에 복수를 해야 할 특별한 이유를 주었다.1491년 그의 증조부 로스의 습격은 인버네스에 있는 수비대를 점령한 후 로스에 있는 왕당파 동조자들의 땅을 약탈하기 위해 북쪽으로 향한다는 가능한 템플릿을 제공한다.
전통에 따르면 알렉산더는 "만 명 이상"[8]의 군대를 이끌었다고 한다.이것은 연대기 작가들에 의해 과장된 것일 수도 있지만, 인버네스 의회에서의 사건들은 한 세기 이상 반목해 온 카메론과 차탄 연합과 같은 종족들 사이에 특이한 연합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섬 주민들은 영국으로부터 도움을 얻는 데 실패했고,[3] 이것은 제임스에게 반란을 훨씬 더 심각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알렉산더는 그레이트 글렌을 타고 인버네스까지 행군하여 도시를 불태우고 [7]성을 포위했지만 [2]함락에는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전장에서 오랫동안 대군을 지원할 물자가 없어 서부로 향하기 시작한 것 같다.왕은 군대를 모아 [2]추격에 나섰다.
전투
왕당파들은 그레이트 글렌 서쪽 끝에 있는 윌리엄 요새 주변 지역인 로체버 어딘가에 있는[8] 황무지나 "황량한 땅"[9]에서 일족들을 기습적으로 잡은 것으로 보인다.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전투 날짜에 대해서도 불확실하다.전통적으로 1429년 6월 23일, 즉 성탄신일 축제 전날이었다. 세례자 요한은[8] 그러나 일부 현대 자료에는 [9]6월 26일로 되어 있다.
왕당파 세력에 맞선 도날드 두브 휘하의 카메론 가문은 봉건적 영주에서 [9]왕국으로 망명했다.또 다른 이론은 맥마틴 카메론이 로킬의 카메론이 아니라 왕에게 넘어갔다는 것이다. 그래서 카메론들은 이 전투를 "분할 동맹 전투"[10]로 알고 있다.맥킨토쉬도 [9]편을 바꿨다.역사에는 이러한 심경의 변화가 제임스의 유인을 요구했는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하지만, 곧이어 왕은 맥킨토쉬의 땅을 알렉산더의 삼촌인 [1]록하버의 알렉산더에게 주었다.
이러한 인력 손실 이후, 알렉산더는 전투에서[2] 패배하거나 싸우지 않고 도망쳤다.
여파

알렉산더는 섬으로[2] 탈출했고 평화를 호소하려는 그의 첫 번째 시도는 [11]거절당했다.그래서 그는 몰래 에딘버러로 가서 셔츠와 [11]서랍만 입고 8월 28일[12](또는 1430년[2] 초) 홀리루드 수도원의 왕실 교회에서 제임스에게 칼을 건네주었다.여왕은 그의 겸손함에 감명받았고 그의 목숨을 살려달라고 간청했다. 그래서 알렉산더는 이번에도 탄탈론 [2]성에 수감되었다.
그는 [13]1431년 11월 도널드 발록의 반란이 무너진 후 석방되었다.1435년 마르 백작이 죽은 후, 제임스는 로스에 있는 알렉산더의 지위를 받아들이고 그가 인버네스를 [3]지배하도록 허락했다.
일설에 따르면 록하버 전투는 캐머런 클랜의 초기 역사에서 결정적인 순간이었고, 그 당시에는 단일 클랜이라기보다는 연합이었고 맥마틴의 탈영도 이를 반영했다.이러한 역사관에서, 맥마틴은 로킬의 카메라온에 의해 그들의 배신으로 인해 벌을 받았고, 맥마틴 족장은 추방되었고 로킬 파벌은 일족을 장악했다.도널드 두브는 제임스가[14] 1431년 인버로시 전투에서 패배한 것을 지지한 것으로 보이며 그 후 카메론의 영토는 황폐해졌다.알렉산더가 풀려났을 때, 그는 그가 반역자로 여겼던 일족에게 더욱 복수를 했고, 도널드 두브를 추방하고 카메론 가문을 [14]콜의 존 가브 맥클린에게 로킬의 땅을 주었다.
주 및 참고 자료
- ^ a b c Adam, Frank (1934), The Clans, Septs and Regiments of the Scottish Highlands, p. 68, ISBN 978-1-4179-8076-5 2004년 토마스 이네스의 서문으로 케신저 출판사(ISBN97814179780765)에 의해 재발행되었다.
- ^ a b c d e f g h Henry, Robert; Laing, Malcolm (1814), The history of Great Britain: from the first invasion by the Romans under Julius Caesar. Written on a new plan (5 ed.), Cadell and Davies, pp. 312–6
- ^ a b c d e Barrell, Andrew D. M. (2000), Medieval Scot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17, ISBN 978-0-521-58602-3
- ^ 일부 출처(스코티크로니콘에 근거함)는 1427년이라고 하지만, 그들은 1427년의 퍼스 의회와 혼동될 수 있다. RPS는 이 점에 대해 결정적으로 보일 것이다.
- ^ Brown, K.M.; et al., eds. (2007–2009), The Records of the Parliaments of Scotland to 1707 A1428/8/1, University of St Andrews, retrieved 19 April 2009
- ^ Brown, M. (1994), James I, Edinburgh University Press, pp. 97–101 – Barrell(2000)이 인용한 것으로, 그는 전통적인 타임라인으로 존 모어가 1427년에 사망했다고 지적했다.
- ^ a b Anderson, John; Fraser Lovat, Simon (1825), Historical account of the family of Frisel or Fraser, particularly Fraser of Lovat: embracing various notices, illustrative of national customs and manners, with original correspondence of Simon, lord Lovat, &c, Edinburgh: W. Blackwood, p. 59
- ^ a b c Fraser-Mackintosh, Charles (1875), Invernessiana, contributions towards a history of the town and parish of Inverness from 1150 to 1699, p. 106
- ^ a b c d Jaques, Tony (2007),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F-O,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593, ISBN 978-0-313-33536-5
- ^ "The Battle of Split Allegiances". Clan Cameron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May 2009. Retrieved 19 April 2009.
- ^ a b Clarke, Benjamin (1852), The British gazetteer, political, commercial, ecclesiastical, and historical: showing the distances of each place from London and Derby—gentlemen's seats—populations ... &c. : illustrated by a full set of county maps, with all the railways accurately laid down v2, H.G. Collins, p. 315
- ^ Sadler, John (2005), Border fury: England and Scotland at war, 1296–1568, Pearson Education, p. 324, ISBN 978-0-582-77293-9
- ^ Arnold-Baker, Charles (2001), The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Routledge, p. 718, ISBN 978-0-415-18583-7
- ^ a b Gregory, Donald (1836), History of the Western Highlands and Isles of Scotland, from A.D. 1493 to A.D. 1625: With a Brief Introductory Sketch, from A.D. 80 to A.D. 1493, W. Tait, pp. 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