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가 구
Belaga District벨라가 구 | |
---|---|
![]() 벨라가 구 지도 | |
좌표: 2°42˚N 화씨 113°47°E / 2.700°N 113.783°E좌표: 2°42′N 113°47′E / 2.700°N 113.783°E/ 2 | |
면적 | |
• 합계 | 19,403.2km2(7,491.6 sq mi) |
인구 (2010)[1] | |
• 합계 | 37,102 |
• 밀도 | 1.9/km2(5.0/sq mi) |
벨라가(Belaga)는 말레이시아 사라왁 주 카핏 사단의 구이다. 라장강 상류, 카피트에서 북동쪽으로 약 120km, 빈툴루 인근 남중국해 해안에서 약 1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후루 라장 의회 선거구 내에 위치한다.
2010년 기준 지구인구는 3만7,102명이고 지구 면적은 1만9,403.2km²이다. 벨라가(Belaga)는 1900년대 초 중국 무역상 몇 명이 가게를 차리고 오랑우루와 거래를 시작하면서 등유, 소금, 공산품 등 필수품을 공급하면서 설립됐다.
지역
발루이 강과 벨라가 강을 따라 켄야와 카얀 장가가 많고, 레장강을 따라 푸난, 세카판, 케자만, 탄중 장가가 있다. 국지적으로 고속정(4.5시간)으로 알려진 배로 카핏과 연결되며 빈툴루-바쿤 고속도로를 따라 타르 실링 도로를 통해 2.5~3시간 주행하는 빈툴루와 함께 30여㎞의 고르지 않고 지그재그로 타르 실링된 도로를 포함한다.(메자와벨라가 타운)
바쿤댐
북쪽으로는[2] 바쿤댐이 있는데, 바쿤댐은 중국 이외의 아시아에서 가장 큰 댐이다. 이 댐은 사라왁을 비롯한 주변지역과 말레이시아 반도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경제사정, 특히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등으로 인해 건설이 여러 차례 지연됐다.[3] 연방정부는 이미 수십억 링깃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 프로젝트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공사 초기 시행 단계에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계획을 축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7년 1월 말레이시아 연방정부는 댐이 발생시킨 전력을 해저 전력 케이블을 통해 말레이시아 반도에 이전한다는 당초 계획을 재가동할 뜻을 밝혔다. 해저케이블은 670km의 거리에 걸쳐서 남동부 조호르 주에 있는 융펑에서 말레이시아 반도 해안에 도달할 것이다. 그것은 2012년까지 가장 빨리 완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저케이블을 통과하기 전에 700킬로미터의 거리를 가로지르는 오버헤드 송전 케이블을 통해 바쿤에서 사라왁 서쪽 끝으로 전기가 흐를 것이다. 추가 사업에는 90억에서 100억 사이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댐은 1만 1천 마리의 오랑우루를 그들의 전통 가옥에서 뿌리뽑고, 수백 마리의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과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이 그로 인해 잃으면서 수백 평방 킬로미터의 고대 처녀 열대 우림을 깨끗하게 자르고, 사라왁의 자연환경을 영원히 바꾸어 놓았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참조
![]() | 위키보야지는 벨라가 여행 가이드를 가지고 있다. |
- ^ "Laporan Kiraan Permulaan 2010". Jabatan Perangkaan Malaysia. p. i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8, 2011. Retrieved 2011-01-24.
- ^ 댐 위치의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지도 2011-07-27.
- ^ 프로젝트에 대한 간략한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