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나드 존 맥퀘이드

Bernard John McQuaid
버나드 존 맥퀘이드
Bishop Bernard John McQuaid.jpg
태어난(1823-12-15) 1823년 12월 15일
죽은1909년 1월 18일 (1909-01-18) (85세)

버나드맥콰이드(Bernard John McQuaid, 1823년 12월 15일, 뉴욕시 – 1909년 1월 18일, 뉴욕시 로체스터시)는 미국의 가톨릭 사제였으며, 미국 로체스터의 초대 주교이자 세튼대학의 초대 총장이었다. 맥콰이드 예수회 고등학교는 그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지어졌다.

초년기

아일랜드 타이론 출신의 아버지 버나드 맥퀘이드는 뉴저지 주 포웰스 훅(현 저지시티)에 정착했다. 1829년 11월 첫 번째 일요일, 존 콘론 신부가 포웰의 후크에서 매스를 처음 말한 것은 맥콰이드 집에서였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어렸을 때 돌아가셨고, 아버지는 술집에서 싸우셨다. 맥쿼이드는 자선 수녀회가 운영하는 로마 가톨릭 고아원에서 얼마간 시간을 보냈다.[1]

퀘벡 챔블리에서 대학 과정을 마친 후, 어린 맥쿼이드는 으로 들어갔다. 존스 신학교인 포드햄은 1848년 1월 16일 휴즈 주교로부터 뉴욕 옛 성 패트릭 성당에서 서품을 받았다.[1] 당시 뉴저지 주의 대부분은 뉴욕 교구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맥퀘이드 신부는 뉴저지 매디슨에서 목사의 조수로 파견되었다.

1853년 로마 가톨릭 뉴어크 대교구가 만들어졌을 때 제임스 루즈벨트 베일리 주교는 뉴어크에 있는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의 맥퀘이드 신부를 교장으로 임명했다. 미국 남북전쟁이 발발했을 때 그는 뉴어크의 첫 성직자로써 연방의 대의명분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그는 또한 목사로 자원했고 뉴저지 여단을 전쟁터로 동행시켰고, 그 동안 그는 남부연합에 의해 붙잡혔다.[1]

1866년 베일리 주교는 맥케이드를 총독으로 임명했다. 그 해 볼티모어의 제2차 총회에 참석했다. 주교와 함께 세튼대학을 설립했고, 교구 사무소나 교구 담당을 포기하지 않고 10년 동안 총장직을 수행했다. 그는 또한엘리자베스의 자선 수녀회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다.[2]

비숍

1868년 로체스터 교구 창설과 관련해 맥콰이드 신부는 초대 주교로 임명되어 1868년 7월 12일 베일리 주교의 도움을 받아 존 매클로스키 대주교에 의해 뉴욕 성 패트릭스 성당에 헌액되었다. 그는 1868년 7월 16일 로체스터에 설치되었다.[3]

그는 1869년/70년 제1차 바티칸 평의회에 참석하여 비 오는 날씨, 부적절한 난방 시설, 지루함을 호소했고,[4] 1884년 볼티모어의 제3차 본의회에 참석했다.[5]

덜 알려진 것은 핑거 레이크 최초의 상업용 와이너리 중 하나인 오-네-다 빈야드(O-Neh-Da Binard)의 선구자적 작업이다. 원주민의 문화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맥쿼이드는 빈야드를 세네카어로 '헴록의 호수'를 뜻하는 '오-네-다'라고 불렀다. 오네다 빈야드는 뉴욕주 핑거 레이크에서 열리는 성찬식에 100% 순 포도주를 만들어 맥케이드의 임무를 오늘까지 이어가고 있다.

McQuaid는 특히 카톨릭 교육의 대의에 헌신했다. 10년 이내에 로체스터에서 그는 수녀들이 가르치는 교구제를 조직하여 주립대학과 제휴했다. 교구를 맡은 지 2년 만에 성(聖)을 열었다. Andrew's Preparation School은 그가 1893년에 개교한 Saint Bernard's Senniversity의 교수가 되기 위해 그들의 교육을 마치기 위해 유럽 세미나에 보낸 유망한 학생들이다.[2] 그 동안 그는 끊임없이 교구 전체에 파리를 확장하고 있었다. 자선 사업을 새로 세우거나, 이미 설립된 사업을 강화하거나, 국가 기관의 수감자들을 위해 예배의 자유와 헌법상의 권리를 보장하고 있었다. 그 중 교구에는 네 가지가 있다.

1905년 그는 부교수를 요청했고, 1905년 5월 24일 토마스 프란시스 히키 주교가 성직되었다.

참조

  1. ^ a b c 말린, 조지 J, 그리고 광부 브래드 성 패트릭의 아들들: 뉴욕 대교구의 역사, 이그나티우스 프레스, 2017년, 페이지 119ISBN 9781621641131
  2. ^ a b 뉴욕주 로체스터와 먼로 카운티: 화보와 전기, 파이오니어 출판사, 1908, 페이지 27
  3. ^ 2013년 12월 15일, 민주당 & 크로니클, "로체스터 역사에서 이 날에: 버나드 존 맥쿼이드가 태어났다"
  4. ^ "The First Vatican Council". America. 8 September 196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September 2015. Retrieved 2 March 2018 – via Conciliaria.
  5. ^ 뉴욕 로체스터와 먼로 카운티의 전기 기록, S.J. 클라크, 1902, 페이지 448

원천

  • 공화국(보스턴, 1909년 1월 23일);
  • 가톨릭 태양(Syracuse, 1909년 1월 22일)
  • 카톨릭 뉴스 (1909년 1월 23일 뉴욕);
  • 조셉 M. 플린, 뉴저지가톨릭교회(Morristown, 1904년);
  • 프란시스 X. 루스, 비오그. 사이클로. 캐스. 미국의 위계(밀워키, 1879년);
  • 카톨릭 등록부(1849–1909)

외부 링크

이 문서는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누락되거나 비어 있음(도움말)

가톨릭 교회 직함
선행자
없음(Diocese가 작성됨)
뉴욕 로체스터의 주교
1868–1909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