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맥도웰 전투

Battle of McDowell
맥도웰 전투
남북전쟁의 일부
날짜1862년 5월 8일 (1862-05-08)
위치
결과남부 연합의 승리
호전성
미국 미국(유니온)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CSA(충돌)
지휘관과 지도자
로버트 밀로이
로버트 C.스켄크
토마스 J. "스톤월" 잭슨
에드워드 존슨
6,000[2]–6,500[3]6,000[3]–9,000[2]
사상자 및 손실
256–259c. 500–532

시틀링턴 언덕 전투로도 알려진 맥도웰 전투는 1862년 5월 8일 버지니아주 맥도웰 인근에서 남북전쟁 당시 스톤월 잭슨 소장이 1862년 셰넌도아 계곡에서 벌인 전투의 일환으로 치러졌다.제1차 케른스타운 전투에서 전술적 패배를 당한 잭슨은 남부 셰넌도아 계곡으로 철수했다.로버트 밀로이 준장로버트 C 준장이 지휘하는 연합군. 스켄크는 현재 웨스트 버지니아에서 셰넌도아 계곡으로 진격하고 있었다.에드워드 존슨 준장이 지휘하는 부대에 의해 보강된 후, 잭슨은 맥도웰에 있는 밀로이와 스헨크의 진지를 향해 전진했다.잭슨은 재빨리 시틀링턴 힐의 눈에 띄는 높이를 차지했고, 유니온의 언덕 탈환 시도는 실패했다.연합군은 그날 밤 후퇴했고, 잭슨은 추격했지만, 5월 13일에야 맥도웰로 돌아왔다.맥도웰 이후, 잭슨은 그의 밸리 유세 동안 몇 번의 다른 전투에서 유니온 군대를 물리쳤다.

배경

1862년 3월 나다니엘 P. 뱅크스 소장이 지휘하는 연합군은 조지 B 소장의 지원을 목표로 셰넌도아 계곡으로 이동했다. 맥클렐런버지니아 반도를 진격했어뱅크스의 진격에 대한 연합군의 저항은 토마스 J. "스톤월" 잭슨 소장이 지휘하는 작은 군대로 구성되었다.3월 21일 유니온 고등사령부는 제임스 실즈 준장이 지휘하는 사단만 남겨두고 뱅크스 지휘부의 대다수를 셰넌도아 계곡 밖으로 나가라고 명령했다.쉴즈는 스트라스버그에 있는 그의 캠프를 떠나 윈체스터를 향해 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3월 23일, 잭슨은 케른스타운 근처에서 쉴즈의 사단을 따라잡았다.잘못된 정보로 인해 잭슨은 실즈의 병력 중 극히 일부만이 케른스타운에 있다고 믿게 되었고, 그래서 그는 폭행을 명령했다.대신 쉴즈는 전 병력을 거느리고 그 지역에 있었고, 날카로운 전투가 벌어졌다.남부 연합군은 돌담 뒤에 자리를 잡았으나 남부 연합 준장 리차드 B의 뒤를 따랐다. 가넷여단은 탄약이 부족하자 후퇴했고, 남군 진지의 옆구리가 노출되어 잭슨은 필드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케른스타운에서 잭슨을 격파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니온 고등 지휘부는 남부 연합군이 보여준 공격적인 행동에 신경을 쓰고, 앞서 이동했던 뱅크스 군대의 2개 사단을 포함한 셰난도 계곡 지역에 더 많은 병력을 파견하기 시작했다.[4]

케른스타운에서 퇴각한 후에도 잭슨의 부대는 명령을 기다리고 전투를 준비하며 남부 셰난도 계곡에 남아 있었다.지난 4월 잭슨은 리치몬드 인근 매클렐런의 군대에 합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목표로 밸리 내 유니온 부대를 점령하게 하라는 명령을 받았다.잭슨의 캠프에도 리처드 이웰 소장이 지휘하는 증원군이 왔다.[5]한편, 또 다른 유니온 부대가 잭슨의 군대에 대항하여 움직이고 있었다. C 소령. 프레몬트산악부는 서쪽으로부터 앨러게니 산맥을 가로질러 잭슨을 향해 이동하고 있었다.프리몬트의 선발대는 로버트 밀로이 준장이 지휘하는 3,500명으로 구성되었다.밀로이는 5월 초 맥도웰 마을에 도착했고, 로버트 C 준장 휘하의 또 다른 2500명에 의해 강화되었다. 5월 8일에 스켄크.[6]

잭슨의 칼럼들은 5월 7일 아침 웨스트뷰와 스툰턴 지역에 있는 그들의 캠프를 출발했다.잭슨은 에드워드 "알레게니" 준장의 여단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7]맥도웰 주변 지역은 몇 개의 높은 지점이 있었다; 잭슨 마운틴으로 알려진 봉우리가 마을의 서쪽에 위치해 있었고, 불 파스퇴르 마운틴은 맥도웰의 동쪽에 있었다.파커스부르크와 스툰턴 턴피케로 알려진 도로가 이 지역을 통해 대략 동서로 뻗어 있었다.도로의 남쪽에 시틀링턴 힐로 알려진 언덕이 있었고, 헐스 힐은 도로의 북쪽에 있었다.불 파스퇴르 강은 맥도웰과 시틀링턴 힐과 헐스 힐 사이를 달렸다.공격을 예상한 연합군 지휘관들은 소규모 병력을 파견하여 교전 요원으로 복무했다.헐스 힐 남단에도 포병전지의 일부가 보내졌는데, 남군은 남부군의 시야가 전혀 확보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기적인 화재를 유지했다.오하이오 32보병대, 오하이오 73보병대, 웨스트버지니아 3보병대의 연합전투 요원들이 남부군과 접촉했다.[8]

대립군

유니온

스켄크는 여단의 명목상의 지휘권을 여전히 가지고 있지만, 연합군의 전반적인 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밀로이 여단에는 보병 6개 연대포병전지 2개, 기병 1개 연대가 들어 있었다.밀로이 여단의 모든 부대는 오하이오웨스트 버지니아 주 출신이었다.스헨크의 여단은 보병 3개 연대와 포병 1개 포병 1개 포병 1개 대대 등으로 구성되었다.오하이오, 웨스트버지니아, 코네티컷에서 온 부대가 스헨크의 여단에 대표되었다.[9]

남부 연합

남부군은 잭슨 원군의 3개 여단과 존슨 부대의 2개 여단으로 구성되었다.잭슨의 원래 병력에는 보병 5개 연대와 찰스 S 준장이 지휘하는 포병전지 2개 여단이 들어 있었다. 윈더, 3개 보병 연대 1개 여단, 1개 보병 대대, 그리고 존 A 대령이 지휘하는 2개의 포병전지. 캠벨3개 보병 연대 1개 여단과 윌리엄 B 준장이 지휘하는 포병전지 1개 여단. 탈리아페로.존슨의 부대는 제파냐 T. 코너 대령이 지휘하는 3개 보병 연대 1개 여단과 윌리엄 C 대령이 지휘하는 3개 보병 연대 2개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스콧. 코너의 여단에 있는 조지아 연대 1명을 제외한 남부군의 모든 부대는 버지니아 출신이었다.[10]

전투

Plaque marking battle
장로회 앞에 놓인 명패 표시전
A map of the battle
제디아 하치키스의 전투 지도

그런 다음 잭슨은 군대를 보내 가볍게 방어하는 시틀링턴 언덕의 볏을 점령했다.스콧의 여단이 앞장섰다.제52 버지니아 보병대는 남군에서 교전 대형으로 정렬했고, 제44보병대제58보병대는 제52보병대와 시틀링턴 힐의 반대쪽 끝 도로 사이에 정렬했다.코너 여단의 조지아 제12보병대는 버진아인들을 지원했다.[11]잭슨과 존슨은 측면 공격에 적합한 길을 찾겠다는 희망으로 유니온의 입장을 관찰할 수 있는 지점을 찾기 위해 언덕 꼭대기로 이동했다.그러나 밀로이는 자신의 유니온 부대에 시틀링턴 언덕에 있는 남부 연합군의 위치를 공격하라고 명령하여 남부 연합군의 계획을 교란시켰다.[12]험한 지형은 잭슨으로 하여금 시틀링턴 언덕에 있는 자신의 노선을 포병으로 지지하지 않기로 결정하게 했다.[3]

밀로이와 스켄크는 남부 연합군에 대항하여 5개 연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제25 오하이오 보병과 75 오하이오 보병(밀로이 여단 출신)은 연합군 지휘관들이 남부 연합군의 중심지가 있다고 생각하는 곳을 겨냥했다.스헨크 여단의 82보병대와 밀로이 여단의 32보병대가 25~75번 오하이오 주군의 좌측에 정렬했고, 웨스트버지니아 3보병대는 연합군 왼쪽 도로를 따라 전진했다.[13]남군이 높은 땅을 차지했다는 사실이 그들에게 불리함을 증명할 것이다: 해가 남군선 뒤로 지고 있어서 군인들이 하늘을 배경으로 윤곽을 드러내고 있었다.언덕은 또한 연합군을 숨기는 데 도움이 되는 그림자를 드리웠다.[14]그루지야 12호는 남부 연합군의 주요 라인 앞에 노출된 위치에 게시되었고, 연합군의 공격과 첫 접촉을 했다.게오르기아인들의 지위와 구시대적인 사향은 그들에게 싸움에서 결정적인 불이익을 주었다.더 아래로 내려가면 32호선과 82호 오하이오호는 25호 버지니아 보병대와 31호 버지니아 보병대 코너 여단이 보강한 메인 컨페더레이션 라인을 명중시켰다.[15]그 전투는 매우 무거워졌고, 보도들은 그 전투가 "패기 있고, 평범하며,[3] 매우 훌륭하다"[16]고 묘사했다.어느 순간, 82대 오하이오주에 맞서 싸우는 남부 연합군은 죽은 군인들의 시체를 유방으로 사용하려고 시도했다.[17]

관할하는 제5연합 연대인 웨스트버지니아 제3연대는 남부연합 우익을 지키고 있던 버지니아 제52·31연대의 교전 요원과 마주쳤다.그 후 남부 연합군은 캠벨과 탈리아페로의 여단으로부터 추가 증원군을 받았다.탈리아페로의 제10보병여단은 남부연합군으로 이동했고 탈리아페로의 제23보병단과 제37보병대는 남부연합군 본선에서 제25보병여단을 구원했다.남부 연합군의 중앙을 향해 피투성이가 되어 탄약이 떨어진 조지아 12호는 철수할 수밖에 없었고 캠벨의 48 버지니아 보병으로 대체되었다.밀로이는 자신의 연대의 일부를 이동시켜, 32대 오하이오를 그루지아인들이 쫓겨났던 75대 오하이오를 지지하기 위해 이동시켰고, 3대 웨스트 버지니아를 측면에서 32대 오하이오가 이전에 점령했던 위치로 데려왔다.제32대 오하이오주의 가중치가 더해지면서 48대 버지니아주는 진격자 자리를 빨리 비워야 하는 가운데, 수적으로 우세한 유니온 공격자들은 공격을 중단했다.전투는 오후 9시쯤 끝났다.[18]

여파

Plaque in cemetery in McDowell
맥도웰 묘지 명패

밀로이와 스헨크는 전투가 끝난 다음날 밤에 일반 퇴각 명령을 내렸는데, 퇴각하는 물자를 태워서 불스파스쳐 강에 투하하여 여분의 탄약을 처분할 수 없었다.잭슨은 5월 9일 유니온 칼럼의 추격을 시작했고, 유니온 부대는 5월 11일 웨스트버지니아주 프랭클린에 도달했다. 잭슨의 추격이 프랭클린 부근까지 이르렀지만, 남부연합군은 퇴로를 끊고 13일 맥도웰로 후퇴했다.[19]

사상자의 추정치는 출처마다 다르다.한 소식통은 146명의 사망자와 382명의 부상자, 4명의 생포자가 발생했으며, 총 532명의 사망자와 230명의 부상자, 3명의 실종자가 발생했으며 총 259명의 사망자와 3명의 실종자가 발생했다고 전했다.[20]다른 이들은 연합군의 경우 256명, 남부군의 경우 약 500명으로 손실을 보고 있다.[14][21]남부 연합군의 손실 중 약 180명이 12번째 그루지야에 의해서만 피해를 입었다.[14]게다가, 남부 연합군의 패배는 발목을 총에 맞아 중상을 입은 존슨을 포함했다.[22]

야전에서 후퇴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소식통들은 연합군이 잭슨과 본질적으로 정지상태로 싸워서 무승부를 달성했다고 주장해왔다.그러나 연합군의 패배와 밀로이와 스켄크의 셰난도 계곡 철수는 남부연합군에게 전략적 승리를 안겨주었다.[3]잭슨은 나중에 이 전투를 "어제 맥도웰에서의 승리로 하느님이 우리의 팔을 축복했다"라는 단 한 문장으로 요약했다.잭슨은 맥도웰의 뒤를 이어 밸리 캠페인을 계속했다.그의 다음 전투는 5월 23일에 뱅크스 군대의 전초기지에 대항하는 것이었고, 이후 남부 연합군은 5월 25일에 뱅크스의 주력 부대를 격파했다.6월 8일 크로스 키스와 6월 9일 포트 공화국의 전투에서 추가 승리는 남부 연합의 셰난도 계곡의 지배권을 회복시켰다.[23]

전장보존

남북전쟁신탁(미국전장신탁의 사단)과 그 파트너들은 2019년 현재 583에이커(2.36km2)의 전장을 인수해 보존하고 있다.[24]전장은 전시 건물 일부가 아직 서 있는 등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스틀링턴 언덕에서 벌어진 전투의 일부가 있는 곳으로 이어지는 산책로가 있으며, 전투 장소는 표식기로 기념되어 있다.전투 중에 사망한 병사들 중 일부는 맥도웰의 공동묘지에 묻힌다.[25]

참고 항목

메모들

  1. ^ 1998년 케네디, 450페이지.
  2. ^ a b 케네디 1998, 페이지 79.
  3. ^ a b c d e "McDowell (8 May 1862)". National Park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8, 2004.
  4. ^ 케네디 1998년 74-78페이지.
  5. ^ 데이비스 1988, 페이지 173–174.
  6. ^ 1998년 케네디 페이지 78-79.
  7. ^ 코젠스 2008, 페이지 260–261.
  8. ^ Cozens 2008, 페이지 263–265.
  9. ^ Cozens 2008, 페이지 516.
  10. ^ Cozens 2008, 페이지 518.
  11. ^ 코젠스 2008, 페이지 265–266.
  12. ^ 케네디 1998쪽 79-80쪽.
  13. ^ Cozens 2008, 페이지 266–267.
  14. ^ a b c 케네디 1998년 페이지 80.
  15. ^ 코젠스 2008, 페이지 267–269.
  16. ^ 태너 1996, 페이지 191.
  17. ^ Cozens 2008, 페이지 269–270.
  18. ^ Cozens 2008, 페이지 270–272.
  19. ^ 코젠스 2008, 페이지 274–275.
  20. ^ Cozens 2008, 페이지 273.
  21. ^ 에이처 2001, 페이지 259.
  22. ^ Cozens 2008, 페이지 272.
  23. ^ 케네디 1998쪽 80-87쪽
  24. ^ "Saved Land 2019". American Battlefield Trust. Retrieved May 2, 2020.
  25. ^ "McDowell Battlefield". American Battlefield Trust. Retrieved May 2, 2020.

참조

외부 링크

좌표:38°19′29″N 79°28′31″w/38.3247°N 79.4754°W/ 38.3247; -79.4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