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든 덴트

Borden Dent

보든 D 덴트(1938-2000)는 미국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조지아 주립대학 지리인류학과 명예교수이자 학장을 지냈다.그의 교과서, 지도학: 주제 지도 디자인(Thematic Map Design)은 이 분야의 주요 교재 중 하나로 2009년에 제6판이 재발행되었습니다.

전기

아칸소에서 태어난 덴트는 메릴랜드에서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녔다.그는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에서 지리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기 전에 토슨 주립 대학에서 지리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그 후 덴트는 매사추세츠주 우스터에 있는 클라크 대학에서 지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그의 교육을 마친 후, 덴트는 조지아 주립 대학에서 [1]30년 동안 지리학과 지도 제작 수업을 가르쳤다.그의 경력 동안, Dent는 지도 제작과 지리학에 관한 기사를 미국 지리학자 협회, 미국 지도 제작자, 지도 제작 저널 [2]지리 저널을 포함한 주요 전문 저널에 실었습니다.

측량 지도에 관한 미국회의1981년 덴트에게 아메리칸 [3]지도 제작자가 최초로 지도 해설에 기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Dent의 학술 출판물은 2009년 [4]4월 현재 121회 인용되고 있습니다.

배경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서의 덴트의 전문성은 주제 지도 제작이었다.그는 "지리적 환경의 [5]사물(자연과 인공 모두)"을 표시하는 범용 지도나 참조 지도와는 대조적으로 "어떤 지리적 [5]현상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는 지도라고 정의했다.그는 이어 주제 지도는 하나의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참조 지도는 사전과 [5]에세이가 같은 주제 지도에 대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Arthur H. Robinson은 "지도 제작의 역사에서 초기 주제 지도 제작"이라는 그의 책에서 "주로 주제인 지도는 17세기 [6]후반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그는 나아가 정확한 기준 지도의 개발, 인쇄 기술의 발전, 연구 분야로서의 통계의 부상 등 주제 지도의 개발을 이끈 다양한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했다.이것들과 많은 다른 문화적, 지적 요소들은 17세기 후반 서유럽에서 환경 형성에 기여했고, 이것은 현재 지도 [6]제작 역사에서 혁명적인 발전으로 인식되고 있다.

비록 주제 지도화가 17세기 후반에 처음 시작되었지만, 덴트는 "주제 지도 제작 기술의 발전에 있어 의미 있고, 형성적인 해는 19세기의 [7]첫 60년이었다"고 느꼈다.이 기간 동안 주제 데이터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대부분의 기법이 개발되었다.여기에는 "비례점 기호, 동일한 값의 선(고립선), 합창단과 음영, 도트 방법, 클래스 간격 및 흐름선"[7]이 포함됩니다.주제 데이터를 묘사하기 위한 주요 지도 제작 도구가 이미 개발되었기 때문에, Dent는 지도 제작자가 지도 제작자와 더 잘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검토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박사 논문

Dent의 박사학위 논문, 지각 조직과 주제 지도 커뮤니케이션: 특히 도형-지상 관계에 중점을 둔 효과적인 지도 설계를 위한가지 원칙은 1970년에 출판되었다.이 글에서 덴트는 로빈슨의 말을 인용하며 "지도에서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유일한 아름다움은 의도된 목적을 위한 기능적 효과에서 오는 것이지, 즐겁거나 예술적인 [8]모습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라고 쓰고 있다.

논문에서 덴트는 이 지도가 지도 제작자로부터 지도 [8]판독기로 아이디어를 그래픽으로 전달하는 매개체라고 주장했다.지도 제작자가 의도한 아이디어를 전달하지 않는 지도는 실패입니다.덴트는 "지도 디자인에서 [8]효과적인 지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열쇠"라고 말했습니다.그는 그의 논문의 대부분을 지도 제작자들이 그들의 생각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인간의 자연스러운 지각적 성향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는 데 썼다.

출판물

1972년 기사

1972년 3월 덴트는 미국 지리학자 협회 연보에 시각 조직과 주제 지도 통신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이 기사에서 그는 지도 독자들의 주제 지도 정보의 잘못된 해석을 기록한 연구를 참조했다.

Dent는 지도 제작자들이 시야를 더 잘 정리하기 위해 도형-배경 관계의 원리를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그는 눈에 띄는 부분은 그림이고 나머지는 지면이라는 두 가지 영역이 있다며 소통을 개선하려면 지도에서 중요한 지적 요소가 [9]그림으로 나타나야 한다고 설명했다.기사의 나머지 부분은 두 요소 사이의 이질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면에 대한 도형의 시각적 향상을 논의하는 데 전념했다.덴트는 그림에 강하고 잘 정의된 모서리를 사용하고, 그림을 명확하게 표현하며, 그림을 닫힌 모양으로 묘사할 것을 제안했습니다.그는 지도상의 인물들이 중요한 지적 내용을 담고 있지만 지상의 지리 데이터를 [9]시각적으로 통합하지 않고서는 효과적인 지도를 만들 수 없다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기사를 마무리했다.

주제 지도 설계의 원리

1985년 덴트는 대학 교과서 "주제 지도 디자인의 원리"의 초판을 출판했습니다.이후 에디션에서는 제목이 Cartography로 변경되었습니다. 주제 지도 설계.

덴트는 본문 서문에서 "현대 지도 이론과 [5]실천의 통합을 강조하는 사상은 직설적인 방식으로 전달된다"고 썼다.Dent는 당시 널리 알려진 지도 제작 이론인 지도 통신 모델에 대해 논의합니다.Dent에는 지도 투영측지법대한 더 많은 기술 정보뿐만 아니라 좋은 지도 설계 원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이 텍스트의 가치 중 일부는 Dent가 다양한 방향에서 주제 지도 작성에 접근했다는 것입니다.그는 독자들에게 실무에 대한 이론적이고 기술적인 통찰력을 제공했지만, 또한 독자들에게 그들의 창의성을 과정에 적용하도록 격려했다.Dent는 자신이 위대한 사상가, 과학자 또는 예술가로 간주하는 사람들의 활동을 열거합니다.

  1. 어려운 가정 - 대부분의 사람들이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감히 의문을 제기합니다.
  2. 패턴 인식 - 아이디어, 사건 또는 물리적 현상의 유의한 유사성 또는 차이를 인식합니다.
  3. 새로운 방식으로 보는 것 - 새로운 인식으로 평범한 것을 보는 것, 익숙한 것을 낯선 것으로, 낯선 것을 익숙한 것으로 바꾸는 것.
  4. 연결 -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아이디어, 객체 또는 이벤트를 새로운 개념으로 이끄는 방식으로 결합합니다.
  5. 위험을 무릅쓰고 과감하게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고 결과를 통제하지 않습니다.
  6. 기회를 이용해서 예상치 못한 것을 이용합니다.
  7. 네트워크 구축 - 아이디어, 인식, 질문 및 [9]격려의 교환을 위한 협회를 형성합니다.

지도 제작:주제 지도 설계

덴트는 그의 이름을 바꾼 교과서인 Cartography의 제2판을 출판했습니다. 주제 지도 디자인, 1990년.그는 지리 지도학에 대한 섹션을 추가했는데, "그것만으로도 지리학자의 [10]도구이자 산물이라는 점에서 지도학의 다른 분야와 구별된다"고 설명했다.덴트는 또한 정량 지도 제작에서의 합창 지도 제작과 "주제 [10]지도 제작의 역사에 대한 전문 지도 제작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Dent는 Cartography 제5판을 발행했습니다. 1999년 주제 지도 설계.덴트가 선호하는 지도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비판 지도 제작 이론으로 대체되었습니다.Dent는 이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소통하는 한 우리를 이끌어 줄 어떤 형태의 지도 디자인이 필요합니다.따라서 이 텍스트의 중심 주제는 유지되고 있으며, 여전히 주제 지도 [11]제작자의 교육에서 자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Dent는 제5판에 지리정보시스템에 관한 새로운 섹션을 실었습니다.그는 "지도 제작과 디자인에 사용되는 기술의 정교함과 상관없이,[11] 그 과정은 디자이너의 창조적인 에너지를 점점 더 많이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레거시

Cartography 제6판: 주제 지도 디자인은 덴트가 죽은 지 9년 후인 2009년에 출판되었습니다.Jeffrey Torguson과 Thomas Hodler는 GIS, 컴퓨터 매핑,[12] 그래픽 디자인 소프트웨어 사용자에게 지도 제작 이론과 실제 사이의 보다 통합적이고 실용적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를 완전히 수정했다.

레퍼런스

  1. ^ Eric Behan, "Borden Dent, 62세, GSU 지리학자", 애틀랜타 저널 컨스티튜션, 2000년 8월 20일, Obituaries 섹션
  2. ^ 조지아 주립 대학교, "지리학 대학원 연구 가이드라인: 지리학 교수 소개", 1998-1999년판, http://monarch.gsu.edu/pdf-docs/geog-guidelines-old.pdf 2012-02-22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3. ^ D. Dent, "지도 해설:"매사추세츠 주 리비어 시" 미국 지도 제작자 8, 2호 187.
  4. ^ ISI 지식의 웹, "인용 저자 보든 D에 대한 검색 결과.덴트」(http://apps.isiknowledge.com.www.library.gatech.edu:2048/summary.do?qid=5&product=WOS&SID=1EEAHcGD7kelPMJ217H[permanent dead link]&search_mode=CitedRefIndex)를 참조해 주세요.
  5. ^ a b c d 보든 D덴트, 주제 지도 디자인의 원리, (메사추세츠 주:A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1985)
  6. ^ a b Arthur H. Robinson, 지도 제작사 초기 주제 지도 (시카고:시카고 대학 출판부, 1982년)
  7. ^ a b 보든 D덴트, "범죄 지도 작성의 간략한 역사"는 범죄 지도 작성, ed.린다 S.턴불, 일레인 할리세이 헨드릭스, 보든 D.덴트(피닉스:The Oryx Press, 2000)
  8. ^ a b c 보든 DDent, "개념적 조직 및 주제 지도 커뮤니케이션:특히 도형-지상관계에 중점을 둔 효과적인 지도설계의 몇 가지 원칙(Clark University, 1970년 박사논문)
  9. ^ a b c 보든 D덴트, "시각적 조직과 주제적 지도 커뮤니케이션", 미국 지리학자 협회 연보 62호, No.1(1972)
  10. ^ a b 보든 D덴트, 지도 제작:주제 지도 디자인 제2판 (아이오와주 Dubuque: W. C. Brown Publishers, 1990)
  11. ^ a b 보든 D덴트, 지도 제작:주제 지도 설계 제5판 (보스턴, WCB McGraw-Hill, 1999년)
  12. ^ 보든 D덴트, 제프리 S.토르구슨, 토마스 W.Hodler, 지도 제작:주제 지도 디자인 제6판 (보스턴, 맥그로 힐, 2009년)