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앤얼
Bob & Earl밥앤얼 | |
---|---|
기원.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장르 | |
활동년수 | 1957–1973 |
레이블 | 클래스 레코드 마크 로마 레코드 유니 레코드 |
과거회원 | 넬슨 백작 바비 버드 (일명 바비 데이) 바비 렐프(일명 바비 개럿과 바비 발렌티노) |
밥 앤 얼(Bob & Earl)은 1960년대 미국의 음악 가수 듀오로, 할렘 셔플의 오리지널 버전을 작사, 녹음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1][2]
직업
원래의 듀오는 바비 버드와 얼 넬슨이었습니다. 그들은 둘 다 1958년에 주요 히트곡인 "Buzz-Buzz"를 부른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의 다작하는 두업 그룹인 할리우드 플레임스의 멤버였습니다.[1] 1957년, 버드는 바비 데이로서 계약상의 이유로 작사, 녹음을 병행하는 솔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1] 그는 "Little Bitty Pretty One"의 오리지널 버전을 쓰고 녹음했으며, "Rockin' Robin" (1958)으로 자신의 히트를 쳤습니다.[1] 1957년, 데이/버드와 넬슨은 클래스 레코드 레이블에서 밥 앤 얼(Bob & Earl)로 함께 녹음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이들 음반은 상대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데이/버드는 솔로 활동을 재개했습니다.
1962년, 넬슨은 바비 개럿과 바비 발렌티노의 예명을 사용한 두 번째 "밥"을 영입했습니다. 렐프는 로렐스, 업프론츠, 발렌티노와 연인을 포함한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한 여러 활동을 이미 주도했습니다. 후자의 두 그룹에는 당시 피아니스트이자 베이스 가수였던 배리 화이트도 출연했습니다.
이 렐프와 넬슨의 듀오는 1963년 "Harlem Shuffle" 이전에 다른 레이블에서 여러 싱글을 녹음했습니다.[1] 이 곡은 렐프와 넬슨이 작곡하고, 진 페이지가 [3][4]편곡하고, 프레드 스미스가 프로듀싱했습니다. 이 곡은 또 다른 로스앤젤레스 가수 라운드 로빈의 "Slauson Shuffletime"(로스앤젤레스의 한 대로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라는 숫자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5] "Harlem Shuffle"은 Marc 레이블에서 발매되었을 때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약간의 히트를 쳤습니다. 그러나 주요 성공은 1969년 늦게 이루어졌는데, 그 때 영국에서 재발매되어 톱 텐에 진입했습니다.[1] 전하는 바에 따르면,[6] 조지 해리슨은 그것을 그가 가장 좋아하는 기록이라고 불렀습니다.
1964년, 두 사람은 로마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습니다.[7] 그들은 레이블을 위해 녹음했지만 싱글은 발매되지 않았습니다. 1965년, 넬슨은 미국에서 14위에 오른 히트 댄스 기록인 "The Duck"으로 재키 리라는 이름으로 솔로 가수로서 더 많은 성공을 거두었습니다.[1] "Harlem Shuffle"이 재발행으로 성공했을 때, 넬슨과 렐프는 밥 앤 얼로 재결합하여 투어를 했습니다.[1] 그 두 사람은 1970년대 초에 마지막으로 헤어졌습니다. 렐프는 그의 첫 20세기 레코드 앨범인 1973년 I've Got So Much to Give에 배리 화이트가 녹음한 "Bring Back My Yesterday"라는 곡을 작곡했습니다.[8]
디스코그래피
스튜디오 앨범
- 할렘 셔플 (1964)
- 밥 앤 얼 (1969)
싱글즈
연도 | 제목 | 피크 차트 위치 | |||
---|---|---|---|---|---|
US 팝 [9] | 영국 [10] | ||||
1957 | "그것이 나의 욕망입니다." | ― | ― | ||
1958 | "달콤한 완두콩" | ― | ― | ||
"그녀가 걸어갈 때" | ― | ― | |||
1962 | "오 아기 인형" | ― | ― | ||
"Don't Leave Me" | 85 | ― | |||
1963 | "할렘 셔플" (원작 발매) | 44 | ― | ||
1964 | "현 위의 애완동물" | 111 | ― | ||
"너의 시간은 나의 시간" | ― | ― | |||
시시 | ― | ― | |||
1966 | "Baby It's Over" | ― | ― | ||
1969 | "Everybody Jerk" | ― | ― | ||
"할렘 셔플" (재발간) | ― | 7 | |||
1970 | "사랑의 진동을 알아차리다" | ― | ― | ||
"여보, 설탕, 나의 달콤한 것" | ― | ― | |||
1973 | 아이 캔트 어웨이 | ― | ― | ||
"—" 차트에 표시되지 않은 릴리스를 나타냅니다. |
참고문헌
- ^ a b c d e f g h Colin Larkin, ed. (1997).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Concise ed.). Virgin Books. p. 158. ISBN 1-85227-745-9.
- ^ Eder, Bruce.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June 13, 2022.
- ^ White, Barry (June 1, 1995). "Telephone interview with Larry Katz". The Katz Tap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4, 2022. Retrieved June 4, 2015.
- ^ Nelson, Valerie J. (July 25, 2008). "'Harlem Shuffle' co-writer was part of the soul duo Bob & Earl". Los Angele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4, 2008. Retrieved January 16, 2016.
- ^ "The Times & The Sunday Times". The Times. December 14,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4, 2008. Retrieved June 15, 2017.
- ^ "Earl Nelson". Rockabillyeurop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8, 2006. Retrieved June 15, 2017.
- ^ "Signings". Billboard. November 7, 1964. p. 10.
- ^ "I've Got So Much to Give – Barry White Songs, Reviews, Credits". AllMusic. Retrieved October 17, 2019.
- ^ "Bob & Earl Top Songs / Chart Singles Discography". Music VF. Retrieved June 13, 2022.
- ^ "BOB & EARL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Official Charts Company. Retrieved June 13, 2022.
외부 링크
- 밥 앤 얼 디스코그즈의 음반 목록
- 2008년 7월 30일 인디펜던트지에 실린 얼 넬슨의 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