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노스터

Black nor'easter
시드니 CBD 상공 블랙노어 이스트와 관련된 검은 폭풍 구름.

블랙노스터(Black Nor'Easter)는 호주 동부 해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속적이고 잠재적인 강력한 북동쪽 폭풍으로, 대류 바람은 아니지만 일 년에 이틀 정도 발생합니다. 이것은 1시간 이내에 강풍으로 바뀔 수 있는 짙은 검은 구름이 빠르게 쌓이는 것을 예고하며, 또한 보통 뇌우를 동반하는 폭우 이벤트를 수반합니다.[1] 이런 종류의 폭풍은 1800년대에 처음 기록되었습니다.[2]

배경

북동해풍은 여름 동안 NSW 해안에서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바다와 육지 사이의 온도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러나 더 넓은 시놉틱 패턴은 이러한 육상 바람을 크게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짙은 회색에서 사실상 검은 구름으로, 그리고 강력한 고기압 시스템에 의해 발생하는 습한 강풍(시속 약 60km) 때문에 "Black Nor'east"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극적인 비와 때때로 우박이 내리기도 합니다. 추운 달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동해안 최저 기온과 달리 흑노동은 따뜻한 달에 발생하고 북동쪽에서 발생하므로 2022년 동부 호주 홍수 사건과 같이 흑노동은 남쪽으로 갈수록 동해안 최저 기온으로 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쾌적한 온도를 제공합니다.[3][4]

형성

시드니의 뜨거운 화창한 날, 이 땅은 아침 동안 빠르게 뜨거워집니다. 일반적인 새벽바람은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옅은 남-서쪽 해상풍(카타바틱 바람)이지만, 육지가 더워지면서 북동쪽으로 대류 바람이 발달합니다. 전형적인 해풍으로, 해안에서 해가 뜬 직후에 시작하여 날이 갈수록 내륙으로 점차 밀려오며, 일반적으로 아침 중반에서 늦은 시간까지는 도시에, 오후 이른 시간에서 중반까지는 그레이터 웨스턴 시드니 지역에 도달합니다. 남쪽의 강타선처럼 기온이 급격하게 낮아지진 않지만, 며칠 동안 때때로 폭우와 천둥 그리고 심지어 우박까지 동반할 것입니다.[3]

고기압성 강화로 불리며 보통 차단고에 의해 강화되는 북동쪽은 동해안에 대해 동-북동쪽에서 파고가 급격히 상승하여 태즈먼해 서부 상공에 강한 북동기류와 동-북동쪽 폭풍파를 발생시킵니다. 바람은 종종 큰 파도를 일으키고 동해안의 낮은 곳과 결합하면 가장 강력한 폭풍우 환경을 만들어냅니다. 따뜻하고 습한 열대성 공기를 아열대 및 중위도 지역으로 이끄는 북동풍장은 남대양의 낮은 고도와 결합할 수 있습니다.[5]

인시던트

검은 북극성 폭풍으로 인한 강한 바람 때문에, 뉴 사우스 웨일즈 (특히 시드니)의 많은 사람들이 떨어지는 나무에 의해 목숨을 잃었습니다.[6][7][8] 게다가, 그러한 폭풍은 집중적인 홍수를 야기하고, (수천 가구와 기업들이 전기가 공급되지 않은 채로 남겨질) 송전선들을 무너뜨리고 지붕들을 붕괴시킵니다.[3]

눈에 띄는 폭풍

  • 2010년 2월, 시드니에는 25년 만에 가장 높고 심한 비가 내렸는데, 이 비는 강력한 뇌우와 강풍을 동반하여 전기가 끊기고 집에 피해를 입혔습니다.[9][10][11] 이번 폭우는 열대성 저기압 올가의 잔해와 북동풍을 타고 불어온 엄청난 양의 습기가 저기압의 기압골에 부딪혀 발생한 것입니다.[12][13]
  • 2013년 11월 18일, 토네이도가 어퍼 노스 쇼어(Upper North Shore)의 교외 지역인 혼즈비(Hornsby)를 강타했습니다.[14] 토네이도의 경로는 길이가 2km(1.2마일), 폭이 50m(160피트)였습니다. 토네이도는 지붕을 날려버리고 큰 나무들을 쓰러뜨렸습니다. 토네이도의 바람은 시속 140킬로미터(87마일)에 달했습니다.[15][16] 토네이도로 총 12명이 다쳤습니다.[14]
  • 2016년 6월에 발생한 'Black Nor' Easter' 파도는 호주 동부 해안 지역을 개조했으며, 뒷마당Colaroy의 바다로 굴러 떨어졌으며 인접한 주택들이 파손되었습니다. 다리, 교각, 보행로도 넘어졌습니다. 북쪽을 향한 거의 모든 해변은 앞사구의 세련되지 않은 청소부터 갈색 흙 속으로 집어삼키는 파도까지 어느 정도 침식을 견뎌냈습니다. 크로눌라(Cronulla)에서는 조수 지대 아래에서 바위 플랫폼으로 여러 개의 큰 바위가 던져졌습니다.[3]
  • 2020년 2월 7일에서 9일 사이에 시드니 대도시 지역에는 30년 만에 가장 많은 비가 내렸고, 이로 인해 통근자들이 혼란에 빠졌으며 10만 가구 이상의 집이 정전되었습니다.[17] 시드니 CBD는 3일 동안 약 391.6mm (15.42인치)의 비를 기록했습니다.[18][19][20] 이 폭풍은 또한 사우스 코스트, 블루 마운틴, 서던 하이랜드, 헌터 밸리, 센트럴 코스트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21]
  • 2021년 3월 20일, 시드니 서부 교외의 체스터 힐에서 토네이도로 인해 가옥이 파손되고 나무가 쓰러지면서 수천 명의 전기가 끊겼습니다.[22] 같은뉴사우스웨일스주 태리에서는 이번 노이스트로 인한 폭우가 내린 뒤 매닝강에 떠내려가는 주택이 발견됐고, 동부 해안가 곳곳에서도 많은 대피가 이뤄졌습니다.[23] SES는 폭풍이 몰아친 3월 18일 이후 6,000건 이상의 구조 요청과 550건의 직접적인 홍수 구조에 응답했으며, 중북부 해안과 일라와라 사이의 해안 지역이 폭풍의 가장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글래디스 베레질리안 NSW주 총리는 "장기적인 사건"이라고 표현했고 기상청은 "위험하고 위협적인 사건"이라고 설명했습니다.[24] 게다가, 이 폭풍은 북부 해안에 기록적인 비를 가져왔고, 켄달과 같은 포트 맥쿼리 근처의 마을들은 3월 19일에서 20일 사이에 400 밀리미터(16인치) 이상의 기록적인 비를 목격했습니다.[25] 이 폭우 사건은 태즈먼 해높은 곳이 NSW 해안을 향해 강력하고 습기가 많은 저기압골을 향했기 때문에 발생했습니다.[26]
  • 2022년 2월 말과 3월 초, 호주 남동부 해안을 황폐화시키는 검은 노르에스터가 거의 2주 동안 지속되어 브리즈번, 리스모어시드니 서부와 같은 주요 도시 지역이 침수되었습니다. 비록 북동쪽은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동해안의 낮은 곳으로 변했지만요.[27]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NORTHCLIFFE BOATS CAPSIZE IN "BLACK NOR'EASTER". Illawarra Daily Mercury. Wollongong, NSW: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8 January 1951. p. 10. Retrieved 27 March 2015.
  2. ^ "BLACK NOR-EASTER". The Sydney Morning Herald.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30 October 1911. p. 7. Retrieved 27 March 2015.
  3. ^ a b c d Stormageddon 기자: 안자 테일러. ABC 뉴스 호주입니다. 2016년 7월 19일 화요일
  4. ^ 기상청은 2022년 3월 2일, 케이트 도일, NSW에서 동해안의 저기압이 다가오는습한 날씨와 위험한 상황에 대해 경고합니다.
  5. ^ "From the beating heart of a Black Nor'Easter Swellnet Dispatch". Swellnet. Retrieved 12 November 2018.
  6. ^ 야생 날씨가 뉴사우스웨일스북부를 강타하면서 연방에서 쓰러진 나무에 의해 사망한 남성 바이 도나 하퍼 - ABC 뉴스
  7. ^ 시드니 폭풍: BBC 뉴스 이동하는 차에 나무 넘어진사망한 남자
  8. ^ 가디언지, 야생 폭풍이 몰아치는 동안 시드니에서 움직이는 차에 나무가 넘어지면서 사람이 사망합니다.
  9. ^ "Storm drenches Sydney". UPI.com. 12 February 2010. Retrieved 1 June 2010.
  10. ^ "Sydney dries out but regional threatened". News.smh.com.au. 12 February 2010. Retrieved 1 June 2010.
  11. ^ "Weather News - Wild storms lash Sydney". Weatherzone.com.au. 13 February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February 2010. Retrieved 1 June 2010.
  12. ^ "Rain swamps Sydney's water catchments". Smh.com.au. 7 February 2010. Retrieved 1 June 2010.
  13. ^ Huffer, Julie (10 February 2010). "Heaviest rain in almost 20 years - Environment - News Hornsby & Upper North Shore Advocate". Hornsby-advocate.whereilive.com.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anuary 2013. Retrieved 1 June 2010.
  14. ^ a b "Roof collapses at movie theatre at Westfield Hornsby". 18 November 2013.
  15. ^ 시드니 북부 혼즈비에서 토네이도가 발생한 후에도 청소 작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16. ^ "Hornsby was hit by a tornado, Bureau of Meteorology confirms". The Sydney Morning Herald.
  17. ^ 비: 2020년 2월 10일 The Australian에 의한 퀸즐랜드 NSW의 주말 대홍수 이후 혼란이 지배하면서 Warragamba Dam이 큰 힘을 얻고 있습니다.
  18. ^ 시드니 비: 기록적인 강우는 홍수를 가져오지만 BBC 뉴스에 의해 2020년 2월 10일 거대한 불길이 잡혔습니다.
  19. ^ 2020년 2월 9일, NSW 경찰이 20년 만에 가장 많은 비를 내리면서 전력이 없는 수천 명이 매일 10명씩 비를 맞았습니다.
  20. ^ 시드니 날씨: 월요일, 장기 예보 및 현재 폭풍 업데이트 7 뉴스, 2020년 2월 9일
  21. ^ 뉴사우스웨일스날씨: 침수된 지역에서 대피한 주민들캘라 월퀴스트와 가디언지호주 연합통신사에 의해 수천 명의 정전이 발생했습니다. 2020년 2월 9일
  22. ^ NSW 날씨: 미니 토네이도가 체스터 힐의 주택에 피해를 입혔다고 ABC 뉴스의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NSW 총리가 전했습니다. 2021년 3월 20일
  23. ^ ABC 뉴스에 의해 위험한 기상 시스템이 파괴의 길을 남기면서 윙햄의 집이 강을 따라 떠내려가고 있습니다. 2021년 3월 20일
  24. ^ NSW 날씨 라이브: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NSW 총리, ABC 뉴스 '장기화' 경고 2021년 3월 20일
  25. ^ 호주의 기록적인 비, 홍수 신속한 대피, 야후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2021-03-25! 뉴스
  26. ^ ABC 뉴스의 벤 디콘이 호주의 동쪽과 서쪽에 의 폭풍이 형성되면서 모든 주에 광범위하게 비가 내렸습니다. 2021년 3월 20일
  27. ^ "Savage weather batters south-east Queensland with deadly flash flooding escalating". The Guardian. 25 February 20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February 2022. Retrieved 27 February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