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엄턴 트리플츠
Binghamton Triplets빙엄턴 트리플츠 1923–1968 뉴욕 빙엄턴 뉴욕 존슨 시티에서 열린 게임 | |
마이너리그 소속 | |
---|---|
이전 클래스 |
|
이전 리그 | |
메이저 리그 소속 | |
이전 팀 |
|
마이너리그 우승 | |
리그 타이틀 | 10 (1929, 1933, 1935, 1940, 1944, 1949, 1952, 1953, 1965, 1967) |
팀 데이터 | |
이전공원 | 존슨 필드 |
빙엄턴 트리플츠는 뉴욕 양키스(1932–1961년, 1965–1968년) 소속의 뉴욕 빙엄턴 마이너리그 야구팀이었으며,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1962–1963년), 밀워키 브레이브스(1964)와도 잠시 인연을 맺었다. 트리플츠는 구 뉴욕-펜실바니아 리그(1923–1937), 이스턴 리그(1938–1963, 1967–1968), 현 뉴욕-펜 리그(1964–66)에서 뛰었다. 1929년, 1933년, 1935년, 1940년, 1944년, 1949년, 1952년, 1953년, 1965년, 1967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트리플츠는 1968년 시즌 이후 뉴햄프셔의 맨체스터로 이적하여 맨체스터 양키스가 되었고, 1992년 현재의 AA급 빙햄튼 럼블 포렌스가 경기를 시작할 때까지 도시는 팀이 없었다.
트리플츠는 1968년 팀이 해체될 때까지 인근 존슨 시티의 존슨 필드에서 홈경기를 치렀다. 그 후 뉴욕 17번 국도 건설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구 야구장이 철거되었다. 이 팀은 'T'와 'C' 로고가 얽혀 있는 모자를 썼다. (원래 미네소타 트윈스 모자 휘장과 유사하다); 이 글자들은 '트리플 시티'(즉, 빙엄턴, 존슨 시티, 엔디코트)를 의미한다. 트리플츠가 양키 농장 팀이었던 반면, 베이브 루스, 루 게릭, 조 디마지오, 미키 맨틀과 같은 전설들을 즐기는 부모 클럽은 존슨 필드에서 매년 한 번의 시범경기를 치렀다.
주목할 만한 동문
야구 명예의 전당 동문
주목할 만한 동문
- 존 말랑고네 (1955)
- 진 비든(1945) 1948년 AL 방어율 타이틀
- Tiny Bonham (1936) 2 x MLB 올스타
- 클레트 보이어 (1957년)
- 갈랜드 브랙스턴(1946) 1928년 AL 방어율 타이틀
- 맥스 푸에르 (1934년)
- 버트 캄파네리스(1962) 6x MLB 올스타
- 스퍼드 챈들러(1932-1933) 4x MLB 올스타; 1943 AL MVP
- 호레이스 클라크 (1960년)
- 앳리 도널드 (1936년)
- 앨 다우닝(1961년, 1968년) MLB 올스타
- 짐 피니건(1950) 2x MLB 올스타
- 프레디 피츠시몬스 (1956년)
- 행크 포일스(1949) MLB 올스타
- 시토 개스톤(1964) MLB 올스타; 매니저: 2x 월드시리즈 챔피언 토론토 블루제이스(1992-1993)
- 밥 그림(1951) MLB 올스타; 1954년 AL 신인왕
- 하이니 그로 (1931년)
- 해리 검버트 (1932년)
- 랜디 검퍼트(1940) MLB 올스타
- 핑키 하그레이브 (1937년)
- 우디 홀드 (953)
- 토미 홈즈(1938) 2x MLB 올스타
- 랄프 후크(1941) 감독: 월드시리즈 챔피언 NY Yankees(1961-1962)
- 빌리 존슨(1941) MLB 올스타
- 데론 존슨 (1957)
- 밥 키건 91946) MLB 올스타
- 엘리스 킨더 (1941)
- 르우 크라우세 (1962년)
- 테드 쿠비악 (1962년)
- 조니 린델(1937) MLB 올스타
- 데일 롱(1950) MLB 올스타
- 마이크 럼 (1964)
- 제리 럼페(1953) MLB 올스타
- 핑키 메이(1934) MLB 올스타
- 클라이드 맥컬러우(1937) 2x MLB 올스타
- 존 맥나마라(1963) 1986년 올해의 AL 매니저
- 조지 맥킨(1932~1933) 7x MLB 올스타
- 톰 모건(1950년)
- 서먼 먼슨(1968년) 32세 사망, 올스타 7명, AL 신인왕 1970년, 1976년 AL 최우수선수
- 프레드 노먼 (1962년)
- 존 오도노휴(1963) MLB 올스타
- 앤디 파프코(1964) 5x MLB 올스타
- 조 페피톤(1960) 3x MLB 올스타
- 멜 퀸 (1941)
- 빅 라스치(1946) 4x MLB 올스타
- 엘리 로드리게스(1967년) 2x MLB 올스타
- 버디 로사(1934년) 5x MLB 올스타
- 켄 샌더스 (1962년)
- 에디 소여(1942-1943)
- 조지 셀커크(1948-1950) 2x MLB 올스타
- 빌 스코우론(1951) 8x MLB 올스타
- 무스 솔터스 (1932년)
- 버드 소쇼크 (1941)
- 스너피 스턴위스(1955) 2x MLB 올스타; 1945년 AL 배팅 타이틀
- 러스 스나이더(1955)
- 피트 수더(1938년)
- 랄프 테리(1954) 2x MLB 올스타; 1962년 월드 시리즈 MVP
- 이 토마스(1956, 1959년) 2x MLB 올스타
- 마브 로위스베리 (1953년)
- 짐 토빈(1933~1934) MLB 올스타
- 톰 트레쉬(1959) 3x MLB 올스타; 1962년 AL 신인왕
- 거스 트라이언도스(1950) 4x MLB 올스타
- 빌 비르돈(1952년) 1956년 NL 신인왕
- 빌 와이트(1942)
유명한 트리플트 선수들
- Whitey Ford: Yankee 좌완 선발투수 겸 야구 명예의 전당 회원.
- 서먼 먼슨: 1968년 스완송 시즌 트리플츠에서 뛰었던 양키스의 주장과 올스타 포수.
- 보비 리처드슨=1960년 월드시리즈 MVP를 차지한 2루수(브롱크스 폭격기들이 시리즈에서 졌지만)
- 조 페피톤 : 골드 글러브 우승 1루수.
- 알 다우닝: 다우닝은 1974년 4월 8일 LA 다저스에서 투구하던 중 행크 아론의 715호 홈런을 내줬다.
- 클레트 보이어=수비 3루수로서 형제(켄과 클로이드)도 메이저리거였다.
- Marv Rosephberry: 'Marvelous Marv'는 악명높은 1962년 메츠의 멤버였다.
- 켄 해럴슨(Ken Harrelson)은 1962년 트리플츠에서 38홈런을 치고 138득점을 몰아친 경험이 있으며 1968년(109득점)에 RBI에서 AL을 이끌었던 오랜 화이트삭스 방송인이다.
- 빅 라스치=1940년대 말과 1950년대 초 양키스 투수진의 빅3 중 한 명이다.
- 토니 라 루사: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세인트루사 두 리그에서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야구 명예의 전당 감독. 루이스 카디널스).
- 씨토 개스턴: 토론토 블루 제이스의 두 번의 월드시리즈 우승(1992년과 1993년) 동안 감독.
- 버트 캄파네리스: 1965년 9월 8일 한 경기에서 9개 포지션을 모두 소화한 최초의 MLB 선수인 캔자스시티 A와 오클랜드 A의 올스타 유격수는 1965–68, 1970, 1972년 6회 도루에서 AL을 이끌었다.
- 존 맥나마라=오클랜드 A, 샌디에이고 파드레스, 신시내티 레즈,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보스턴 레드삭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이 1986년 보스턴과 함께 AL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한 마이너리그 포수.
MLB 노트의 트리플트 매니저
(Triplet 매니저로 재직 시 시간순으로 나열됨)
- 마이크 코닉: 신시내티 레즈 유격수와 포수.
- 하이니 그로: 신시내티 레즈와 뉴욕 자이언츠 3루수는 '보틀 배트'로 유명했다.
- 빌리 마이어: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감독으로 알려져 있다.
- 레프티 고메즈: 양키 홀 오브 파메 남포 허들러.
- George 'Twinkletoes' Selkirk: 베이브 루스를 선발 양키 우익수로 교체했다.
- George 'Snuffy' Strnweiss: 능란한 필드의 양키 2루수.
- 프레디 피츠시몬스: 뉴욕 자이언츠와 브루클린 다저스 너클볼러.
- Granny Hamner: 1950년 필리스 'Whiz Kids'의 유격수.
- 존 맥나마라: 1986년 보스턴 레드삭스 우승팀 감독.
- 앤디 파프코: 1957년 월드시리즈 챔피언 브레이브스의 외야수.
- Cloyd Boyer: 세인트. 루이스 카디널 투수, 그리고 클레트와 켄의 동생.
참조
Broome County(2004)의 야구. 마빈 코헨과 마이클 맥캔의 작품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