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마치아스 전투 (1777년)

Battle of Machias (1777)
마키아스 전투
미국 독립 전쟁의 일부
Admiral Sir George Collier.jpg
조지 콜리어
날짜1777년 8월 13일-14일
위치44°42′50.58″N 67°27′39.1″W/44.7140500°N 67.460861°W/ 44.7140500; -67.460861좌표: 44°42′50.58″N 67°27′39.1″W / 44.7140500°N 67.460861°W / 44.7140500; -67.4608611
결과쌍방이 모두 승리를 주장했다.
호전성
영국 미국
페놉스코트
파사마쿼디
말리셋
지휘관과 지도자
조지 콜리어 조너선 에디
스티븐 스미스(개인용)
존 앨런 (콜로넬)
프리깃 3개
1여단
전장1길
해병 123명
지역 민병대; 동맹국인 미국 원주민들
사상자 및 손실
3명 사망
부상자 18명
1명 사망
부상자 1명

마키아스 전투(1777년 8월 13일~14일)는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영국군에 의해 매사추세츠 도시 마키아스(현재의 메인주 동부)에 대한 수륙 양륙 공격이었다.인도 동맹국들의 도움을 받은 지역 민병대가 영국군의 상륙을 성공적으로 막았다.조지 콜리어 준장이 이끄는 이번 습격은 1776년 11월 포위포트 컴벌랜드에 대한 계획된 2차 공격을 막기 위한 시도로 실행되었다.영국군은 마치아스 밑에 상륙하여 배를 탈취하고 창고를 급습했다.

그 습격의 결과는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콜리어는 포르트 컴벌랜드에 대한 공격을 위해 군 점포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고 주장한 반면(마키아스에 그러한 점포가 전달되지는 않았지만), 수비수들은 마키아스의 포획을 성공적으로 막고 영국을 몰아냈다고 주장했다.

배경

1776해리도의 마키아스 만; 마키아스가 맨 위에 있다.마키아스 만은 메인주 동부 해안가에 있다.마치아스포트는 마치아스 강의 출구 근처에 만으로 들어가는 곳에 위치해 있다.마치아스포트에서 북쪽으로 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왼쪽(서쪽)에서 마키아스로, 동쪽으로는 마키아스로 이어진다.

현재 메인 주(州)가 된 매사추세츠 주 동부에 위치한 마키아스의 작은 공동체는 미국 독립전쟁이 시작된 이래 영국 해군 당국 편에 끈질긴 가시였다.1775년 6월, 시민들이 일어나 작은 해군 함정을 함락시켰고, 그 이후 공동체는 사유의 기지가 되었다.[1]

1777년, 제2차 대륙회의로부터 노바스코샤(현재의 뉴브런즈윅) 서부에 패트리어트 주둔군을 창설하기 위한 원정을 조직할 수 있는 권한노바스코샤(현재의 뉴브런즈윅)에 위임받았다.비록 의회가 그에게 3천 명이나 되는 사람을 모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지만, 매사추세츠 정부는 그에게 동부 매사추세츠에 연대를 일으켜 세인트루이스에 주둔지를 세울 수 있는 대령직과 권한을 줄 준비가 되어 있을 뿐이었다. 존 리버 계곡.앨런은 마키아스에 노력을 기울였고, 6월까지 마키아스에 40여 명을 상륙시켰다.[2]그러나 핼리팩스의 영국 당국은 앨런이 의도한 임무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 입수했고,[3] 더 큰 영국군이 세인트루이스에 도착했다.6월 23일 존 리버.알란이 강어귀 근처의 정착촌에 남겨둔 사람들은 영국인과 실랑이를 벌였으나 강 상류로 철수했다.앨런은 자신의 작은 부대가 강을 거슬러 후퇴한 후 마키아스로 돌아가는 어려운 육로 여행을 할 수밖에 없었다.그는 미국의 대의에 동참하도록 설득했던 많은 동정심 많은 말리제트 인디언들에 의해 이 여행에 동참하게 되었다.[4]8월 초 매사추세츠 임시 의회는 앨런의 탐험을 위해 모집된 군대를 해산하는 투표를 했다. 뉴욕 북부에서 존 버고인 장군의 군대가 제기하는 임박한 위협 때문이었다.[5]

포트 컴벌랜드에 대한 공격 계획을 포함한 앨런의 상당히 정교한 계획을 문서화한 문서들은 세인트 폴에서 있었던 분쟁 중에 취해졌다.존 리버가 핼리팩스 해군기지에서 마리오트 아르부트노트 제독의 2인자인 조지 콜리어 대위의 손에 넘어갔다.[3]이것은 콜리어가 행동하도록 자극했다. 왜냐하면 이미 작년에 포트 컴벌랜드에서 한 번의 시도가 있었기 때문이다.[6]따라서 그는 알란의 작전 근거지이자 많은 신병들의 출처인 마키아스에 대한 공격을 조직했다.콜리어와 에이어 매시 장군 핼리팩스의 지상군 사령관이 사이가 [7]좋지 않았기 때문에 콜리어 사령관은 영국군 부대를 맡지 않고 원정을 개시하기로 했다.[4]는 7월 말 HMS 레인보우호를 타고 핼리팩스에서 출항했으며, 그 함정에 타고 있던 해병대를 지상 작전에 투입할 계획이었다.마치아스로 가는 통로를 만들면서 호위함 HMS 인어공주와 구불구불한 HMS 호프가 합류했다.[6]

마치아스의 방어는 1776년 포트 컴벌랜드 공격의 선두주자인 조나단 에디 대령의 지휘 아래 지역 민병대로 구성되었다.그는 영국군이 공격을 조직하고 있다는 경고를 받았었다.민병대는 마치아스 강을 가로지르는 통나무 붐을 일으켰고, 지역 민병대들로부터 빼앗은 대포로 무장한 채 강 상류 쪽으로 몇 개의 토성을 쌓았다.[4]앨런 대령이 마치아스에게 전화를 걸어 그의 원정에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설명하려고 했던 40대 50의 말리셋, 파사마쿼디, 페노브스코트로 수비는 공교롭게도 보강되었다.[8][9]

전투

콜리어의 함대는 8월 13일 새벽 강어귀에 도착했다.그는 123명의 해병대에 승선하여 호프강으로 그녀와 금발에게 명령했다.[6]이 소식은 민병대에 전해졌고, 35명의 군인들이 그들을 반대하기 위해 몰려들었다.배들은 통나무 붐에 이르렀고, 두 세력 사이에 총격전이 시작되었다.민병대의 저항은 영국군이 그날 상륙을 시도하지 못하게 하기에 충분했다.[9]다음날 아침 일찍, 안개 속에 해병대가 상륙했다.그들은 통나무 붐을 자르고, 재목을 운반하는 구덩이를 잡고, 저장소에 불을 지른 다음, 밀가루, 쌀, 옥수수, 신발, 탄약 등을 저장한 후 배로 돌아왔다.[6]

그리고 나서 두 척의 배는 강을 거슬러 올라가서 마을 자체에 도착할 때까지 더 나아갔다.민병대와 인도 동맹국들이 가능한 상륙지점에 대해 논쟁을 벌이기 위해 자세를 잡았을 때, 그들은 해안에서 총포와 대포에 시달렸다.[8]어둠이 깔리자 인디언들은 자신들의 숫자를 확대하려는 시도로 구호를 외치고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이때 "앵커에 온 지 30분도 안 되어 브리지 앤 슬롭 투 고트가 총 한 발 쏘지 않고 진행 중"이라며 "홍수 대세에 맞서 강을 건져내라"[8]고 했다.그러나 호프는 황혼에 하류로 길을 내다가 좌초되었다.민병대는 회전총을 인근 해안으로 끌고 가서 다음날 아침 그녀를 총으로 쏘았다가 조수에 의해 다시 떠밀려 마치아스 만으로 들어갔다.[10]

여파

앨런 대령은 민병대의 성공을 그들이 함정에 빠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영국의 우려 때문이었다.[8]그는 또한 이 만남을 또 다른 전투에 비유하며 "전쟁 중에는 벙커 이 그런 살육이 있었다는 것 외에는 행동하지 않는다"[8]고 썼다.영국인 사상자의 추정치는 40명에서 100명으로 늘어났으며, 영국인 사상자는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했다고 주장했다.[8]영국인들은 호프가 이륙할 때 주로 발생했던 3명의 사망자와 18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보고했다.[6]

콜리어는 마키아스를 출발한 뒤 메인 해안을 순항해 소형 미국 선박을 나포하고, 썸스코트 강에 있는 지역사회를 급습했다.그곳에서 그는 프랑스로 향하는 돛대 목재를 실은 호위함을 붙잡았다.[11]콜리어 사령관은 보고서에서 이번 작전이 성공적이었다고 선언했으며 또 다른 노바스코샤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았다고 주장했다.[8]그는 또 다른 100명의 남자들과 함께 "마키아스의 파괴는 보완되었을 것"[6]이라고 믿었다.콜리어가 갑자기 핼리팩스를 떠나면서 군대가 원정에 참여할 준비를 해왔으나, 콜리어가 갑자기 핼리팩스를 떠나 마키아스를 파괴하는 영광을 모두 바랐으며, 콜리어는 "할리팩스에서 도망쳐 마키아스를 무익하게 공격한 것은 그때로부터 가장 수치스럽게 몰렸다"[12][13]고 썼다.

마키아스는 1779년 영국이 카스티네를 점령하여 뉴아일랜드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다소 고립되어 버렸지만 전쟁 중에 다시 공격을 받지 않았다.[14]콜리어는 미국의 애국자 페노브스코트 원정대로부터 뉴아일랜드를 성공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돌아왔다.(마치아스와 메인주 동부의 다른 지역들은 1812년 전쟁 동안 영국군에 의해 성공적으로 점령되었고, 영국은 다시 뉴 아일랜드의 식민지를 만들었지만, 전쟁이 끝난 후 미국으로 반환되었다.)[15]

참고 항목

메모들

  1. ^ 던컨, 페이지 211-217
  2. ^ 리몬, 페이지 90-91
  3. ^ a b 그윈, 페이지 64
  4. ^ a b c 리몬, 페이지 92
  5. ^ 행동해결, 페이지 87–90
  6. ^ a b c d e f 그윈, 페이지 65
  7. ^ 그윈, 페이지 60-61
  8. ^ a b c d e f g 리몬, 93페이지 93
  9. ^ a b 맨케, 페이지 103
  10. ^ 스미스, 684페이지
  11. ^ 그윈 페이지 66
  12. ^ 케임브리지 역사학회의 간행물, 페이지 71
  13. ^ 맨케, 페이지 103-104
  14. ^ 리몬, 페이지 104-106
  15. ^ 맨케, 페이지 107

참조

  • The Acts and Resolves, Public and Private, of the Province of the Massachusetts Bay, Volume 20. Commonwealth of Massachusetts. 1920. OCLC 4553382.
  • Publications of the Cambridge Historical Society, Issues 5–7. Cambridge, MA: Cambridge Historical Society. 1911. p. 71. OCLC 6177743.
  • Duncan, Roger F (1992). Coastal Maine: A Maritime History. New York: Norton. ISBN 0-393-03048-2.
  • Gwyn, Julian (2004). Frigates and Foremasts: The North American Squadron in Nova Scotia Waters, 1745–1815. Vancouver, BC: UBC Press. ISBN 978-0-7748-0911-5. OCLC 144078613.
  • Leamon, James S (1995). Revolution Downeast: The War for American Independence in Maine. Amherst, M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ISBN 978-0-87023-959-5.
  • Mancke, Elizabeth (2005). The Fault Lines of Empire: Political Differentiation in Massachusetts and Nova Scotia, ca. 1760–1830.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95000-8. OCLC 56368582.
  • Smith, M. F. C. (March–August 1895). "Machias in the Revolution and Afterward". The New England Magazine. John N. McClintock & Co. (Volume XII). OCLC 7568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