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마(폐쇄)

Boma (enclosure)
숲속의 보마. 이곳은 요새화된 아프리카 마을이다. 1892년 파리에서 탐험가 크리스티안 본캄프스의 저널에 실린 카탕가가는 계단 탐험에 관한 기사와 함께 가기 위해 에두아르 차튼의 Tour du Monde 잡지에 실린 삽화.[1]
분케야에 있는 미시리의 보마.

보마중앙아프리카와 남부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그레이트레이크 지역의 많은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축 인클로저, 지역사회 인클로저, 목장, 코랄, 작은 요새 또는 구청이다. 그것은 특히 지역사회의 의사결정과 관련이 있다. 그것은 많은 아프리카 언어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의 식민지 변종들에 통합되어 있다.

가축의 울타리로서 보마크랄과 같은 것이다. 전자는 스와힐리어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사용되며 후자는 아프리칸스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사용된다.

보마는 요새화된 마을이나 수용소의 형태로 18, 19세기 중앙아프리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곳이었다. 그것들은 노예 무역, 부족 전쟁, 식민지 정복의 영향을 받는 지역을 포함하여 아프리카 전역에서 흔한 일이었으며, 양쪽에서 건설하여 사용하였다.

Picture of a boma enclosure constructed as a cicle of thorny acacia tree branches in a Kenyan village.
2018년 케냐 이시올로 카운티의 한 시골 마을에 가시 돋친 아카시아 나뭇가지로 만든 보마.

보마의 삽화에 나타난 깔끔하게 만들어진 스타케이드 외에도, 실제로 이 용어는 이 기사에 첨부된 삽화에 나타난 구조와 더 자주 닮았다. 그런 형태로, 그들은 종종 J. A와 같은 사람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헌터[2] 헨리 모튼 스탠리.[3][4]

대체 용도

영국의 식민지들, 특히 외딴 지역에서 보마는 관공서를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왜냐하면 19세기 후반에 그러한 사무실들은 대개 강화된 경찰서나 군막사를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어떤 곳은 돌로 된 벽을 가지고 있었지만, 종종 목재 저장고의 형태로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포트 제임슨', '포트 매닝' 또는 '포트 로즈베리'에서처럼 많은 포트로 불렸다. 20세기에는 더 이상 요새가 필요하지 않은 지역이나 도청을 의미하게 되었다.[5]

보마는 여전히 아프리카 대호수와 남아프리카에서 가축의 울타리 정의와 함께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어원 및 약어 디펑킹

매복사자 : "사자는 위에서 뛰어 올라오지 않으면 보마에 들어갈없어. 이 전략적인 사나운 사나이가 들어가기 전에 사자를 죽임으로써 방지하는 것이 사냥꾼의 기능이다. 만약 그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그는 잠자는 차의 위쪽 침대만큼 큰 공간에서 비우호적인 사자와 활기찬 손대손 싸움을 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1910년 시카고 트리뷴의 만화가 존 T. 맥컷천.

아프리카 그레이트 레이크에서 관광객들에게 전해지는 유명한 신화는 보마가 아프리카의 식민지 시대 동안 '영국 해외 관리청' 또는 '영국 장교 메스 지역'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신화에 따르면, 이 용어는 스와힐리어이전 영국령 동아프리카의 몇몇 다른 자국어 반투어(예: 말라위치히와와 치툼부카)로 대체적으로 정부를 의미하거나, 구청과 같은 관공서의 위치를 의미하기 위해 채택되었다고 한다.

사실 보마라는 단어는 반투 기원의 단어로든 페르시아어의 차용어든 아프리카 대호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훨씬 더 깊은 뿌리를 두고 있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은 모험가 헨리 모튼 스탠리의 책 <어두운 대륙을 통해>(1878)에서 첫 번째 용도를 인용했다.어린 송아지가 우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3] 이 용어는 또한 스탠리의 초기 저서 '내가 어떻게 리빙스톤 찾았는가'(1871년)에도 쓰이고 있다. 우리는 캠프를 둘러 쌓아서 캠프를 치고 가시투성이 아카시아 보마와 다른 나뭇가지를 만들었다..'[4] Krapf의 수아힐리 언어 사전 (1882)은 보마를 '도시와 마을에 일종의 요새 역할을 하는 팰리세이드나 양말의 기원은 밝히지 않지만, 돌이나 장대, 또는 가시덤불로 구성될 수도 있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보마는 밴드의 'Deutsches 코오롱알렉시콘'(1920년)에도 등장하는데, 이는 이 단어가 영국의 지배하에 떨어지기 훨씬 전에 탕가니카에서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 존슨의 표준 스와힐리-영어사전(1939년)은 보마가 페르시아어인 '부움'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암시하는데, 그는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곳, 가리슨'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스와힐리와 사바키에서: 언어사, 간호사, 히네부쉬(1993)는 이보마를 '방어지역'으로 대호수 반투의 혁신이나 페르시아어로부터의 차용(p. 295)으로 부여한다. 어쨌든 그 말은 비록 약칭이 영리하긴 하지만 어떤 영국인의 해안 '해외 관리'보다 먼저 유통되고 있었다.

더구나 '영국 해외경영관리청'과 같은 실체는 존재하지 않았다.[6] 지속적으로 식민지를 발전시킨 영국 정부의 책임은 1929년 식민지 개발법에 의해 처음으로 인정되었다. 1961년에는 원조 프로그램의 기술적 협력 측면을 다루기 위해 기술 협력 부서가 설립되었다. 해외개발부는 1964년 10월 해외개발부 장관이 주재하는 별도의 부처로 처음 설치되었다. 그것은 구 기술 협력 부서의 기능과 외무, 영연방 관계 및 식민지 사무소와 다른 정부 부처의 해외 원조 정책 기능을 통합하였다. 영국의 양안기구는 1970년부터 1997년 국제개발부(DFID)로 개칭되기 전까지 '해외개발청(ODA)'으로 불렸다.

참고 항목

참조

  1. ^ 레네 드 폰제스트: L'Expédition du Katanga, d'aprés les notes de bonCHAMPS 후작, in: Edouard Charton(편집자): 르 투르 뒤 몽드 잡지(Le Tour du Monde)도 파리의 하셰트(1893년)가 2권으로 묶어서 출판했다. 또한 www.collin.francois.free.fr/Le_tour_du_monde/에서 온라인 이용 가능 2010-02-05 Wayback Machine에서 이용 가능
  2. ^ Hunter, John G. (2000). White Hunter. Long Beach, CA: Safari Press. ISBN 1-57157-122-1.
  3. ^ Jump up to: a b Stanley, Henry M. (1988). Through the Dark Continent, or, The sources of the Nile around the Great Lakes of equatorial Africa and down the Livingstone River to the Atlantic Ocean.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SBN 0-486-25667-7.
  4. ^ Jump up to: a b Stanley, Henry M. (2010). How I Found Livingstone; travels, adventures, and discoveres in Central Africa, including an account of four months' residence with Dr. Livingstone, by Henry M. Stanley. HardPress Publishing. ISBN 1-4076-3041-5.
  5. ^ "버림받은 보마의 추억 - 11번: 올드 은돌라" 북로디지아 저널, 제3권 제3호(1957) 페이지 200-205.
  6. ^ "H-net.msu.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4-26. Retrieved 2006-08-07.

외부 링크

  • 인터넷 리빙 스와힐리 사전에서 보마에 대한 스와힐리 정의
  • DFID 과거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