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난초
Blue Orchids푸른 난초 | |
---|---|
기원 | 잉글랜드 맨체스터 |
장르 | 포스트펑크 |
년 활동 | 1979-2007, 2012-현재 |
레이블 | |
회원들 |
|
블루오피스(Blue Orgides)는 마틴 브라마가 데뷔 앨범 《Live at the Witch Trial》에서 활동한 후 1979년 맨체스터에서 결성된 영국의 포스트 펑크 밴드다.Salford에 기반을 둔 펑크 시인 John Cooper Clarke가 만든 밴드는 Rough Trade를 위해 녹음했고 25년 동안 간헐적인 활동과 대체 정체성의 기간 동안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니코를 후원하는 밴드로 활동했다.
경력
더 폴을 떠난 브라마는 또 다른 두 명의 가을 멤버인 키보드 연주자 우나 베인스와 기타리스트 릭 골드스트로를 비롯해 베이시스트 스티브 토인, 드러머 이언 로저스(AKA Joe Kin)와 팀을 이루었다.[1][2]존 쿠퍼 클라크는 '복된 난초'라는 이름을 제안했지만 브라마에 따르면 골드스트로는 이를 '파란 난초'로 잘못 기억했고 이름은 그대로 붙여졌다고 한다.[3]
이 밴드는 러프 트레이드 레코드에 계약했고 1980년 11월 데뷔 싱글인 더블 A-side "The Flood"/"Disney Boys"[1][2][4]를 발매했다.이 발매 후에 스티브 토인은 밴드를 떠났고 릭 골드스트로는 베이스를 맡았다.1981년 2월에 이 그룹은 두 번째 싱글 "워크"를 발매했다.
"워크"는 BBC DJ John Pel이 정기적으로[4] 연주하여 그의 쇼를 위해 Pel 세션 녹화를 위해 초대받았다.이 밴드의 음악은 Echo & the Bunnymen의 관심을 끌었고, 그는 이후 1981년 영국 투어의 지원 활동으로 Blue Orgids를 초대했다.[3]알라스테어 "바즈" 머피는 베인즈가 아프기 때문에 투어에서 키보드를 연주하기 위해 영입되었다.
더듀루티 칼럼의 전 멤버 필립 토비는 이안 로저스가 에코 앤 더 버니맨 투어를 마치고 그룹을 떠날 때 드럼에 합류했다(나중에 토비 토마노프라는 이름으로 프리멀 스크림에서 계속 뛰었다).이 새로운 라인업은 데뷔 앨범 The Greatest Hit (Money Mountain)을 기록했는데,[2] 이 앨범은 1만 장이 팔렸다.
이 그룹은 니코와 함께 순회 공연을 했으며, 후원 그룹과 지원 활동을 병행했다.골드스트로는 니코와 계속 투어를 하기 위해 블루 난초를 떠나기로 결정했고, 그래서 새로운 베이스 연주자인 마크 헬리에르가 그를 대신했다.밴드가 니코와 함께 작업하는 동안, 스티브 가비(이전에는 버즈콕스, The Teardrops, 그리고 복복, 그때 동기)도 그가 미국으로 이주하기 직전에 그들과 함께 베이스를 연주했다.[5][6]
그 그룹의 다음 기록은 1982년의 에이전트 오브 체인지 EP이다.[4][7]연말 러프 트레이드와 결별한 뒤 그룹이 갈라지면서 베인즈가 더 페이트를 결성했다.[1]
브라마와 바인스는 1985년 싱글 '슬리피 타운'으로 블루 난초를 잠시 재구성했고, 이후 다시 그룹이 갈라졌다.그 후 브라마는 전 폴 드러머 칼 번즈와 함께 갈증이라는 새로운 그룹을 형성했다.이 그룹은 1987년에 Rideing the Times EP라는 단 하나의 음반만을 발매했다.[1]
1989년 브라마는 잠시 더 폴로 돌아와 엑스트리카이트 앨범에 출연했다.그는 다음 해 호주를 여행하던 중 그룹에서 해고되었다.
1991년 브라마는 전 스미스 기타리스트 크레이그 개논이 기타를, 마틴 헤닌이 베이스, 딕 해리슨이 드럼을 연주하는 블루 난초의 새로운 화신으로 돌아왔다.[1][2]그들의 첫 번째 발매는 "다이아몬드 에이지"라고 불리는 싱글이었고, 1991년 "시티에서 온 A View"라는 컴파일 앨범이 그 뒤를 이었다.1992년에 그들은 시크릿 시티 EP를 발매했고 두 번째 앨범은 1993년에 녹음되었지만 10년 동안 발표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브라마는 1995년에 다시 그룹을 분할하기로 결정했다.
2002년에는 체리 레드 레이블에 A Dark Bloom이라는 컴파일 앨범이 발매되었다.[2][8]이 발표문에는 브라마의 전 동료인 BBC DJ 마크 라일리가 쓴 소매 노트가 적혀 있었다. BBC DJ는 "Think Tom Verlaine with the Doors...80년대 가장 매력적이고 흥미를 끄는 밴드의 하나.
2003년에는 이 그룹이 LTM 레이블에 3장의 앨범을 재발매했다.1993년의 보류된 앨범은 마침내 The Sleeverper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10]거의 동시에 발매된 컴파일 앨범 《From Severy to Senen》이 있었는데, 이 앨범에는 그룹의 두 번의 필 세션과 라이브 트랙, 그리고 《갈색의 라이딩 더 타임즈 EP》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11]연말에 이 그룹의 데뷔 앨범 The Greatte Hit (Money Mountain)이 CD로 재발매되었다.
2004년에 LTM은 Mistic Budd라는 새로운 블루 오키드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12]그것은 9개의 브라마 원산과 함께 슈가, 아치들의 슈가, 슈가, 슈가 바이 더 아치들의 커버 버전을 포함하고 있었다.[12]설립자 릭 골드스트로는 슬럼-캐번-제스트에 돌아왔다!2005년 EP.이번 발매는 프레드 닐의 커버 버전인 "그린 록키 로드"를 선보였다.
2008년 1월 마틴 브라마는 데뷔 솔로 앨범 《배틀 오브 트위스트 힐》을 발매하였다.
2008년 12월 팀 라이온스와 브라이언 벤슨(더 샌델스 출신)이 출연하는 브라마의 새 그룹 '팩토리 스타'가 결성되었다.그들은 2009년 4월에 베이스의 전 폴 멤버인 스티브 핸리, 드럼의 폴 핸리, 그리고 그노드의 존 폴 모란(일명 홉 맨 주니어)과 키보드의 래피드 피그로 교체되었다.2010년 6월 현재 팩토리 스타의 라인업은 마틴 브라마, 홉 맨 주니어, 크리스 더튼(베이스), 톰 루이스(드럼스)이다.2012년 1월, 전 패스 드러머 조 맥케치니가 루이스의 뒤를 이었다.
2012년 9월, 푸른 난초는 리버풀, 맨체스터, 런던에서 긱스를 하면서 다시 한번 개혁했다.라인업은 팩토리 스타 멤버 마틴 브라마, 존 폴 모란, 크리스 더튼, 조 맥케치니 등으로 구성됐으며 기타/보컬에 앤 매튜스(Flaps/Ectogram)가 추가됐다.2013년 1월, V2와 Ed Banger의 전 멤버이자 오랫동안 활동했던 The Glitter Band 멤버였던 Chris Cornoli가 드럼에 합류했다.2015년에 A Witness and Inca Babies의 빈스 헌트가 크리스 더튼을 베이스로 교체했고 밴드는 정규 라이브 무대에 복귀했다.2017년 치스 코널리는 라스트 하버, 킨, 캘빈 파티의 정식 멤버인 하워드 존스에 의해 대체되었다.
2016년에서 블루 난화원이라고 러프 무역년의 Once와 미래 Thing,[13]소급 적용되는 컴파일 Awefull,[4]유명한 예술가들 Aleksandar Mladenović고 알렉산드라 Keković Mladenović, 브라마의 자신의 연락이 끊겼던 솔로 앨범 TheBattle 일그러진 힐의 라벨 글로벌 Productions,[14]430부터 작품 활동으로라고 불리는 새 앨범을 발매했다.그 모양의버밍엄 컬트 밴드 더 나이팅게일즈를 위한 스튜어트 리의 작곡을 포함한 신곡을 라인업하고 녹음했다.이 밴드는 2016년까지 순회공연과 녹음을 계속한다.
푸른 난초는 몇몇 저명한 음악 작가들로부터 비판적인 찬사를 받았다.NME의 바니 호스킨스는 이들에 대해 "푸른 난초들의 아픈 마음에서 깨지는 모든 화음, 성악, 기악에는 사랑과 갈망의 경제가 있다"고 말했고, 작가 폴 몰리는 두 번째 싱글 '워크'를 리뷰하면서 "그들은 환호하지만 화나지 않는다"[15]고 말했다.
인원
- 마틴 브라마 – 보컬, 기타(1979–)
- Una Baines – 키보드, 보컬 (1979–85)
- Rick Goldstraw – 기타 & 베이스 기타(1979–82, 2004–2007)
- 스티브 토인 – 베이스(1979-80)
- 이언 로저스 A.K.A. 조 킨 – 드럼 (1979–81)
- 필립 토비 토먼 – 드럼(1981–82)
- 스티브 가비 – 베이스 (c.1981 – c.1983)
- 마크 헬라이어 – 베이스(1982)
- 닉 마샬 – 드럼(1985)
- Chris Rickard – 백 보컬(1985)
- 스티브 리카드 – 기타(1985)
- Craig Gannon – 기타(1990-91)
- 마틴 헤닌 – 베이스(1990-92)
- 리처드 해리슨 – 드럼(1990-92)
- Mick Routrege – 키보드(1991–92)
- Adrian White – 드럼(1993-95)
- 스튜어트 케네디 – 베이스(1993-95, 2004)
- Alastair "Baz" Murphy – 오르간, 키보드(1981–95, 2004)
- 샬롯 빌 – 플루트 (2004)
- 버드 우무 – 드럼(2004)
- 스테프 – 드럼(2005)
- John Paul Moran – 키보드(2012–)
- Chris Dutton – 베이스(2012~2015년)
- 조 맥케치니 – 드럼(2012년)
- Ann Matthews – 기타, 보컬(2012년)
- 크리스 코놀리 - 드럼(2013~2017년)
- 빈스 헌트 – 베이스(2015~2021년)
- 하워드 존스 - 드럼 (2017 -)
- Tansy McNally - 전기 우쿨렐레(2020-)
음반 목록
표시된 차트 플래카운트는 영국 인디 차트에서 가져온 것이다.[16]
앨범
- The Great Hit (Money Mountain) (LP, Rough Trade, 1982년) - CD 재발행, LTM, 2003년, 모든 Rough Trade 비 lp 트랙에 Nico의 관련 없는 라이브 트랙을 추가)
- 더 슬리퍼(CD, LTM, 2003)는 90년대 앨범과 동시대 싱글 앨범의 트랙을 수록하고 있다.
- 미스틱 버드(CD, 2004 – 블루 난초의 공로를 인정받았지만, 마틴 브라마(Martin Bramah)의 단독 작업이었다.)
- 트위스트 힐(LP/CD, Tiny Global Productions, 2016) 전투(Martin Bramah의 공로, 비공개 압축 녹음의 합법적 재발급)
- The Once And Future Thing (LP/CD, Tiny Global Productions, 2016)
- Righty Harmony Fist (LP / CD, Tiny Global Productions, 2018)
- 푸른 난초의 마법 음반 (LP/CD, Tiny Global Productions, 2019)
- Speed The Day(LP/CD, Tiny Global Productions, 2021년)
컴파일 앨범
- 도시의 전망 (CD, Playtime, 1992 – 거친 무역 시대의 트랙의 불완전한 선택)
- 더 다크 블룸(CD, 체리 레드, 2002 – 러프 트레이드 시대의 트랙을 불완전하게 선택했으며, 이후 싱글이 몇 개 추가되었다.)
- Severy To Seren(CD, LTM, 2003) – 전체 Pell 세션, Rough Trade 및 다양한 라이브 트랙을 위해 기록된 Drast's 12" EP)
- Awarfull(LP/CD, Tiny Global Productions, 2016 – 전체 Rought Trade 싱글 및 Rarity)
라이브 앨범
- 블루 난초 폭탄 맨체스터! / 봄 함부르크! (2xCD, Tiny Global Productions, 2016 – 각각 1981년과 1985년 두 번의 완전한 라이브 쇼)
싱글 및 EP
- "홍수" / "디즈니 보이즈" (7), 러프 트레이드, 1980, No. 36)
- "일" / "바랜 집" (7", 러프 트레이드, 1980, 21호)
- "Agents of Change EP" (12" EP, Rough Trade, 1982, no. 12)
- "잠든 마을" / "박쥐"(12" EP, 라켓 레코드, 1985, 22번)
- "Riding The Times EP"(갈증 기준)(12" EP, Rough Trade, 1987)
- "다이아몬드 시대" / "모스" (12" 45, As/Is, 1991)
- "Secret City EP"(CD EP, Authentication Records, 1992년)
- "Slum-Cavern-Jest! EP"(CD EP, Blind Eye, 2005 – 개인적으로 누르는 EP)는 현재 대부분 "뒤틀린 힐의 전투"의 일부로 제공되며 마틴 브라마에게 인정되었다.
- "Skull Jam EP"(Limited Edition 10" EP, Tiny Global Productions, 2017)
니코와의 공연
- 1982년 1월 18일 런던 행사장
- 1982년 2월 25일 네덜란드 그로닝언 베라
- 1982년 10월 4일 덴마크 스타클러덴 아루스
- 1982년 10월 5일 덴마크 솔타게르테트 코펜하겐
- 1982년 10월 6일 덴마크 파라마운트 로실드 클럽
- 1982년 10월 8일 스웨덴 스톡홀름 캄라스팔라세트
- 1982년 12월 5일 쾰른 독일
- 1982년 12월 12일 파리 프랑스
참조
- ^ a b c d e Strong, Martin C. (1999). The Great Alternative & Indie Discography. Canongate. ISBN 0-86241-913-1.
- ^ a b c d e 영, 롭(2006) 러프 트레이드, 블랙 도그 출판사, ISBN 978-1904772477, 페이지 167
- ^ a b 레이놀즈, 사이먼(2009) 완전 유선: 포스트펑크 인터뷰 및 개요, 파버 & 파버, ISBN 978-0571235490, 페이지 209-212
- ^ a b c d Beaudoin, Jedd (2016) "푸른 난초 Awefull / The Once and Future Thing," PopMatters, 2016년 6월 23일.2016년 8월 6일 회수
- ^ "Watch Movie". Blueorchids.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11. Retrieved 1 April 2012.
- ^ "The Blue Orchids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13 August 2014.
- ^ Unterberger, Richie "Agents of Change Review", AllMusic.2016년 8월 6일 회수
- ^ 언터버거, 리치 "더 진한 꽃: 블루 난초 컬렉션 리뷰", 올뮤직2016년 8월 6일 회수
- ^ 소매 노트 '더 진한 꽃'
- ^ 래겟, 네드 "슬립퍼 리뷰" 올뮤직2016년 8월 6일 회수
- ^ 래겟, 네드 "심각한 것에서 세렌 리뷰로" 올뮤직2016년 8월 6일 회수
- ^ a b 래겟, 네드 "미스틱 버드 리뷰" 올뮤직2016년 8월 6일 회수
- ^ Babey, Ged (2016) "Blue Orgids: Once and Future Thing – 앨범 리뷰", Large Than War, 2016년 5월 29일.2016년 8월 6일 회수
- ^ 톰슨, 데이브 (2016년) "검토: 2016년 4월 19일 골드마인 "The Move, the Pop Group, Blue Orgids and English Cycritical Underground of the Hitties," Goldmine.2016년 8월 6일 회수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06. Retrieved 9 June 2006.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Lazell, Barry (1997). Indie Hits 1980–1999. Cherry Red Books. ISBN 0-9517206-9-4.
외부 링크
- Facebook 페이지 @blueorchidsband [1]
- 밴드 Facebook 그룹 [2]
- Facebook 페이지 [3] 레이블 지정
- LTM의 푸른 난초 전기
- 마이스페이스의 공장별
- 마이스페이스의 마틴 브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