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전투

Battle of Washington
노스캐롤라이나 워싱턴 전투
남북전쟁의 일부
EXTERIOR, EAST SIDE - Haven Warehouse, Van Norden and Main Streets, Washington, Beaufort County, NC HABS NC,7-WASH,3-2.tif
연합군은 헤이븐스 창고(위)에 불을 지르려 했으나 전쟁에서 살아남았다.[1]
날짜1863년 3월 30일 (1863-03-30) – 1863년 4월 20일 (1863-04-20)[2]
위치
결과 결론에 도달하지 못함
호전성
United States 미국(유니온)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CSA(충돌)
지휘관과 지도자
존 G. 포스터 대니얼 H.
관련 단위
16세 군단
워싱 게리슨
힐스 디비전
6연대
포병 부대 1만 2천 명
1사단 9000[5]
사상자 및 손실
40 60

워싱턴 전투1863년 3월 30일부터 4월 19일까지 노스캐롤라이나주 보포트 카운티에서 남북전쟁 당시 제임스 롱스트리트 남부연합 중장조수 작전 일환으로 벌어졌다. 이 전투를 리틀워싱턴 포위전이라고도 한다.[6]

배경

번사이드의 노스캐롤라이나 원정대가 절정에 이른 후 남부 연합군은 노스캐롤라이나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1862년 12월 뉴 베른에서 온 유니온 탐험대가 중요한 윌밍턴과 웰던 철도를 따라 뉴욕 골드스보로에서 철교를 파괴했다. 이 탐험은 철도에 일시적 피해만 입혔을 뿐, 남부 연합 당국이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 연안의 상황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했다.[7]

프레데릭스버그에서 열린 남부 연합의 승리에 이어 로버트 E 장군. 대통령은 해안을 따라 연합 점령군을 상대하기 위해 자기 군대의 상당 부분을 파견할 만큼 자신감에 차 있었다. 전군은 제임스 롱스트리트 중장의 지휘를 받았다. 롱스트리트가 서퍽을 상대로 직접 작전을 펼치는 동안 소령뉴베른노스캐롤라이나주 워싱턴연방 교도관에 대항하는 칼럼을 이끌었다.

G 소령 노스캐롤라이나 주를 지휘하는 포스터는 노스캐롤라이나 해안을 따라 있는 유니온의 수비대 전반을 책임졌다. 힐이 뉴 베른에 대한 공격이 실패한 후 포스터는 수비대를 직접 지휘하기 위해 워싱턴에 도착했다.

포위 공격

미국 전장 보호 프로그램에 의한 워싱턴 전장의 핵심 및 연구 지역 지도.

웨스트포인트의 훈련된 육군 기술자인 포스터는 방어에 3척의 포선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마을의 방어를 향상시키는 데 그의 기술을 유용하게 사용했다. 3월 30일까지, 그 마을은 요새로 둘러싸여 있었고, 브릿지는 포위되었다. 리처드 B 장군 가넷의 여단은 워싱턴의 투자를 시작했다. 한편 힐 차관보는 배터리는 물론 타르 강변에 하천 장애물을 설치해 증원 활동을 방해했다. 그는 또한 뉴 베른에서 육로로 오는 구호 활동을 경계하기 위해 워싱턴 남부에 2개 여단을 배치했다.[8] 남군은 포스터에게 항복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포스터는 "남군들이 워싱턴을 원한다면 와서 가져가라"고 대답했다. 이런 반항에도 불구하고 포스터는 포위망을 이탈할 힘이 부족했고 힐은 중상을 입을 위험을 무릅쓰고 폭행을 피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따라서, 교전은 포병 중 하나로 발전했고, 심지어 그렇게 해도 남부 연합군은 탄약을 보존하기 위해 그들의 불을 제한했다. 때맞춰 양쪽 모두 물자가 바닥나고 있었고, 비와 진흙 속에서 상황은 비참해졌다. 워싱턴에 대한 진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힐은 연방정부가 궁지에 몰린 한 정당을 찾는 형태로 중요한 목표를 달성하고 있었다.

구호 활동

브리지 휘하의 연방 구호 칼럼. 헨리 프린스 장군은 타르 강을 항해했다. 프린스는 일단 반란군 배터리를 보고 교통수단을 돌렸을 뿐이다. 브리지 휘하의 두 번째 노력. 프랜시스 바레토 스피놀라 장군은 뉴 베른에서 육로로 이동했다. 스피놀라는 Blount's Creek을 따라 패배하고 New Bern으로 돌아왔다. 포스터는 워싱턴을 탈출하여 개인적으로 그의 참모총장 브릿지를 남겨두고 구호활동을 이끌기로 결심했다. 에드워드 E 장군 워싱턴의 포터가 지휘한다. 4월 13일, USS 에스코트는 남부 연합 전지를 용감하게 공격하여 워싱턴으로 진출했다. 에스코트는 로드아일랜드 연대 형태로 보급품과 증원군을 전달했다. 포스터가 탈출한 것은 4월 15일 이 배에 타고 있었다. 배는 심하게 파손되었고 조종사는 치명상을 입었지만 포스터는 해냈다.

포위를 올리기

포스터가 탈출한 것과 거의 동시에 힐은 결국 그의 철수를 초래한 수많은 이유들에 직면했다: 그의 수렵 노력의 완료, 연방 수비대에 도착하는 유니온의 보급품들 그리고 마침내 롱스트리트에서 서퍽에 대한 공격의 원조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도착했다. 힐 차관보는 4월 15일 포위를 해제하고 워싱턴 방어를 앞세운 가넷의 여단을 철수시키기 시작했다.[9]

한편 포스터는 뉴 베른으로 돌아가 즉시 구호 활동을 조직하기 시작했다. 그는 프린스 장군에게 골드스보로 부근의 남부 연합군을 저지하기 위해 킨스턴을 향해 철로를 따라 행진하라고 명령했고, 포스터 장군은 뉴번에서 북쪽으로 두 번째 기둥을 이끌고 앞서 스피놀라 장군이 되돌아간 블라운트 크릭 쪽으로 갔다. 4월 18일, 포스터는 스피놀라에게 워싱턴에서 뉴 베른으로 가는 직통 도로를 지키고 있는 스위프트 크릭에서 남부 연합군을 도로 봉쇄에서 몰아내라고 명령했다. 동시에 헨리 M. 나글리 장군은 워싱턴 근방의 남부연합 후방 경비대를 공격하여 여러 명의 포로와 연대 전투기를 포획했다. 4월 19일 포스터는 워싱턴 방어선으로[10] 돌아왔고 4월 20일까지 남부 연합군은 그 지역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여파

포스터와 포터의 습격과는 별도로 노스캐롤라이나는 로버트 E가 1864년까지 비교적 조용했다. 대통령은 연안에 있는 연방 통제소들에 대한 또 다른 작전을 위해 군대를 아끼지 않을 수 있었다.

참조

  1. ^ 클린트 존슨(Clint Johnson)의 캐롤리나스 내전 유적지 둘러보기 p.86
  2. ^ ABPP:워싱턴
  3. ^ 남부 연합군이 철수했다.
  4. ^ 브리지스, H. (1991) 리의 매버릭 제너럴, 링컨 & 런던: 네브라스카 대학 출판부, 페이지 175
  5. ^ 브리지스, H. (1991) 리의 매버릭 제너럴, 링컨 & 런던: 네브래스카 대학교 출판부 페이지 175
  6. ^ 데이어의 컴펜디엄 43 & 44th Massachusetts 둘 다 "Little Washington"의 구호에 참여했다.
  7. ^ 차이틴 p.85-86
  8. ^ 케네디 페이지195
  9. ^ 포스터의 공식 보고서
  10. ^ 포스터의 공식 보고서

원천

좌표: 35°32′39″N 77°03′36″W / 35.5443°N 77.0601°W / 35.5443; -77.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