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포 전투

Battle of Sansapor
산사포 전투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 태평양 전쟁
Columns of troop-packed LCIs trail in the wake of a Coast Guard-manned LST en route for the invasion of Cape... - NARA - 513184.tif
산사포 침공을 위해 이동 중인 군부대 포대식 상륙함 기둥.
날짜1944년 7월 30일 - 8월 31일
위치
결과연합국의 승리
호전성
미국 일본.
지휘관과 지도자
United States 프랭클린 C.시버트
United States 윌리엄 페치텔러
United States 러셀 S.베르키
일본 제국 알 수 없음

미국 태풍 태스크포스

미국 태스크포스 77

미국 태스크포스 78
Empire of Japan 35사단
사상자 및 손실
14명 사망
부상자[1] 35명
385명 사망
215 캡처[1]

산사포로터 전투(Operation Globetrotter)는 제2차 세계 대전보겔코프 반도의 네덜란드 뉴기니 산사포를 둘러싼 수륙양용 상륙 및 이후 작전이었다.[2]

해군

윌리엄 페치텔러 제독의 공격군(태스크포스 77)은 11척의 구축함, 5척의 APD, 16척의 LCI, 3척의 로켓 LCI, 8척의 LST, 4대의 PC, 1척의 ATF로 구성된 D-Day 그룹을 편성할 예정이었다.러셀 버키 제독의 지휘를 받는 중 순양함 1척, 경순양함 2척, 구축함 9척으로 구성된 커버링포스(태스크포스 78)가 필요할 경우 지원사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2][1]

태풍 작전에 대비해 1944년 6월 17일, S-47, 로이드 V 중위 휘하의 S-47.영은 알라모 정찰대, 연합정보국 요원, 제5공군의 지형 전문가, 7대 수륙양용군 수로 측량사 등의 요소를 삽입하는 임무를 띠고 해군 군도에서 와게오를 향해 항해했다.[1]정찰대는 6월 23일 사사바포-마르 근처에 상륙했는데, 사사바포-마르 일당은 이 지역을 조사하면서 한 주를 보냈다.이 정찰과 공중정찰의 결과, 공격 착륙은 소롱 북동쪽 55마일(89km)의 육지로 전환되었다.[2]

상륙부대

7월 태풍 작전지도1944년 8월

1944년 7월 30일 태풍[3] 작전은 산사파르(그린비치), 마르(레드비치), 미델부르크 섬, 암스테르담 섬에 상륙했다.태풍 지상군 작전은 프랭클린 C 소장이 맡았다. 시버트, 6 보병사단 사령관.[1]시버트 장군은 20연대 전투단보다 6사단(강제화)으로 구성된 태풍 태스크포스(TAFFER Task Force)로 지정된 조직을 지휘할 예정이었다.태풍대책본부의 D-데이 에클론 전투부대는 제1보병연대, 제1대대대, 제63d보병연대, 제1야전포대, 제6기병정찰대, 제6공병대, 제4기병정찰대, 제4기병전지가 있었다.[1]

모든 상륙작전은 결국 반대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8월 16일에야 일본 35사단의 요소가 상륙작전의 지역에 도달할 수 있었다.8월 31일까지 1-63 보병은 155명의 일본인을 죽이고 42명의 포로를 잡았다.미국 연대는 3명의 전사자와 4명의 부상자를 잃었다.서쪽 측면에 위치한 1보병대는 197명의 일본인을 사살하고 154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4명만이 부상당했다.제6기병정찰대는 일련의 순찰을 하던 중 42명의 일본인을 사살하고 5명을 생포했다.7월 30일부터 8월 31일까지 태풍 태스크포스의 총 전투 사상자는 14명, 35명, 9명이 부상했다.[1]같은 기간 일본군의 피해는 385명이 사망하고 215명이 생포된 것으로 추정됐다.[1]

결국 전투기를 위한 활주로가 미들버그 섬과 북동쪽으로 3월 부근의 폭격기들을 위해 건설되었다(오늘날까지도 상륙 지대가 보인다). 비록 사바포의 통제는 캠페인을 개시하기 위한 기지의 보안에 필수적이었고 공중경보레이더 스테이션으로 남아 있었다.[2]배들이 이 해안을 한 달 동안 순찰을 돌면서 일본인들을 궁지에 몰아넣었다.글로베트로터 작전은 8월 31일에 끝났고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필리핀으로 돌아오는 길에 마지막으로 착륙한 지점은 산사포에 있었다.[2]

7월 31일, 산사포에서는 오프라이 곶의 해안 대 해안 상륙이 실시되었다.만옥와리의 왜군 수비대는 끊겨 소롱으로 후퇴를 시도했다.[2]

베이스 개발

비행장미들버그 섬, 오프라이 케이프, 암스테르담 섬의 비행선 기지에 건설되었다.[2]3월에는 레이더 기지도 설치되었다.[2]곶 오브마라이 비행장은 이제 불용 비행장이 되었다.[citation needed]

참조

  1. ^ a b c d e f g h Smith, Robert Ross (1996). The Approach to the Philippines.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pp. 425–449. ISBN 978-1410225078.
  2. ^ a b c d e f g h Morison, Samuel Eliot (2001).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New Guinea and the Marianas, March 1944 – August 1944.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p. 140–4. ISBN 0-252-07038-0.
  3. ^ Lorelli, John (1995). To Foreign Shores: U.S. Amphibious Operations in World War II. Naval Institute Press. p. 255. ISBN 978-1557505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